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주일대사관서 '고노담화' 지켜봐…대일관계 식견 갖췄단 평가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진력…복잡한 비핵화 정세 속 경험 살릴까
베테랑 외교관 남관표…韓日 비핵화 공조 얽힌 실타래 푸나
새 주일대사에 낙점된 것으로 4일 알려진 남관표(62) 전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은 조약 및 국제법 분야 조예가 깊은 베테랑 외교관으로 꼽힌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징용배상 판결, 초계기 갈등 등으로 한일관계가 악화를 거듭하는 상황에서 양국 관계를 재정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임무가 될 것으로 보인다.

여권에서는 외교 경험이 많은 만큼 예민한 사안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에 적임자라는 평가가 나온다.

일본어 구사 능력이 수준급이고 대일 정책에도 식견을 갖추고 있다는 평판 역시 이런 관측에 힘을 싣고 있다.

지난 1992∼1995년 주일대사관에서 근무할 당시, 위안부 제도에 대한 일본 정부 관여를 인정한 고노(河野) 담화 작성 과정도 지켜본 바 있다.

문재인정부 출범 직후부턴 청와대 국가안보실에서 일하며 문 대통령의 외교·안보 철학을 깊이 이해할 기회를 가졌고, 특히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진전에 진력한 점도 주목할 부분이다.

일례로 작년 6월12일 열린 1차 북미정상회담 당시 싱가포르 현장에 나가 북미 정상의 핵 담판을 바로 옆에서 지켜보고, 코리아프레스센터(KPC)에서 회담 관련 한국 언론 대상 브리핑을 맡기도 했다.

지난 2017년 한중 사이에서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를 두고 갈등이 불거졌을 때는, 쿵쉬안유(孔鉉佑) 중국 외교부 부부장와 파트너십을 이뤄 실무 대화를 주도한 끝에 '10·31 사드 합의'를 끌어냈다.

여권 내부에서는 급변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남 전 차장의 풍부한 경험이 한일관계 개선의 기반을 다지고, 나아가 동북아 평화체제 구축에도 보탬이 되리라는 기대감이 번지고 있다.

부산 출신으로 경기고와 서울대 법학과를 나와 외무고시 12회를 통과한 남 전 차장은 1980년대 후반 외교부 국제법규과에서 근무했다.

또한 2002∼2004년 조약국 심의관을 지내 외교부에서는 조약국 인맥으로 통한다.

그럼에도 노무현정부 시절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실에 현직 외교관으로는 이례적으로 파견된 것을 비롯해 총리실(2007∼2008, 규제개혁 조정관 및 실장), 부산시(2008∼2009, 국제관계 자문대사), 서울시(2014∼2015, 국제관계대사) 등에서 다양한 경험을 축적했다.

이 과정에서 익힌 정무감각 역시 한일 간 냉기류를 해소하는 데 보탬이 될 것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