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업이 일자리 지켜주지 않는다"…부산 날아온 르노 부회장의 경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佛본사, 르노삼성에 거듭 압박
"2주내 임단협 끝내야 신차 배정"
"2주내 임단협 끝내야 신차 배정"
“(노동조합) 파업이 일자리를 지켜주지 않는다.”
프랑스 르노그룹 본사가 르노삼성에 ‘최후통첩’을 보냈다. 르노삼성 노조의 파업이 더 길어지면 부산 공장에 신차 물량을 줄 수 없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노조는 이달 초 본사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파업 강도를 높여가고 있다. ‘르노삼성 사태’가 파국으로 치닫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본지 2월 8일자 A1, 5면 참조
호세 비센트 드 로스 모조스 르노그룹 제조·공급담당 부회장(사진)은 지난 21일 르노삼성 부산 공장을 방문했다. 오전 8시부터 10시간 가까이 공장에 머물며 현장 책임자 등과 다섯 차례 간담회를 했다. 모조스 부회장은 “2주 내에 임금·단체 협상을 매듭짓지 않고 갈등이 더 길어지면 신차 배정을 장담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모조스 부회장은 어려운 자동차 시장 상황을 강조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악의 상황을 맞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세계 모든 자동차 공장이 신규 물량 확보를 위해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한 생존 경쟁을 벌이고 있다”며 “부산 공장처럼 수출 비중이 60% 이상인 곳은 수출 물량 확보 여부가 생존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라고 말했다.
"부산공장 생산비용, 르노그룹 최고 수준…더 올라가면 신차 배정 힘들 것"
르노삼성자동차 부산 공장에선 지난해 21만5680대를 생산해 13만7112대를 해외에 팔았다. 이 중 북미 지역으로 수출하는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로그 물량만 10만7251대였다. 회사 전체 생산량의 절반(49.7%)에 가깝다. 르노삼성은 2014년부터 최대주주인 르노(지분율 79.9%)로부터 일본 닛산의 로그를 수탁 생산하고 있다. 수탁 생산 계약은 오는 9월 끝난다.
구조조정 가능성 내비친 르노 본사
호세 비센트 드 로스 모조스 르노그룹 제조·공급담당 부회장은 부산공장이 맞닥뜨린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부산 공장의 시간당 생산 비용은 이미 르노그룹 내 공장 중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며 “부산 공장 생산비용이 더 올라가면 미래 차종 및 생산물량 배정 과정에서 경쟁력을 상실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부산 공장은 2014년 닛산 일본 규슈 공장과 로그 물량 배정을 놓고 경합할 때만 해도 평균 인건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하지만 최근 조사에선 부산 공장의 평균 인건비가 20%가량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모조스 부회장은 스페인 바야돌리드공장을 예로 들며 구조조정 가능성도 내비쳤다. 그는 “우리의 일자리는 파업이 아니라 소비자에게 경쟁력있는 제품을 선보였을 때 지킬 수 있다”고 잘라 말했다. 이어 “르노는 과거 바야돌리드 공장 등에서 이런 상황(파업 장기화)을 풀어낸 경험이 있다”고 덧붙였다. 바야돌리드 공장은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희망퇴직 신청을 받아 임직원 1300명을 내보냈다. 당시 공장 직원들은 파업하며 강하게 반발했다. 하지만 같은 해 우여곡절 끝에 3년간 임금동결을 골자로 한 노사 합의를 이끌어내면서 신차 물량을 배정받고 회생에 성공했다.
모조스 부회장이 르노삼성 노사가 임금 동결과 뼈를 깎는 구조조정 등을 감수해야만 다시 정상화 문턱에 올라 설 수 있다는 뜻을 전달한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노조, 5개월간 38차례 파업
르노 본사의 이 같은 압박에도 불구하고 ‘르노삼성 사태’는 장기화 국면에 접어들었다. 노사는 지난 21일 16차 임금 및 단체 협상을 했지만 의견차를 좁히지 못했다. 이 회사 노조는 기본급 10만667원 인상 등을 요구하며 지난해 10월부터 5개월간 38차례(144시간) 파업했다. 22일에도 부분파업을 벌였다.
노사 갈등 장기화로 르노 본사가 로그 후속 물량을 르노삼성 부산공장에 주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신차 배정을 받지 못한 채 오는 9월 로그 수탁생산 계약이 끝나면 부산 공장 가동률은 반토막 난다. 300곳에 달하는 협력업체가 ‘줄도산’ 위기에 내몰릴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르노삼성 부산공장이 지난해 공장 가동률 급락으로 폐쇄된 한국GM 군산공장의 전철을 밟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최악의 경우 부산과 경남 지역의 일자리 수만 개가 흔들릴 가능성이 있다는 걱정도 많다. 르노삼성의 전체 직원 수는 4300명이다. 부산 공장에서만 2300명이 일한다. 협력사 300곳을 포함한 직·간접 고용 인력은 5만 명 안팎인 것으로 추산된다.
