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업도시 인구유출 가속화…울산·전북 비어간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조선·자동차 등 지역경기 악화
청년층, 일자리 찾아 타도시로
청년층, 일자리 찾아 타도시로
울산과 전북의 인구 유출이 가파르게 이어지고 있다. 조선 자동차 등 지역 주력 산업의 구조조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어서다. 반면 최근 10여 년간 계속되던 서울의 인구 감소는 일자리를 찾아 상경한 이들이 늘면서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1월 국내인구이동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거주 지역을 옮긴 이동자는 66만7000명으로 1년 전보다 5000명(0.7%) 증가했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나타내는 인구이동률은 15.3%로 전년 동월 대비 0.1%포인트 높아졌다.
전입자에서 전출자를 뺀 인구 순이동을 시·도별로 보면 경기(1만1183명) 세종(2457명) 인천(918명) 등 6개 시·도의 인구가 늘었다. 전남(3465명 감소) 부산(2558명 감소) 경북(2123명 감소) 등 11개 지역에서는 빠져나간 사람이 전입한 인구보다 많았다.
주력 산업 구조조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에서 특히 인구 순유출이 두드러졌다. 만성적인 지역경기 침체에 시달리는 전남(-2.2%)을 제외하면 조선업 구조조정 영향을 받은 울산(-1.1%)과 지난해 한국GM의 군산공장이 폐쇄된 전북(-1.1%)에서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에도 직장을 찾아 울산과 전북을 등진 인구가 많았다”며 “실직자들이 이 지역을 빠져나가는 경향이 올해까지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구 증가 속도가 가장 빠른 지역은 순이동률 9.2%를 기록한 세종으로 조사됐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세종이 아직 개발 중이어서 주변 지역이나 수도권 등에서 계속 인구가 유입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지역 인구 유출은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다. 지난달 서울 인구는 94명 줄었다. 2010년 3월 순유출이 본격화된 이후 10여 년 만에 가장 적은 수준의 인구 감소를 기록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서울지역 주택 가격 상승으로 주거비가 늘었는데도 인구 순유출이 소강상태에 들어간 것은 일자리를 찾아 전입한 사람들이 그만큼 늘었다는 의미”라며 “지방의 일자리가 더 빠르게 줄고 있다”고 해석했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1월 국내인구이동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거주 지역을 옮긴 이동자는 66만7000명으로 1년 전보다 5000명(0.7%) 증가했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나타내는 인구이동률은 15.3%로 전년 동월 대비 0.1%포인트 높아졌다.
전입자에서 전출자를 뺀 인구 순이동을 시·도별로 보면 경기(1만1183명) 세종(2457명) 인천(918명) 등 6개 시·도의 인구가 늘었다. 전남(3465명 감소) 부산(2558명 감소) 경북(2123명 감소) 등 11개 지역에서는 빠져나간 사람이 전입한 인구보다 많았다.
주력 산업 구조조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에서 특히 인구 순유출이 두드러졌다. 만성적인 지역경기 침체에 시달리는 전남(-2.2%)을 제외하면 조선업 구조조정 영향을 받은 울산(-1.1%)과 지난해 한국GM의 군산공장이 폐쇄된 전북(-1.1%)에서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에도 직장을 찾아 울산과 전북을 등진 인구가 많았다”며 “실직자들이 이 지역을 빠져나가는 경향이 올해까지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구 증가 속도가 가장 빠른 지역은 순이동률 9.2%를 기록한 세종으로 조사됐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세종이 아직 개발 중이어서 주변 지역이나 수도권 등에서 계속 인구가 유입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지역 인구 유출은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다. 지난달 서울 인구는 94명 줄었다. 2010년 3월 순유출이 본격화된 이후 10여 년 만에 가장 적은 수준의 인구 감소를 기록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서울지역 주택 가격 상승으로 주거비가 늘었는데도 인구 순유출이 소강상태에 들어간 것은 일자리를 찾아 전입한 사람들이 그만큼 늘었다는 의미”라며 “지방의 일자리가 더 빠르게 줄고 있다”고 해석했다.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