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하늘길 내가 잡는다"…항공사 7곳 한판승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천~울란바토르 추가 운수권
25일 항공사별 PT…26일 결정
아시아나 vs LCC 대결 구도
25일 항공사별 PT…26일 결정
아시아나 vs LCC 대결 구도
‘황금 노선’으로 불리는 몽골 하늘길을 놓고 국내 7개 항공사가 한판 승부를 벌인다. 타깃은 인천~울란바토르(몽골) 노선의 추가 운수권이다. 대한항공이 30년 가까이 단독으로 운항해온 노선에서 나온 흔치 않은 기회다.
24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25일 국토교통부에서 인천~울란바토르 추가 운수권을 놓고 항공사별 프레젠테이션(PT)이 열린다. 이 노선에 취항한다면 어떤 항공기를 투입해 어떻게 운영할지, 다른 항공사와 비교해 장점은 무엇인지 등을 국토부를 상대로 설명하는 자리다. 이 노선은 대한항공이 주 6회, 1656석 규모로 단독 운항 중이다. 항공 수요가 늘자 지난달 한국과 몽골 정부는 좌석 공급을 주 9회, 2500석 규모로 늘리기로 했다. 26일 추가 운수권(주 3회, 844석)의 주인이 결정된다. 도전장을 내민 항공사는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이스타항공, 에어서울 등이다. 에어부산을 제외하고 국내 모든 항공사가 경쟁에 뛰어들었다. 에어부산은 인천~울란바토르 노선보다는 부산~울란바토르 노선 확대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국토부는 25일 부산~울란바토르 노선의 추가 운수권(주 1회)을 가져갈 항공사를 결정한다. 에어부산을 비롯한 대부분 저비용항공사(LCC)가 뛰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울란바토르 노선을 둘러싼 경쟁 구도는 대형항공사(FSC)인 아시아나항공 대 LCC로 흘러가고 있다. 이미 취항 중인 대한항공은 추가 운수권 배분 이후 남는 좌석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아시아나항공은 자신들이 운수권을 가져가야 추가 좌석(844석)을 모두 소화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대부분 LCC는 1회당 공급할 수 있는 좌석 수가 최대 189석에 불과해 주 3회 운항하더라도 추가 좌석을 모두 채울 수 없다. 하지만 아시아나항공은 대형 항공기를 모두 투입해 모든 좌석을 낭비 없이 채울 수 있다.
LCC들은 소비자 편익 관점에서 시장 가격 인하를 주도한 LCC의 진입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한다. 예컨대 과거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양분했던 괌·사이판 노선에 LCC가 취항하면서 항공권 가격이 낮아졌다는 얘기다. 또 부산~울란바토르 노선을 주 2회 운항 중인 에어부산이 이번에 추가되는 주 1회 운수권도 가져갈 가능성이 높은 만큼 같은 계열인 아시아나항공에 배정해선 안 된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이에 대해 아시아나항공은 LCC가 들어가도 가격 인하 효과는 미미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현재 운항 중인 대한항공과 비슷한 공급력을 지녀야 가격을 낮출 수 있는데, 중소형 항공기를 보유한 LCC는 공급량이 부족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작다는 설명이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
24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25일 국토교통부에서 인천~울란바토르 추가 운수권을 놓고 항공사별 프레젠테이션(PT)이 열린다. 이 노선에 취항한다면 어떤 항공기를 투입해 어떻게 운영할지, 다른 항공사와 비교해 장점은 무엇인지 등을 국토부를 상대로 설명하는 자리다. 이 노선은 대한항공이 주 6회, 1656석 규모로 단독 운항 중이다. 항공 수요가 늘자 지난달 한국과 몽골 정부는 좌석 공급을 주 9회, 2500석 규모로 늘리기로 했다. 26일 추가 운수권(주 3회, 844석)의 주인이 결정된다. 도전장을 내민 항공사는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이스타항공, 에어서울 등이다. 에어부산을 제외하고 국내 모든 항공사가 경쟁에 뛰어들었다. 에어부산은 인천~울란바토르 노선보다는 부산~울란바토르 노선 확대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국토부는 25일 부산~울란바토르 노선의 추가 운수권(주 1회)을 가져갈 항공사를 결정한다. 에어부산을 비롯한 대부분 저비용항공사(LCC)가 뛰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울란바토르 노선을 둘러싼 경쟁 구도는 대형항공사(FSC)인 아시아나항공 대 LCC로 흘러가고 있다. 이미 취항 중인 대한항공은 추가 운수권 배분 이후 남는 좌석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아시아나항공은 자신들이 운수권을 가져가야 추가 좌석(844석)을 모두 소화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대부분 LCC는 1회당 공급할 수 있는 좌석 수가 최대 189석에 불과해 주 3회 운항하더라도 추가 좌석을 모두 채울 수 없다. 하지만 아시아나항공은 대형 항공기를 모두 투입해 모든 좌석을 낭비 없이 채울 수 있다.
LCC들은 소비자 편익 관점에서 시장 가격 인하를 주도한 LCC의 진입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한다. 예컨대 과거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양분했던 괌·사이판 노선에 LCC가 취항하면서 항공권 가격이 낮아졌다는 얘기다. 또 부산~울란바토르 노선을 주 2회 운항 중인 에어부산이 이번에 추가되는 주 1회 운수권도 가져갈 가능성이 높은 만큼 같은 계열인 아시아나항공에 배정해선 안 된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이에 대해 아시아나항공은 LCC가 들어가도 가격 인하 효과는 미미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현재 운항 중인 대한항공과 비슷한 공급력을 지녀야 가격을 낮출 수 있는데, 중소형 항공기를 보유한 LCC는 공급량이 부족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작다는 설명이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