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 정책실장으로 경제정책 기틀…퇴진 4개월만에 주중대사 복귀할 듯
중국과는 방문교수 등 인연, 비핵화 지원 임무…돌려막기 인사 비판도
장하성 주중대사 내정으로 한중협력 무게감 지속 시사
장하성(66) 전 청와대 정책실장이 4일 주중국 대사에 내정된 것은 예상하지 못한 전격적인 인사라는 평가가 나온다.

장 전 실장은 재벌 개혁 운동에 앞장서 온 경제학자 출신으로 대중 외교 현안을 다룬 경험은 거의 없기 때문이다.

다만 초대 정책실장을 지내면서 1기 경제정책을 주도적으로 이끄는 등 현 정부 국정철학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는 점이 이번 발탁에 '플러스'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방문교수와 자문위원 등으로 중국과 인연을 맺어 중국에 대한 나름의 식견과 네트워크가 있는 것 역시 고려된 것으로 전해졌다.

장 전 실장은 2008∼2016년 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 국제자문위원을 지냈으며 2012년 푸단대(復旦大) 방문교수, 2015년 런민대(人民大) 방문교수를 지냈다.

지난해에는 2014년 국내에서 출간한 저서 『한국자본주의』의 중국어판을 펴내기도 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중국에서는 주중대사로 무게감 있는 인사를 항상 원한다"고 설명하며 장 전 실장이 그에 부합하는 인사로서 역할을 잘 해주리라고 기대했다.

무엇보다 주중대사에겐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 이후 회복되고 있긴 하지만 그 속도가 기대만큼은 안 되는 중국과의 관계복원에 가속을 붙이고, 한반도 비핵화 과정에서 중국의 지지와 지원을 더욱 강하게 끌어내야 하는 임무를 부과된 만큼 장 전 실장의 향후 역할이 주목된다.

한편으로 이번 인사는, 대통령 측근이나 핵심 실세 등이 '4강' 대사(주미·주중·주일·주러)로 발탁돼온 관행에 비춰볼 때 문재인 대통령의 장 전 실장에 대한 신임을 다시 한번 확인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실제로 문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분류되는 노영민 현 대통령 비서실장도 직전까지 주중대사를 지냈다.

문 대통령이 원래 '안철수의 사람'으로 분류됐던 장 전 실장을 영입하기 위해 삼고초려를 한 일화는 유명하다.

문 대통령이 2012년 대선 때 경제정책 설계와 2016년 4·13 총선을 앞두고 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 등을 장 전 실장에게 요청했으나 당시에는 장 전 실장이 안철수 후보를 돕고 있다는 이유 등으로 한배를 타지 못했다.

이후 문 대통령이 대통령에 당선된 이후 직접 전화를 걸어 요청한 끝에 장 전 실장을 정책실장으로 영입할 수 있었다.

장 전 실장은 2017년 5월부터 정책실장을 맡아 소득주도성장 등 주요 경제정책의 기틀을 잡았지만, 가시적인 경제 효과를 내지 못한다는 지적과 김동연 경제부총리와의 엇박자 논란 속에 지난해 11월 퇴진했다.

그랬던 장 전 실장이기에, 그가 물러난 지 4개월여 만에 다시 중책을 맡는 것을 두고 야권을 중심으로 '돌려막기', '회전문' 인사 같은 비판이 나오는 게 사실이다.

장 전 실장은 지난해 11월 정책실장에서 물러난 이후 해외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국내에서도 외부 공개 행보를 자제하며 정치와 거리를 두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특히 최근인 지난달 26일 고려대 교수 정년 퇴임식에서 "현실 정치에 정치인으로서 참여하는 건 과거에도 관심이 없고, 지금도 없다"고 밝혔던 터라 주중대사로서의 복귀는 놀랍다는 시각이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