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대통령, 2차 북미정상회담 계기 베트남행 사실상 불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7일 국내서 정상외교 일정…종전선언 위한 하노이 합류 없을 듯
靑 "북측과 김정은 답방 일정 논의하고 있지 않아"
'北, 북미회담 후속조치 집중 가능성' 관측 속 金 답방 미뤄질 수도 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27일 국내에서 정상외교 일정을 소화하는 것으로 14일 확인됐다.
이에 따라 27일부터 이틀간 개최되는 2차 북미정상회담을 계기로 종전선언을 하기 위한 문 대통령의 베트남 하노이 방문 가능성은 사실상 사라졌다.
한때 2차 북미정상회담 기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베트남 회담 가능성이 거론, 베트남에서의 남·북·미·중 4개국이 종전선언을 할 공산이 점쳐질 때부터 청와대는 문 대통령의 베트남행은 그 확률이 낮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지난 6일 브리핑에서 4자 종전선언을 위해 문 대통령이 북미정상회담 기간 베트남을 방문할 가능성을 두고 "북미 사이에 협상이 어떻게 진행되느냐에 달렸으나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달 중 시 주석을 만날 계획이 없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럼에도 일각에서는 정상회담 준비를 위한 북미 간 실무협상 등의 결과에 따라 중국을 제외하고 남북미 간 종전선언을 위한 문 대통령의 베트남 합류 가능성은 남아 있다는 관측이 제기돼 왔다.
그러나 회담이 열리는 시기에 문 대통령이 국내에 머무르게 되면서 이러한 가능성은 닫혔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청와대는 2차 북미정상회담 이후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답방에 대비한 경호 대책 등이 마련되고 있다는 언론 보도는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에게 메시지를 보내 "청와대 경호처가 김 위원장의 답방과 관련해 경호 대책을 세우고 있지 않다"며 "북측과 김 위원장의 답방 일정을 논의하고 있지도 않다"고 했다.
이 때문에 3월 말∼4월 초로 점쳐지는 김 위원장의 답방이 미뤄질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이러한 관측은 2차 북미정상회담에서 도출되는 합의의 이행을 위해 북한이 후속 조치에 집중할 것이라는 해석과 궤를 같이한다.
그러나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이 2차 정상회담에서 어떠한 수준과 내용으로 비핵화 및 그에 따른 상응조치에 합의하느냐에 따라 김 위원장의 답방이 전격적으로 성사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연합뉴스
靑 "북측과 김정은 답방 일정 논의하고 있지 않아"
'北, 북미회담 후속조치 집중 가능성' 관측 속 金 답방 미뤄질 수도 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27일 국내에서 정상외교 일정을 소화하는 것으로 14일 확인됐다.
이에 따라 27일부터 이틀간 개최되는 2차 북미정상회담을 계기로 종전선언을 하기 위한 문 대통령의 베트남 하노이 방문 가능성은 사실상 사라졌다.
한때 2차 북미정상회담 기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베트남 회담 가능성이 거론, 베트남에서의 남·북·미·중 4개국이 종전선언을 할 공산이 점쳐질 때부터 청와대는 문 대통령의 베트남행은 그 확률이 낮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지난 6일 브리핑에서 4자 종전선언을 위해 문 대통령이 북미정상회담 기간 베트남을 방문할 가능성을 두고 "북미 사이에 협상이 어떻게 진행되느냐에 달렸으나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달 중 시 주석을 만날 계획이 없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럼에도 일각에서는 정상회담 준비를 위한 북미 간 실무협상 등의 결과에 따라 중국을 제외하고 남북미 간 종전선언을 위한 문 대통령의 베트남 합류 가능성은 남아 있다는 관측이 제기돼 왔다.
그러나 회담이 열리는 시기에 문 대통령이 국내에 머무르게 되면서 이러한 가능성은 닫혔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청와대는 2차 북미정상회담 이후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답방에 대비한 경호 대책 등이 마련되고 있다는 언론 보도는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에게 메시지를 보내 "청와대 경호처가 김 위원장의 답방과 관련해 경호 대책을 세우고 있지 않다"며 "북측과 김 위원장의 답방 일정을 논의하고 있지도 않다"고 했다.
이 때문에 3월 말∼4월 초로 점쳐지는 김 위원장의 답방이 미뤄질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이러한 관측은 2차 북미정상회담에서 도출되는 합의의 이행을 위해 북한이 후속 조치에 집중할 것이라는 해석과 궤를 같이한다.
그러나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이 2차 정상회담에서 어떠한 수준과 내용으로 비핵화 및 그에 따른 상응조치에 합의하느냐에 따라 김 위원장의 답방이 전격적으로 성사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