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트럼프 큰 타결 원해 합의 못 해…아쉽지만 대화 지속 기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담판 결렬 분위기 보도 3시간 만에 입장…"완전한 합의 못 해 아쉬워"
"트럼프, 비핵화연계 제재해제·완화 의사…북미논의 단계 한층 높아져"
"미북과 긴밀협력…문대통령 책임감 더 커져, 대화 모멘텀 유지 모든 노력" 청와대는 28일 한반도 비핵화의 중대 분수령이었던 북미 정상의 하노이 핵담판 결렬에 아쉬움을 표하고 북한과 미국의 대화가 지속하길 기대한다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청와대의 공식 반응은 북미 정상의 예정된 오찬과 합의문 서명식이 불투명하다는 보도가 나오며 결렬 분위기가 감지된 지 3시간여 만에 나왔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오후 브리핑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오늘 정상회담에서 완전한 합의에 이르지 못한 점은 아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하지만 과거 어느 때보다도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룬 것도 분명해 보인다"며 "두 정상이 오랜 시간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함으로써 상대방의 처지에 대해 이해의 폭과 깊이를 확대한 것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밝힌 지속적인 대화 의지와 낙관적인 견해는 다음 회담에 대한 전망을 밝게 한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연계해 제재 해제 또는 완화 의사를 공개적으로 밝힌 점은 북미 간 논의의 단계가 한층 높아졌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번 정상회담에서 이룬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국과 북한은 앞으로도 여러 차원에서 활발한 대화를 지속하길 기대한다"며 "정부는 미국과 북한이 긴밀한 소통과 협력을 지속해 나가면서 대화의 모멘텀을 유지해나가도록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의 답방이나 한미정상회담 조기 개최 등 문 대통령의 향후 중재 역할에 대한 질문에는 "북미정상회담이 이제 끝났기에 지금 당장 답변드릴 만한 근거는 별로 없지만 문 대통령의 역할과 책임감이 더 커졌다고 생각한다"며 "더 적극적으로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결렬 이유에 대해선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회담을 통해 크게 타결하기를 원했던 것 같다"며 "그러나 두 정상은 그런 기대치에 이르지 못해 최종적 합의와 타결을 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이 제안했던 신(新)한반도 체제 구상의 전면 수정 가능성에 대해 김 대변인은 "대통령이 구상하는 신한반도 체제가 내일 3·1절 기념사에 담길 예정"이라며 "구상의 기본 정신과 이를 실현하려는 우리의 준비와 의지에 대해선 변함이 없다고 생각하며, 그 내용을 내일 말씀하실 것"이라고 전했다.
다만 "디테일한 (기념사) 내용은 마지막까지 손볼 것으로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김 대변인은 "문 대통령이 회담 결렬 이후 관련 언급을 했지만 제가 공개할 내용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트럼프, 비핵화연계 제재해제·완화 의사…북미논의 단계 한층 높아져"
"미북과 긴밀협력…문대통령 책임감 더 커져, 대화 모멘텀 유지 모든 노력" 청와대는 28일 한반도 비핵화의 중대 분수령이었던 북미 정상의 하노이 핵담판 결렬에 아쉬움을 표하고 북한과 미국의 대화가 지속하길 기대한다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청와대의 공식 반응은 북미 정상의 예정된 오찬과 합의문 서명식이 불투명하다는 보도가 나오며 결렬 분위기가 감지된 지 3시간여 만에 나왔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오후 브리핑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오늘 정상회담에서 완전한 합의에 이르지 못한 점은 아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하지만 과거 어느 때보다도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룬 것도 분명해 보인다"며 "두 정상이 오랜 시간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함으로써 상대방의 처지에 대해 이해의 폭과 깊이를 확대한 것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밝힌 지속적인 대화 의지와 낙관적인 견해는 다음 회담에 대한 전망을 밝게 한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연계해 제재 해제 또는 완화 의사를 공개적으로 밝힌 점은 북미 간 논의의 단계가 한층 높아졌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번 정상회담에서 이룬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국과 북한은 앞으로도 여러 차원에서 활발한 대화를 지속하길 기대한다"며 "정부는 미국과 북한이 긴밀한 소통과 협력을 지속해 나가면서 대화의 모멘텀을 유지해나가도록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의 답방이나 한미정상회담 조기 개최 등 문 대통령의 향후 중재 역할에 대한 질문에는 "북미정상회담이 이제 끝났기에 지금 당장 답변드릴 만한 근거는 별로 없지만 문 대통령의 역할과 책임감이 더 커졌다고 생각한다"며 "더 적극적으로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결렬 이유에 대해선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회담을 통해 크게 타결하기를 원했던 것 같다"며 "그러나 두 정상은 그런 기대치에 이르지 못해 최종적 합의와 타결을 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이 제안했던 신(新)한반도 체제 구상의 전면 수정 가능성에 대해 김 대변인은 "대통령이 구상하는 신한반도 체제가 내일 3·1절 기념사에 담길 예정"이라며 "구상의 기본 정신과 이를 실현하려는 우리의 준비와 의지에 대해선 변함이 없다고 생각하며, 그 내용을 내일 말씀하실 것"이라고 전했다.
다만 "디테일한 (기념사) 내용은 마지막까지 손볼 것으로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김 대변인은 "문 대통령이 회담 결렬 이후 관련 언급을 했지만 제가 공개할 내용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