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노이 담판] 트럼프, '베트남의 길' 보이며 김정은에 손짓…'내 친구' 호칭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핵담판 앞두고 북 비핵화 결단 압박…'베트남의 기적, 북한의 기적 될 수 있다' 메시지 연장선
첫 공개 일정으로 베트남 지도자와 회담…"미·베트남 관계, 北에 본보기" 강조 특별취재단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7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막을 연 1박 2일의 핵 담판에 임하면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베트남 모델'을 꺼내 들었다.
북한이 비핵화한다면 매우 빠른 속도로 베트남과 같은 번영을 누리게 될 수 있다는 점을 내세워 '베트남의 길'을 걸으라는 메시지를 발신한 셈이다.
이는 '비핵화시 밝은 미래 보장'이라는 미국의 기존 입장 연장선에 있는 것이지만, 이번 2차 북미 정상회담 무대가 바로 과거 미국과의 적대국에서 동반자 관계로 탈바꿈해 개혁·개방 정책으로 경제적 번영을 이룬 베트남이라는 점에서 그 상징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핵을 포기하고 베트남의 길을 가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메시지는 결국 김 위원장이 실질적인 비핵화 조치에 나서는 결단을 하도록 압박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진행될 김 위원장의 단독회담 및 만찬을 몇 시간 앞두고 띄운 트위터 글에서 "베트남은 지구상에서 흔치 않게 번영하고 있다.
북한도 비핵화한다면 매우 빨리 똑같이 될 것"이라며 "잠재력이 굉장하다.
내 친구 김정은에게 있어서는 역사상 거의 어떤 곳에도 비견할 수 없는 훌륭한 기회"라고 말했다.
한때 김 위원장에게 "사랑에 빠졌다"는 표현으로 '각별한 케미'를 자랑했던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에는 '내 친구 김정은'이라는 친근한 표현을 써가며 '결단 촉구'와 '유화책 제시'라는 두 가지 메시지를 동시에 던진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내 친구'라고 부른 건 이번이 처음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김 위원장과의 '개인적 관계'를 내세워 자신 만이 김 위원장을 설득할 수 있다고 강조해왔다.
20시간 20분의 비행을 거쳐 전날 밤 하노이에 도착한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김 위원장과 대좌하기에 앞서 첫 공식 일정으로 응우옌 푸 쫑 국가주석, 응우옌 쑤언 푹 총리와 등 베트남 정부 최고위층과 릴레이 회담을 갖는 것도 북한을 향한 우회적 메시지 발신 차원도 있어 보인다.
'베트남의 길'은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6·12 정상회담 이후 미국이 북한을 향해 벤치마킹 대상으로 거론해온 모델이다.
70년 적대 관계를 청산, 베트남과 같은 새로운 북미 관계와 경제 번영의 길로 나아가기 위해 이 기회를 놓치지 맞고 핵을 포기하는 '전략적 결단'을 내리라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복심으로, 북미 협상을 총괄해온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지난해 7월 6∼7월 3차 방북 후 들른 베트남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이 기회를 잡는다면, 미국과의 정상적 외교 관계와 번영으로 가는 베트남의 길을 따라갈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며 "그 기적이 당신의 것이 될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신의 나라도 이 길을 걸을 수 있다고 믿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은 베트남과 그랬던 것처럼, 언젠가는 북한과도 같은 수준의 파트너십을 맺을 수 있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베트남은 베트남전(1964∼1975년)을 거치며 미국의 적국이 됐으나 종전 20년 만인 1995년 미국과 국교를 다시 수립하고 관계를 정상화했다.
이 과정에서 1985년부터 베트남전 실종 미군 유해 송환을 위해 미국과 본격 협력하기 시작한 것이 적대 관계 청산 및 관계 정상화로 가는 신뢰 구축의 본격적인 출발점이 됐다.
베트남은 지난 2016년 사실상 미국의 마지막 제재라고 할 수 있는 무기금수에서도 벗어났다.
한국전 참전자의 유해 송환 문제가 지난해 6·12 싱가포르 공동성명의 4개 조항 중 하나로 포함, 그 후속조치로 지난해 8월1일 한국전 미군 전사자 유해 55구가 본국으로 송환된 것도 미·베트남이 걸어온 발자취와 오버랩되는 대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차 북미정상회담 일정이 잡힌 뒤 부쩍 북한의 잠재력을 강조하며 김 위원장이 이번 기회만 잘 잡으면 경제강국이 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집중적으로 김 위원장에게 발신해 왔다.
한국과 중국, 러시아 사이에 위치한 북한의 지정학적 입지도 경제강국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이 될 수 있다는 점도 여러차례 거론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머릿속에 그리는 '비핵화시 얻게 될 북한의 미래'는 지난해 싱가포르 정상회담 당시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보여준 동영상 안에 집약돼 있다.
김 위원장이 전략적 선택을 한다면 드론과 대형마트의 풍성한 물자, 로봇과 같은 첨단기술 등으로 가득한 번영된 미래가 펼쳐질 수 있다는 내용이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어느 시점'이라는 전제를 달아 거론해온 '대북 투자 러시'와 '민간 영역 진출' 등과도 연결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폼페이오 장관도 최근 2차 북미정상회담의 의제를 언론하면서 '북한의 더 밝은 미래'에 대한 논의도 핵심 이슈로 꼽기도 했다.
