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이 17일 발표한 ‘2020년대를 향한 방위산업 발전 핵심 이슈’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10대 방산기업 매출은 2017년 기준 9조6000억원으로 전년보다 16.0% 줄었다. 수출액도 전년 대비 34.4% 급감했다. 산업연구원은 “방산기업의 매출 감소는 지난 10여 년간 방위산업 통계 조사 이래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방산비리를 뿌리 뽑고자 감시와 처벌을 가능하게 한 것이 역효과를 냈다는 분석이 나온다. 산업연구원은 “방위사업청과 업체에 대한 고강도의 감사원 감사와 검찰 수사가 지속되면서 방위산업의 성장성을 저해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T-50 훈련기 등 항공기와 잠수함의 수출수주 부진도 매출에 타격을 줬다.
보고서는 방위산업의 국내 일자리 창출 효과도 미미하다고 지적했다. 한국은 매년 정부 예산의 약 10%를 국방비로 투자하고 있지만 제조업 내 고용 비중은 1%도 안 된다. 반면 이스라엘과 미국의 제조업 내 방위산업 고용 비중은 각각 14.3%와 10.0%에 이른다.
이에 대해 보고서는 “우리나라는 방위산업의 무기 획득·조달에만 치중해 경제적 측면에서 효과적으로 산업을 육성하지 못했다”고 분석했다.
산업연구원은 이런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과도한 감시·규제를 지양하는 한편 민간과 군 간 협력을 통해 인공지능(AI)·로봇 등 4차 산업혁명 기술 연구개발(R&D)을 확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서민준 기자 morand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