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 백트 지분 보유설에 비트코인 급등…"맹신은 금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스타벅스, 백트 지분 다량 보유 루머 확산
비트코인 결제 지원 가능성도 제기
익명 관계자 인용 보도…맹신은 금물
비트코인 결제 지원 가능성도 제기
익명 관계자 인용 보도…맹신은 금물
세계 최대 커피 체인점 스타벅스가 비트코인 선물거래소 백트(Bakkt)의 지분을 다량 보유하고 있으며, 비트코인 결제를 지원하게 될 것이라는 루머가 확산됐다.
백트는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모회사 인터콘티넨탈익스체인지(ICE)가 설립하는 가상화폐(암호화폐) 선물 플랫폼이다. 스타벅스는 마이크로소프트, 보스턴컨설팅 등과 함께 지난해 8월 백트의 창립 파트너가 됐다.
4일(현지시간) 해외의 한 암호화폐 전문지는 익명의 백트 관계자의 발언을 인용, “스타벅스가 백트에 현금을 투자한 것은 아니지만 상당한(Sizable) 지분을 보유한 상태”라며 “스타벅스가 백트의 대표적인 활용 사례가 될 전망이며 미국 고객들을 대상으로 첫 비트코인 결제를 지원하게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 소식은 5일 주요 언론을 통해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비트코인 시세는 전일 대비 약 3.8% 급등한 3862달러(약435만원)를 기록 중이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맹신은 위험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한 보도인데다, 스타벅스는 암호화폐 직접 결제 여부에 대해서 계속 부인해 왔기 때문이다.
스타벅스가 암호화폐 결제를 지원한다는 루머의 시작은 스타벅스가 지난 8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백트의 개발에 참여한다는 사실을 알리면서부터다. 마리아 스미스 스타벅스 부사장은 “스타벅스는 리워드 고객 1500만명을 보유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의 선두주자로 혁신을 계속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스타벅스는 성명을 통해 “암호화폐를 직접 결제 수단으로 바로 받는 것이 아니며, 스타벅스는 그저 백트 개발에 참여하는 것일 뿐”이라며 루머를 전면 부인했다. 암호화폐 결제에 대해서도 “암호화폐를 법정화폐로 전환하면 이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며 직접적인 암호화폐 결제는 불가능하다고 못박았다.
한편 지난해 11월 출시 예정이었던 백트는 계속 출시일이 연기되며 출시 여부가 불투명한 상태다. 미 정부 셧다운 등의 영향으로 미국 상품거래위원회(CFTC)의 승인이 지연된 여파가 컸다.
김산하 한경닷컴 기자 sanha@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백트는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모회사 인터콘티넨탈익스체인지(ICE)가 설립하는 가상화폐(암호화폐) 선물 플랫폼이다. 스타벅스는 마이크로소프트, 보스턴컨설팅 등과 함께 지난해 8월 백트의 창립 파트너가 됐다.
4일(현지시간) 해외의 한 암호화폐 전문지는 익명의 백트 관계자의 발언을 인용, “스타벅스가 백트에 현금을 투자한 것은 아니지만 상당한(Sizable) 지분을 보유한 상태”라며 “스타벅스가 백트의 대표적인 활용 사례가 될 전망이며 미국 고객들을 대상으로 첫 비트코인 결제를 지원하게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 소식은 5일 주요 언론을 통해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비트코인 시세는 전일 대비 약 3.8% 급등한 3862달러(약435만원)를 기록 중이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맹신은 위험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한 보도인데다, 스타벅스는 암호화폐 직접 결제 여부에 대해서 계속 부인해 왔기 때문이다.
스타벅스가 암호화폐 결제를 지원한다는 루머의 시작은 스타벅스가 지난 8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백트의 개발에 참여한다는 사실을 알리면서부터다. 마리아 스미스 스타벅스 부사장은 “스타벅스는 리워드 고객 1500만명을 보유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의 선두주자로 혁신을 계속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스타벅스는 성명을 통해 “암호화폐를 직접 결제 수단으로 바로 받는 것이 아니며, 스타벅스는 그저 백트 개발에 참여하는 것일 뿐”이라며 루머를 전면 부인했다. 암호화폐 결제에 대해서도 “암호화폐를 법정화폐로 전환하면 이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며 직접적인 암호화폐 결제는 불가능하다고 못박았다.
한편 지난해 11월 출시 예정이었던 백트는 계속 출시일이 연기되며 출시 여부가 불투명한 상태다. 미 정부 셧다운 등의 영향으로 미국 상품거래위원회(CFTC)의 승인이 지연된 여파가 컸다.
김산하 한경닷컴 기자 sanha@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