유럽 고성? 테마파크?…이곳이 中 화웨이 'R&D의 심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확산되는 화웨이 포비아 '호랑이굴' 직접 가봤습니다
(상) 경쟁력 엔진은 기초과학
여의도 면적의 62%
런정페이 회장 "구글과 경쟁하려면 그에 걸맞은 R&D 환경 만들라"
유럽도시 콘셉트…108개 건물
순환 전차 15분마다 돌아
이미 연구원 1만7000여명 근무
기술주도 혁신에 사활 건다
R&D투자, 매출의 15%…15.5兆
글로벌 5G 기술특허 23% 차지
물리·수학 등 기초과학 집중 투자
(상) 경쟁력 엔진은 기초과학
여의도 면적의 62%
런정페이 회장 "구글과 경쟁하려면 그에 걸맞은 R&D 환경 만들라"
유럽도시 콘셉트…108개 건물
순환 전차 15분마다 돌아
이미 연구원 1만7000여명 근무
기술주도 혁신에 사활 건다
R&D투자, 매출의 15%…15.5兆
글로벌 5G 기술특허 23% 차지
물리·수학 등 기초과학 집중 투자

올해 말 완공 예정인 화웨이 시춘 연구개발(R&D) 캠퍼스의 위용이다. “미래 화웨이가 구글이나 페이스북 등 세계 최고의 정보기술(IT) 기업들과 경쟁하려면 그에 걸맞은 R&D 환경이 필요하다”는 런정페이(任正非) 창업자 겸 회장의 지론 그대로였다.

동양식 주요 건축물이 중국에 대부분 지어진 만큼 벤치마킹 대상은 서양 건물로 정했다. 건축가들은 프랑스 파리와 이탈리아 볼로냐, 영국 옥스퍼드, 독일 하이델베르크, 체코 체스키크룸로프 등 유럽 12개 도시의 건축물 콘셉트를 바탕으로 108개 건물을 설계했다. 건물들은 스위스식 전차가 15분마다 7.8㎞ 구간을 운행하며 연결한다. 면적은 서울 여의도의 62%에 해당한다.
5G 기술, 경쟁자에 1년 앞서

시춘 캠퍼스에는 추격자에서 선도자로 올라서려는 화웨이의 고민이 녹아 있다. 단순히 기존 기술을 개선하는 것만으로는 살아남을 수 없다는 위기감이다. 화웨이는 고객의 수요를 우선으로 R&D를 해왔다. 지나치게 무겁고 큰 통신장비를 두 개의 제품으로 나눠 무게와 부피를 크게 줄인 뒤 2004년 출시한 DBS가 대표적이다. 이 제품을 무기로 화웨이는 독일을 비롯한 유럽 시장을 제패했다.
2000년대 중반 전략을 바꿨다. ‘기술 주도 혁신’에 사활을 걸기 시작했다. 장신위 화웨이 기술전략본부 부사장은 “고객이 다른 업체들의 장비에서 느끼는 불만을 해결해주는 것만으로는 결코 추격자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시장을 선도하려면 미래에 사용될 기술이 무엇인지 먼저 판단하고 집중적으로 투자해야 했다”고 덧붙였다.
“혁명적 혁신 일궈낼 것”
이 같은 성과의 기반은 R&D 투자다. 2017년 기준 R&D 투자 규모가 138억달러(약 15조5000억원)로 전체 매출의 14.9%에 달했다. 이 중 15%를 수학, 물리학 등 기초과학 분야에 투자했다. 미국 기업 등에 비해 소프트웨어 경쟁력도 밀린다고 판단해 지난해 20억달러를 투자했다. 장 부사장은 “우리는 한 분야에서 성공하면 다른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하는 타 기업과 다르다”고 말했다. 통신 관련 기기에 집중하며 기초과학 수준부터 더 깊은 혁신을 추구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화웨이는 4만 명의 직원이 지분 60%를 나눠 가진 민영기업”이라며 “국가나 지방정부에 의존할 수 없다는 절박감이 치열한 R&D로 이어지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둥관·선전=노경목 특파원 autonom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