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정 KEB하나은행 영업1부PB센터 부장 "올해는 분산투자로 작은 'α수익' 챙기세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고수 인터뷰 - 이은정 KEB하나은행 영업1부PB센터 부장
美·中 무역분쟁 등 핵심 변수
세계경기 장기침체 진입 주목
목표 수익률 낮추고 위험 관리
위험자산 축소·현금 비중 확대
신흥국 펀드는 적립식 분할투자
단기 성과에 '일희일비' 말아야
주거용 부동산 상승동력 약화
상업용 부동산이 더 '매력적'
美·中 무역분쟁 등 핵심 변수
세계경기 장기침체 진입 주목
목표 수익률 낮추고 위험 관리
위험자산 축소·현금 비중 확대
신흥국 펀드는 적립식 분할투자
단기 성과에 '일희일비' 말아야
주거용 부동산 상승동력 약화
상업용 부동산이 더 '매력적'

이은정 KEB하나은행 영업1부PB센터 부장(사진)은 올해 재테크 전략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이 부장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및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분쟁을 올해 재테크 전략을 좌지우지할 핵심 변수로 꼽았다. 이에 따라 그는 목표 수익률을 낮추고 현금 비중을 확대해 유동성을 확보하는 등의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고액자산가들도 올 들어 안정적인 이자가 발생하는 우량채권을 구입하거나 현금을 확보해 다가올 기회를 기다리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는 게 이 부장의 설명이다.
이 부장은 글로벌 경기가 장기적으로 둔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은 간과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저평가된 해외 신흥국 펀드에 적립식으로 분할 투자하는 전략을 추천한다”며 “단기 성과에 일희일비하지 말고 목표수익을 정해 그 수준에 도달하면 자동 환매하고, 다시 적립식으로 분할 투자하면 된다”고 조언했다.
이 부장은 2011년부터 하나은행 내 경영평가에서 매년 우수 프라이빗뱅커(PB)로 선정되는 등 내부에서도 최고의 ‘재테크 전문가’ 중 한 명으로 꼽힌다. 그는 올해 부동산 투자는 보수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서울 등 일부 대도시를 제외하면 부동산 가격은 하락세를 벗어나기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서울권이라도 대규모 입주 물량이 예정돼 있는지 등의 국지적인 요소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부장은 “잇단 대출 규제로 상승동력이 다소 약해진 주거용 부동산보다는 수익률이 양호한 물건을 중심으로 상업용 부동산이 상대적으로 유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