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원해연 입지선정 이어 4월 연구센터 로드맵 나올 전망
경북도 "안전연구센터 7천200억원 규모로 경제효과 훨씬 커" 기대
경북 원전해체硏·안전연구센터 두 마리 토끼 잡을 수 있을까
경북도가 유치에 공을 들이는 원전해체연구소에 이어 원자력 안전연구센터 설립 로드맵도 조만간 나올 예정이어서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원전해체연구소는 부산, 울산과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어 장담할 상황이 아니나 원전 안전연구센터는 경북만 유치에 나서 일단 긍정적으로 전망한다.

12일 경북도에 따르면 2012년부터 동해안 원자력 클러스터를 추진하다가 정부 탈원전 정책으로 원전 해체와 안전에 중점을 둔 국제 원자력안전연구단지 조성으로 전환하고 이곳에 핵심시설인 해체연구소와 안전연구센터 유치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 중 다음 달 입지 등 설립 방안이 결정되는 2천400억원 규모 해체연구소는 부산, 울산과 유치 경쟁을 벌이고 있다.

최근 부산시와 울산시가 원전 관련 인프라가 잘 갖춰진 부·울 접경지역이 정부 용역에서 좋은 점수를 받아 연구소 입지로 유력해졌다고 주장하고 나서 경북이 다소 밀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하지만 경북도와 경주시는 국내 원전의 절반이 있는 도내 동해안이 최적지로 반드시 경주에 와야 한다는 입장이며 입지 결정 때까지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도와 시는 2014년부터 원전 건설과 운영 경험, 기술, 인력을 축적한 동해안이 원전해체산업이 들어서기에 가장 조건이 좋은 곳이라는 점을 내세워 정부를 설득하고 있다.

경북에는 원전 12기가 있고 원전 해체를 담당할 한국수력원자력 본사와 원전설계 전문기업인 한국전력기술, 방사성폐기물을 관리하는 한국원자력환경공단, 원전 유지 보수를 담당하는 한전KPS 원전서비스센터 등이 모여있다.
경북 원전해체硏·안전연구센터 두 마리 토끼 잡을 수 있을까
원전 안전연구센터는 해체연구소와 달리 다른 지방자치단체와 경쟁 없이 도가 유일하게 유치를 추진해온 사업이다.

도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경주 지진 등 환경변화에 따라 노후 가동 원전의 안전성 강화 요구가 높아지자 원전 집적지인 도내에서 원전 안전과 해체연구를 수행해 불안감을 해소한다는 전략이다.

또 현재 대전 원자력연구원 부지 포화와 주변 지역 인구 밀집 등으로 신규 연구부지 확보가 시급하다고 보고 경주를 강력하게 밀고 있다.

경주 감포관광단지 일대 100만평(330만㎡)을 원자력안전연구단지로 조성하기로 해 부지는 충분한 상황이다.

애초 제2 원자력연구원으로 사업을 추진했으나 안전연구센터로 명칭과 내용을 일부 바꿨다.

2028년까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원자력연구원과 함께 사업비 7천200억원(국비 6천억원·지방비 1천200억원) 규모로 안전연구센터를 건립한다는 구상이다.

안전연구센터는 가동 원전 안전성능 실증연구를 하고 핵심 기술개발 플랫폼을 구축한다.

또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IoT) 등 4차산업 연계 원자력 융합산업 기술을 연구하고 사용 후 핵연료 수송·저장 용기 개발과 건전성 평가 실험 등도 한다.

도는 안전연구센터가 들어서면 일자리 창출 9천400여명, 고용 유발 8천200여명 등 지역경제 효과를 기대한다.

사업비 규모가 해체연구소의 3배나 돼 지역 경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도는 과기부에서 안전연구센터 설립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오는 4월께 설립 로드맵을 확정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동안 과기부와 안전연구센터 설립을 긴밀히 협의해왔고 로드맵이 나오면 양해각서 체결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원자력안전연구단지에 두 시설을 포함해 원자력기술표준원, 방사선융합기술원 등을 집적화한다는 구상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이날 간부회의에서 "안전연구센터가 해체연구소보다 더 많은 돈이 투자돼 지역 파급효과가 훨씬 크다"며 "두 가지 사업 모두 유치할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