그러나 미국이 북한에 제시한 밝은 미래와 관계 정상화의 청사진은 북한이 미국의 눈높이에 맞는 비핵화 실행조치를 내놓느냐와 연동된 것이어서 이번 핵 담판에서 북미 정상이 베트남을 배경으로 비핵화와 그 이후 펼쳐질 번영이라는 두 마리 토끼에 대해 진전된 성과를 도출될지 주목된다. /연합뉴스
첫 공개 일정으로 베트남 지도자와 회담…"미·베트남 관계, 北에 본보기" 강조 특별취재단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7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막을 연 1박 2일의 핵 담판에 임하면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베트남 모델'을 꺼내 들었다.
북한이 비핵화한다면 매우 빠른 속도로 베트남과 같은 번영을 누리게 될 수 있다는 점을 내세워 '베트남의 길'을 걸으라는 메시지를 발신한 셈이다.
이는 '비핵화시 밝은 미래 보장'이라는 미국의 기존 입장 연장선에 있는 것이지만, 이번 2차 북미 정상회담 무대가 바로 과거 미국과의 적대국에서 동반자 관계로 탈바꿈해 개혁·개방 정책으로 경제적 번영을 이룬 베트남이라는 점에서 그 상징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핵을 포기하고 베트남의 길을 가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메시지는 결국 김 위원장이 실질적인 비핵화 조치에 나서는 결단을 하도록 압박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진행될 김 위원장의 단독회담 및 만찬을 몇 시간 앞두고 띄운 트위터 글에서 "베트남은 지구상에서 흔치 않게 번영하고 있다.
북한도 비핵화한다면 매우 빨리 똑같이 될 것"이라며 "잠재력이 굉장하다.
내 친구 김정은에게 있어서는 역사상 거의 어떤 곳에도 비견할 수 없는 훌륭한 기회"라고 말했다.
한때 김 위원장에게 "사랑에 빠졌다"는 표현으로 '각별한 케미'를 자랑했던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에는 '내 친구 김정은'이라는 친근한 표현을 써가며 '결단 촉구'와 '유화책 제시'라는 두 가지 메시지를 동시에 던진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내 친구'라고 부른 건 이번이 처음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김 위원장과의 '개인적 관계'를 내세워 자신 만이 김 위원장을 설득할 수 있다고 강조해왔다.
20시간 20분의 비행을 거쳐 전날 밤 하노이에 도착한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김 위원장과 대좌하기에 앞서 첫 공식 일정으로 응우옌 푸 쫑 국가주석, 응우옌 쑤언 푹 총리와 등 베트남 정부 최고위층과 릴레이 회담을 갖는 것도 북한을 향한 우회적 메시지 발신 차원도 있어 보인다.
'베트남의 길'은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6·12 정상회담 이후 미국이 북한을 향해 벤치마킹 대상으로 거론해온 모델이다.
70년 적대 관계를 청산, 베트남과 같은 새로운 북미 관계와 경제 번영의 길로 나아가기 위해 이 기회를 놓치지 맞고 핵을 포기하는 '전략적 결단'을 내리라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복심으로, 북미 협상을 총괄해온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지난해 7월 6∼7월 3차 방북 후 들른 베트남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이 기회를 잡는다면, 미국과의 정상적 외교 관계와 번영으로 가는 베트남의 길을 따라갈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며 "그 기적이 당신의 것이 될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신의 나라도 이 길을 걸을 수 있다고 믿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은 베트남과 그랬던 것처럼, 언젠가는 북한과도 같은 수준의 파트너십을 맺을 수 있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베트남은 베트남전(1964∼1975년)을 거치며 미국의 적국이 됐으나 종전 20년 만인 1995년 미국과 국교를 다시 수립하고 관계를 정상화했다.
이 과정에서 1985년부터 베트남전 실종 미군 유해 송환을 위해 미국과 본격 협력하기 시작한 것이 적대 관계 청산 및 관계 정상화로 가는 신뢰 구축의 본격적인 출발점이 됐다.
베트남은 지난 2016년 사실상 미국의 마지막 제재라고 할 수 있는 무기금수에서도 벗어났다.
한국전 참전자의 유해 송환 문제가 지난해 6·12 싱가포르 공동성명의 4개 조항 중 하나로 포함, 그 후속조치로 지난해 8월1일 한국전 미군 전사자 유해 55구가 본국으로 송환된 것도 미·베트남이 걸어온 발자취와 오버랩되는 대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차 북미정상회담 일정이 잡힌 뒤 부쩍 북한의 잠재력을 강조하며 김 위원장이 이번 기회만 잘 잡으면 경제강국이 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집중적으로 김 위원장에게 발신해 왔다.
한국과 중국, 러시아 사이에 위치한 북한의 지정학적 입지도 경제강국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이 될 수 있다는 점도 여러차례 거론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머릿속에 그리는 '비핵화시 얻게 될 북한의 미래'는 지난해 싱가포르 정상회담 당시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보여준 동영상 안에 집약돼 있다.
김 위원장이 전략적 선택을 한다면 드론과 대형마트의 풍성한 물자, 로봇과 같은 첨단기술 등으로 가득한 번영된 미래가 펼쳐질 수 있다는 내용이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어느 시점'이라는 전제를 달아 거론해온 '대북 투자 러시'와 '민간 영역 진출' 등과도 연결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폼페이오 장관도 최근 2차 북미정상회담의 의제를 언론하면서 '북한의 더 밝은 미래'에 대한 논의도 핵심 이슈로 꼽기도 했다.
그러나 미국이 북한에 제시한 밝은 미래와 관계 정상화의 청사진은 북한이 미국의 눈높이에 맞는 비핵화 실행조치를 내놓느냐와 연동된 것이어서 이번 핵 담판에서 북미 정상이 베트남을 배경으로 비핵화와 그 이후 펼쳐질 번영이라는 두 마리 토끼에 대해 진전된 성과를 도출될지 주목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