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 청소년 200여명에 전담사는 고작 4명…"돌봄 인프라 부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학생들 적응도ㆍ한국어습득능력 달라 지속적 관리 한계…"지역사회 협조 필요"
인천 내 탈북 청소년들의 학교 적응을 위한 인프라가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일선 현장에서 나오고 있다.
19일 인천시교육청에 따르면 올해 1월 기준으로 인천에 거주하는 북한 이탈 주민은 총 2천817명이다.
2014년 2천379명, 2015년 2천491명, 2016년 2천624명, 2017년 2천731명으로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이 가운데 초·중·고등학교에 다니는 탈북 학생은 지난해 4월 기준 총 216명이다.
인천 내 탈북 주민의 71%(1천965명)가 남동구에 거주하는 만큼 탈북 학생 상당수도 이 지역에 집중돼 있다.
남동구 한 중학교의 경우 탈북 학생이 38명이나 된다.
시교육청은 탈북 학생의 증가에 맞춰 '탈북 학생 교육 지원 조례'를 제정해 지난해 3월부터 탈북 학생 지원 계획을 세워 운영하고 있다.
본인이나 부모 중 1명 이상이 북한 이탈 주민이면서 북한이나 제3국에서 출생해 현재 인천 내 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만 6세∼25세)이면 조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주된 지원은 학업 성취도가 낮은 탈북 학생들을 멘토링해 성취도를 올리거나 진로 멘토링을 통해 각종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돕는 내용이다.
탈북 학생과 학부모, 비탈북 학생과 학부모가 같은 동아리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묶어 한국 문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도 한다. 그러나 일선 학교 담임교사가 멘토링을 맡는 만큼 업무 부담이 과중한 교사들이 탈북 학생들을 개별·지속적으로 관리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학생마다 국내 적응도와 한국어 습득 능력 등에서 차이가 크지만 이를 차등적으로 가르칠 여력이 없는 셈이다.
통일부 산하 남북하나재단이 북한에서 교사로 활동한 경력이 있는 탈북자들을 양성해 탈북 학생들의 교육과 상담을 도맡는 '통일전담 교육사' 역시 전국에 23명에 불과하다.
인천에는 4명뿐이다.
시교육청은 탈북 학생이 10명 이상인 남동구 내 초등학교 3곳과 중학교 2곳 가운데 통일전담 교육사 배치를 희망한 초교 3곳과 중학교 1곳에 이들을 1명씩 배치했다.
사실상 탈북 학생이 10명 미만인 학교의 경우 전담 인력의 밀착관리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인 셈이다.
이는 학력 저하 현상으로도 이어진다.
제3국에서 태어나 국내로 넘어온 학생의 경우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전혀 알지 못하는 상태여서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남북하나재단의 2017년 북한 이탈 주민 정착 실태 조사에 따르면 탈북 주민 2만6천430명 가운데 남북 통합 학력이 '중·고등학교 졸업 이하'인 경우가 68.6%로 가장 많았다.
그 뒤로 전문대학 졸업 이하 14.7%, 대학교 재학 이상 12.2%, 초등학교 졸업 이하 2.8% 순이었다.
일선 현장에서는 탈북전담교육사가 없는 학교만을 통합해 전담할 수 있는 인력을 추가로 확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탈북 학생들의 학교 적응을 위한 지원체계가 턱없이 부족한 현실이 이들의 교육뿐 아니라 기본 의식주까지도 위협한다며 지역 사회가 지속적인 '돌봄'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인천시 남동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관계자는 "일단 돌보는 사람이 없다 보니 먹고 입고 씻는 게 안 되는 학생이 많아 상담하러 갔는데 밥 짓는 법을 알려주는 경우도 있다"며 "사각지대에 놓인 학생들을 관리할 수 있는 전담사 확충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전담사 인력을 1명 늘린다고 해결될 문제는 아니다"라며 "교육청, 학교, 지역 사회가 한자리에 모여 탈북 학생에 대한 교육·돌봄·보호 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인천시교육청 관계자는 "일단 탈북 학생이 적어 전담교육사가 없는 학교는 여러 곳을 묶어 교육사가 순회하는 방식으로 교육하게 될 것"이라며 "관련 조례를 토대로 탈북 학생들이 빠르게 학교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19일 인천시교육청에 따르면 올해 1월 기준으로 인천에 거주하는 북한 이탈 주민은 총 2천817명이다.
