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천년의 미래로' 기념식…나눔의 집에선 성노예 피해자 추모
'100년 전 함성 다시'…경기 곳곳서 3·1운동 기념행사
삼일절인 1일 경기지역 곳곳에서 100년 전 만세 함성이 다시 울려 퍼졌다.

경기도는 이날 오전 10시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에서 애국지사, 광복회원, 유관기관 단체장 등 7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삼일절 기념행사를 열었다.

기념식은 '백년의 역사에서 천년의 미래로' 슬로건 아래 독립선언서 낭독, 포상, 기념사, 삼일절 노래제창 및 만세삼창, 관객 퍼포먼스 순으로 진행됐다.

이재명 경기지사는 기념사에서 "100년 전 만세운동이 지향한 민주주의, 자유, 평등, 비폭력의 가치는 광장에서 촛불로 되살아났고 한반도에 평화와 번영의 새 시대를 여는 밑거름이 되었다"며 "불굴의 의지로 이룩하신 선열들의 고결한 역사를 기억함으로써 천년의 미래를 향한 나침반으로 삼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항일투쟁 선봉에 섰던 경기도의 선열들을 집대성하는 기록물을 발간하고 항일운동 문화유산의 실태를 조사할 것이며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 강제노역 동원 피해자들을 기리고 지원해 잔혹한 역사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시설인 경기도 광주 나눔의 집에서는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 추모제'가 열렸다.

참석자들은 지난해 타계한 고 김정분·하점연·김순옥 할머니를 비롯한 유명을 달리한 피해 할머니들의 투쟁 역사를 기렸고 나눔의 집에서 생활하는 이옥선(1927년생) 할머니가 58년 만에 조국 땅을 밟아 자신의 이름을 찾아가는 이야기를 담은 여성 인권 영화 '에움길' 편집본(10분 분량)을 함께 감상했다.
'100년 전 함성 다시'…경기 곳곳서 3·1운동 기념행사
양주시는 이날 오전 10시 광적면 가납리 가래비 3·1운동 기념공원에서 '가래비 만세운동 100주년' 기념행사를 열었다.

행사에서는 당시 시위 상황을 재연한 100주년 기념 뮤지컬 공연, 독립 퍼포먼스, 거리 만세 행진 등이 진행됐다.

양주에서는 1919년 3월 28일 주민 350여 명의 자발적인 참여로 만세운동을 벌이다 이용화·백남식·김진성 등 3명의 열사가 일본 헌병의 총탄에 숨지고 40여 명이 다쳤다.

파주시에서는 시민 700여 명이 참여해 조리읍 3·1절 기념비에서 파주시민회관까지 당시 상황을 재현한 거리행진 퍼포먼스가 진행됐다.

거리행진 퍼포먼스는 파주지역 최대 독립운동인 '봉일천리 공릉장터 만세운동'을 배경으로 일본에 맞서 독립을 외친 민중들의 모습과 무력 진압에 항거한 모습을 재연했다.

이어 시민회관 대공연장에서 최종환 시장을 비롯해 광복회원, 사할린 영주 귀국자, 보훈단체 회원 등 1천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3·1절 100주년 기념식이 열렸다.

남양주 홍유릉 광장에서는 오전 10시부터 '1919년 3월 홍릉 그날의 기억'이라는 제목의 3·1절 100주년 기념행사가 진행됐다.

시민 350여 명은 고종 황제 승하를 배경으로 한 샌드아트 공연과 3·1운동 역사극과 플래시몹 등을 함께 지켜보며 100년 전 역사를 기억했다.

남양주시는 3·1절을 하루 앞둔 지난달 28일 오후 7시 화도읍 월산교회부터 마석역 광장까지 4㎞를 걸으며 횃불 만세운동을 재연했다.

화도읍에서는 1919년 3월 18일 주민 1천여 명이 횃불을 들고 독립을 외치다 5명이 일본 경찰의 총에 맞아 숨졌으며 남양주시는 순국선열의 뜻을 기리기 위해 1999년부터 횃불 만세운동 재연 행사를 열고 있다.
'100년 전 함성 다시'…경기 곳곳서 3·1운동 기념행사
이밖에 수원시는 '기억하는 백 년의 울림, 기약하는 백 년의 미래'를 주제로 한 3·1운동 100주년 기념문화제를 오후 2시부터 수원 화성행궁 광장에서 연다.

수원지역 3·1운동이 시작된 방화수류정에서 시민 2천300여명(독립군)이 모여 '3·1운동 대한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만세 삼창을 한 뒤 화홍문광장을 지나 행궁광장까지 행진할 예정이다.

포천시는 낮 12시 청성역사공원 반월각에서 순국선열을 추모하는 시민대종 타종행사에 이어 오후 2시 포천반월아트홀 소극장에서 기념식을 한다.

포천지역 3·1운동은 1919년 3월 13일 포천공립보통학교 학생들이 일본 교원들의 눈을 피해 학교 뒷산에 올라 만세운동을 벌인 것을 시작으로 같은 달 29일과 30일에 소흘읍과 가산면 등 곳곳에서 만세운동이 격렬하게 진행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