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평균 10만2천원↓…금리 상승 탓 이자지출 늘고 근로소득은 줄어
50대 가구주 가계의 가처분소득이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청년층에서 중장년층으로 옮겨간 고용 한파에 금리 상승으로 늘어난 이자 부담까지 더해지면서 가계 살림살이가 쪼그라들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3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50대가 가구주인 가계의 명목 월평균 가처분소득(전국·2인 이상)은 412만원으로 1년 전보다 2.4%(10만2천원) 줄었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2분기(-2.9%) 이후 최대 낙폭이다.

반면 지난해 4분기 전체 가구 가처분소득은 1년 전보다 2.1% 늘었다.

2015년 2분기(3.1%) 이후 증가 폭이 가장 컸다.

50대는 가장 많은 인구가 몰려있는 연령층이다.

1955∼1963년에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도 일부 포함돼있다.

저출산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면서 지난해 50대 인구 비중은 16.6%를 기록, 40대(16.4%)를 넘어섰다.

50대 가구주 가계의 가처분소득은 지난해 상반기 3% 내외의 증가세를 유지했다.

하지만 3분기 제자리걸음(0.0%)에 이어 4분기에는 2013년 4분기(-0.5%) 이후 5년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60세 이상 가구주와 40대 가구주 가계의 가처분소득은 각각 8.0%, 6.3% 늘었다.

39세 이하 가구주 가계는 사실상 제자리걸음(-0.1%) 했다.

가처분소득은 명목소득에서 조세·연금·이자 비용 등 비소비지출을 제외한 것으로 소비나 저축으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소득이다.

가처분소득이 줄었다는 것은 그만큼 가계의 실질적인 경제 여력이 줄었다는 뜻이다.
50대 가구주 가계의 가처분소득 감소에는 최근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계속된 고용 부진이 주된 영향을 미쳤다.

50대 가구주 가계의 근로소득은 1년 전보다 소폭(-0.1%) 줄면서 2013년 4분기(-0.7%) 이후 5년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근로소득이 주춤하면서 전체 소득 증가 폭은 2017년 2분기(0.5%) 이후 가장 작은 1.3%에 그쳤다.

통계청 관계자는 "50대 가구주 가계 구성원의 취업인원수 감소율이 60세 이상 가구주 가계에 이어 두 번째로 컸다"고 말했다.

반면 50대 가구주 가계의 비소비지출은 125만8천원으로 1년 전보다 15.5%(16만8천원)나 늘었다.

이중 이자 비용은 4만1천원(48.2%)이나 늘면서 증가세를 견인했다.

경상조세도 7만2천원(42.2%) 늘었다.

전체 가구 평균 이자·경상조세 증가율은 24.1%, 29.4%로 50대 가구주 가계와 큰 차이를 보였다.

최근 수년간 가계부채가 급격히 팽창한 상황에서 지난해 금리까지 오르면서 50대 가구주의 이자 부담이 급격히 늘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기준 50대 가구주 가계의 평균 금융부채는 9천104만원으로 40대(9천979만원)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금융대출 중 담보대출보다 금리가 높은 신용대출 비중은 50대(15.4%)가 40대(13.9%)보다 더 높았다.

은퇴를 앞둔 50대 가구주 가계의 경제력 악화는 저출산 고령화와 맞물려 심각한 노인 빈곤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김광석 한양대 겸임 교수는 "소비·저축을 할 수 있는 가처분 소득이 줄어들게 되면 그만큼 50대 가구주의 노후 준비는 부실해질 수밖에 없다"며 "노인 빈곤 문제를 더 심각하게 할 수 있는 위험 요인"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