2014년 2천379명, 2015년 2천491명, 2016년 2천624명, 2017년 2천731명으로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이 가운데 초·중·고등학교에 다니는 탈북 학생은 지난해 4월 기준 총 216명이다.
인천 내 탈북 주민의 71%(1천965명)가 남동구에 거주하는 만큼 탈북 학생 상당수도 이 지역에 집중돼 있다.
남동구 한 중학교의 경우 탈북 학생이 38명이나 된다.
시교육청은 탈북 학생의 증가에 맞춰 '탈북 학생 교육 지원 조례'를 제정해 지난해 3월부터 탈북 학생 지원 계획을 세워 운영하고 있다.
본인이나 부모 중 1명 이상이 북한 이탈 주민이면서 북한이나 제3국에서 출생해 현재 인천 내 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만 6세∼25세)이면 조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주된 지원은 학업 성취도가 낮은 탈북 학생들을 멘토링해 성취도를 올리거나 진로 멘토링을 통해 각종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돕는 내용이다.
탈북 학생과 학부모, 비탈북 학생과 학부모가 같은 동아리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묶어 한국 문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도 한다. 그러나 일선 학교 담임교사가 멘토링을 맡는 만큼 업무 부담이 과중한 교사들이 탈북 학생들을 개별·지속적으로 관리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학생마다 국내 적응도와 한국어 습득 능력 등에서 차이가 크지만 이를 차등적으로 가르칠 여력이 없는 셈이다.
통일부 산하 남북하나재단이 북한에서 교사로 활동한 경력이 있는 탈북자들을 양성해 탈북 학생들의 교육과 상담을 도맡는 '통일전담 교육사' 역시 전국에 23명에 불과하다.
인천에는 4명뿐이다.
시교육청은 탈북 학생이 10명 이상인 남동구 내 초등학교 3곳과 중학교 2곳 가운데 통일전담 교육사 배치를 희망한 초교 3곳과 중학교 1곳에 이들을 1명씩 배치했다.
사실상 탈북 학생이 10명 미만인 학교의 경우 전담 인력의 밀착관리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인 셈이다.
이는 학력 저하 현상으로도 이어진다.
제3국에서 태어나 국내로 넘어온 학생의 경우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전혀 알지 못하는 상태여서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남북하나재단의 2017년 북한 이탈 주민 정착 실태 조사에 따르면 탈북 주민 2만6천430명 가운데 남북 통합 학력이 '중·고등학교 졸업 이하'인 경우가 68.6%로 가장 많았다.
그 뒤로 전문대학 졸업 이하 14.7%, 대학교 재학 이상 12.2%, 초등학교 졸업 이하 2.8% 순이었다.
일선 현장에서는 탈북전담교육사가 없는 학교만을 통합해 전담할 수 있는 인력을 추가로 확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탈북 학생들의 학교 적응을 위한 지원체계가 턱없이 부족한 현실이 이들의 교육뿐 아니라 기본 의식주까지도 위협한다며 지역 사회가 지속적인 '돌봄'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인천시 남동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관계자는 "일단 돌보는 사람이 없다 보니 먹고 입고 씻는 게 안 되는 학생이 많아 상담하러 갔는데 밥 짓는 법을 알려주는 경우도 있다"며 "사각지대에 놓인 학생들을 관리할 수 있는 전담사 확충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전담사 인력을 1명 늘린다고 해결될 문제는 아니다"라며 "교육청, 학교, 지역 사회가 한자리에 모여 탈북 학생에 대한 교육·돌봄·보호 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인천시교육청 관계자는 "일단 탈북 학생이 적어 전담교육사가 없는 학교는 여러 곳을 묶어 교육사가 순회하는 방식으로 교육하게 될 것"이라며 "관련 조례를 토대로 탈북 학생들이 빠르게 학교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