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함정'에 걸린 중국 은행株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The Wall Street Journal 칼럼
마이크 버드 < 월스트리트저널 칼럼니스트 >
마이크 버드 < 월스트리트저널 칼럼니스트 >

베이징의 정책 당국자들이 경기 침체를 막으려고 각종 대책을 내놓으면서 민간부문 상업대출이 주목받고 있다. 중국 규제당국은 올해 은행들에 소기업 대출을 30%까지 늘리도록 요청했다.
중국을 대표하는 은행인 중국은행(BOC)과 중국농업은행(ABC), 중국공상은행(ICBC)은 지난 10년간 전체 대출에서 상업대출과 부동산담보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10%포인트씩 늘렸다. 부동산 거래를 위한 대출은 은행 자산 성장에 가장 큰 부분을 책임졌다. 그 결과 주택 시장의 변동성이 곧바로 은행주의 변동 요인이 돼버렸다.
부동산이 금융주 상승 요인
단기적으로 중국의 주택 가격이 최근 경기 부양책이 시행되기 이전에 이미 상승하고 있었던 점은 매우 고무적이다. 지난해 2월부터 올해 1월까지 12개월 동안 중국 각 도시의 주택 가격 상승세는 2017년대 중반 이후 가장 빠른 수준이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보면 부동산 시장을 낙관할 만한 재료를 찾기 힘든 상황이다. 물론 중국 정부는 부동산 가격 하락을 진정시키기 위해서 최선을 다할 것으로 전망된다. 토지 거래 과정에서 상당한 세수가 발생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평범한 시민들이 대부분 저축한 자금을 부동산 형태로 보유하고 있어서다.
장기적 시장 낙관 재료 부재
대출 대상을 거대한 국유기업이 아니라 민간기업가로 전환해야 하는 상황인 중국 경제에서 상업은행 대출이 어떻게 구성돼 있는가는 아주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지금 중국 대형 은행들이 풀어야 할 문제는 그것만이 아니다. 긴박하고 중요한 다른 요인이 곳곳에 널려 있다.
정리=오춘호 선임기자 ohchoon@hankyung.com
이 글은 마이크 버드(Mike Bird) 월스트리트저널 칼럼니스트가 기고한 칼럼 ‘Chinese Banks will Rise or Fall With the Property Market’을 정리한 것입니다.
한국경제신문 독점제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