장창민/부산=김태현 기자 cmjang@hankyung.com
프랑스 르노그룹 본사가 르노삼성에 ‘최후통첩’을 보냈다. 르노삼성 노조의 파업이 더 길어지면 부산 공장에 신차 물량을 줄 수 없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노조는 이달 초 본사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파업 강도를 높여가고 있다. ‘르노삼성 사태’가 파국으로 치닫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본지 2월 8일자 A1, 5면 참조
호세 비센트 드 로스 모조스 르노그룹 제조·공급담당 부회장(사진)은 지난 21일 르노삼성 부산 공장을 방문했다. 오전 8시부터 10시간 가까이 공장에 머물며 현장 책임자 등과 다섯 차례 간담회를 했다. 모조스 부회장은 “2주 내에 임금·단체 협상을 매듭짓지 않고 갈등이 더 길어지면 신차 배정을 장담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모조스 부회장은 어려운 자동차 시장 상황을 강조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악의 상황을 맞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세계 모든 자동차 공장이 신규 물량 확보를 위해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한 생존 경쟁을 벌이고 있다”며 “부산 공장처럼 수출 비중이 60% 이상인 곳은 수출 물량 확보 여부가 생존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라고 말했다.
"부산공장 생산비용, 르노그룹 최고 수준…더 올라가면 신차 배정 힘들 것"
르노삼성자동차 부산 공장에선 지난해 21만5680대를 생산해 13만7112대를 해외에 팔았다. 이 중 북미 지역으로 수출하는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로그 물량만 10만7251대였다. 회사 전체 생산량의 절반(49.7%)에 가깝다. 르노삼성은 2014년부터 최대주주인 르노(지분율 79.9%)로부터 일본 닛산의 로그를 수탁 생산하고 있다. 수탁 생산 계약은 오는 9월 끝난다.
구조조정 가능성 내비친 르노 본사
호세 비센트 드 로스 모조스 르노그룹 제조·공급담당 부회장은 부산공장이 맞닥뜨린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부산 공장의 시간당 생산 비용은 이미 르노그룹 내 공장 중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며 “부산 공장 생산비용이 더 올라가면 미래 차종 및 생산물량 배정 과정에서 경쟁력을 상실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부산 공장은 2014년 닛산 일본 규슈 공장과 로그 물량 배정을 놓고 경합할 때만 해도 평균 인건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하지만 최근 조사에선 부산 공장의 평균 인건비가 20%가량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모조스 부회장은 스페인 바야돌리드공장을 예로 들며 구조조정 가능성도 내비쳤다. 그는 “우리의 일자리는 파업이 아니라 소비자에게 경쟁력있는 제품을 선보였을 때 지킬 수 있다”고 잘라 말했다. 이어 “르노는 과거 바야돌리드 공장 등에서 이런 상황(파업 장기화)을 풀어낸 경험이 있다”고 덧붙였다. 바야돌리드 공장은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희망퇴직 신청을 받아 임직원 1300명을 내보냈다. 당시 공장 직원들은 파업하며 강하게 반발했다. 하지만 같은 해 우여곡절 끝에 3년간 임금동결을 골자로 한 노사 합의를 이끌어내면서 신차 물량을 배정받고 회생에 성공했다.
모조스 부회장이 르노삼성 노사가 임금 동결과 뼈를 깎는 구조조정 등을 감수해야만 다시 정상화 문턱에 올라 설 수 있다는 뜻을 전달한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노조, 5개월간 38차례 파업
르노 본사의 이 같은 압박에도 불구하고 ‘르노삼성 사태’는 장기화 국면에 접어들었다. 노사는 지난 21일 16차 임금 및 단체 협상을 했지만 의견차를 좁히지 못했다. 이 회사 노조는 기본급 10만667원 인상 등을 요구하며 지난해 10월부터 5개월간 38차례(144시간) 파업했다. 22일에도 부분파업을 벌였다.
노사 갈등 장기화로 르노 본사가 로그 후속 물량을 르노삼성 부산공장에 주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신차 배정을 받지 못한 채 오는 9월 로그 수탁생산 계약이 끝나면 부산 공장 가동률은 반토막 난다. 300곳에 달하는 협력업체가 ‘줄도산’ 위기에 내몰릴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르노삼성 부산공장이 지난해 공장 가동률 급락으로 폐쇄된 한국GM 군산공장의 전철을 밟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최악의 경우 부산과 경남 지역의 일자리 수만 개가 흔들릴 가능성이 있다는 걱정도 많다. 르노삼성의 전체 직원 수는 4300명이다. 부산 공장에서만 2300명이 일한다. 협력사 300곳을 포함한 직·간접 고용 인력은 5만 명 안팎인 것으로 추산된다.
장창민/부산=김태현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