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국가책임제 최대 성과는 환자·가족부담 덜 토대 마련한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터뷰 - 김기웅 중앙치매센터장
전국에 촘촘한 치매지원 인프라
세계적으로 드문 성공 사례
이용자 접근성 높이는 게 기본
고령자 의무검진 추가해야
전국에 촘촘한 치매지원 인프라
세계적으로 드문 성공 사례
이용자 접근성 높이는 게 기본
고령자 의무검진 추가해야
“치매는 다른 어떤 질환보다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이 광범위하고 심각합니다. 치매 환자와 가족의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이 치매국가책임제의 큰 성과입니다.”
김기웅 중앙치매센터장(사진)은 시행한 지 1년 반 가까이 지나고 있는 치매국가책임제를 이렇게 평가했다. 건강보험의 보장성을 강화해 치매 환자를 장기간 돌보는 데 따른 경제적 부담을 경감했고 초기 치매 환자에게까지 노인장기요양보험 혜택을 확대하기 위해 인지지원등급을 신설했다. 또 전국에 256개 치매안심센터를 설치해 지역사회 중심의 치매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는 “세계적으로 전국에 치매를 예방하는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인프라를 고루 갖춘 나라는 매우 드물다”며 “한국은 치매를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춘 셈”이라고 말했다.
김 센터장은 특히 치매안심센터를 통해 치매 환자를 조기에 찾아내는 것이 효과가 크다고 강조했다. 그는 “치매 조기검진사업의 비용효과성은 연구 논문을 통해 이미 입증됐다”며 “조기 검진으로 경도 단계의 치매 환자를 많이 발견할수록 비용효과성이 더욱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효율적인 치매 검진을 위해 두 가지 방식을 병행해야 한다고 했다. 김 센터장은 “검진받길 원하는 이용자가 손쉽게 센터를 찾을 수 있게 접근성을 높이는 게 기본”이라며 “여기에 치매 위험이 높은 75세 이상의 고령층과 정보가 없거나 거동이 불편해 검진받지 못하는 취약계층에 대한 의무적인 검진을 추가해야 한다”고 했다.
김 센터장은 올해 치매안심센터 구축이 마무리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용자의 치매안심센터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 올해 안에 시설을 열려는 지방자치단체가 늘고 있어 연말까지 모든 치매안심센터가 운영을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이를 촉진하기 위해 치매 관련 단체와 지속적으로 협조하고 선발된 인력을 체계적으로 교육해 전문성을 제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치매안심센터의 차후 과제로 치매 예방 프로그램을 표준화하고 종사자가 이를 정확하게 시행할 수 있게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꼽았다. 김 센터장은 “세계적으로도 아직 표준적인 치매 예방 프로그램이 없고 일부 프로그램의 비용효과성을 검증하는 단계”라며 “비용효과성을 확보하면서도 한국의 문화와 상황에 맞는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치매 지원 서비스의 비용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체계적인 치매 연구개발 계획을 짜고 있어 기대가 크다”고 덧붙였다.
임유 기자 freeu@hankyung.com
김기웅 중앙치매센터장(사진)은 시행한 지 1년 반 가까이 지나고 있는 치매국가책임제를 이렇게 평가했다. 건강보험의 보장성을 강화해 치매 환자를 장기간 돌보는 데 따른 경제적 부담을 경감했고 초기 치매 환자에게까지 노인장기요양보험 혜택을 확대하기 위해 인지지원등급을 신설했다. 또 전국에 256개 치매안심센터를 설치해 지역사회 중심의 치매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는 “세계적으로 전국에 치매를 예방하는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인프라를 고루 갖춘 나라는 매우 드물다”며 “한국은 치매를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춘 셈”이라고 말했다.
김 센터장은 특히 치매안심센터를 통해 치매 환자를 조기에 찾아내는 것이 효과가 크다고 강조했다. 그는 “치매 조기검진사업의 비용효과성은 연구 논문을 통해 이미 입증됐다”며 “조기 검진으로 경도 단계의 치매 환자를 많이 발견할수록 비용효과성이 더욱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효율적인 치매 검진을 위해 두 가지 방식을 병행해야 한다고 했다. 김 센터장은 “검진받길 원하는 이용자가 손쉽게 센터를 찾을 수 있게 접근성을 높이는 게 기본”이라며 “여기에 치매 위험이 높은 75세 이상의 고령층과 정보가 없거나 거동이 불편해 검진받지 못하는 취약계층에 대한 의무적인 검진을 추가해야 한다”고 했다.
김 센터장은 올해 치매안심센터 구축이 마무리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용자의 치매안심센터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 올해 안에 시설을 열려는 지방자치단체가 늘고 있어 연말까지 모든 치매안심센터가 운영을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이를 촉진하기 위해 치매 관련 단체와 지속적으로 협조하고 선발된 인력을 체계적으로 교육해 전문성을 제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치매안심센터의 차후 과제로 치매 예방 프로그램을 표준화하고 종사자가 이를 정확하게 시행할 수 있게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꼽았다. 김 센터장은 “세계적으로도 아직 표준적인 치매 예방 프로그램이 없고 일부 프로그램의 비용효과성을 검증하는 단계”라며 “비용효과성을 확보하면서도 한국의 문화와 상황에 맞는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치매 지원 서비스의 비용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체계적인 치매 연구개발 계획을 짜고 있어 기대가 크다”고 덧붙였다.
임유 기자 free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