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에너지·반도체 등 미래기술 연구개발에 3년간 10조원 투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산업부, 올해 3조2천억 투자 확정…5대 영역 R&D 투자전략 마련
차세대 반도체, 수소에너지 등 미래 산업기술 트렌드에 발맞춰 오는 2021년까지 연 3조2천억원 규모의 연구개발(R&D) 투자가 이뤄진다.
내년과 내후년 투자가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현재 계획대로라면 3년간 10조원에 육박하는 자금이 투입되는 것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7일 서울 생산성본부에서 제1차 전략기획투자협의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산업기술 R&D 투자전략'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LG화학, 현대자동차 등 기업과 학계, 전문가 등 민간위원 11명도 함께 했다.
산업부는 향후 R&D 집중 투자가 필요한 5대 영역, 25대 핵심 분야로 나눠 분야별로 구체적인 투자 방향을 제시했다.
5대 영역은 ▲ 미래수송 ▲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 편리한 생활 ▲ 에너지·환경 ▲ 스마트제조로 나뉜다.
미래 수송 분야의 자동차 영역에서는 전기·수소차와 자율주행차에 R&D 역량을 집중하면서 철도·내연기관 등에 대한 투자는 점진적으로 축소·중단하게 된다.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는 태양광과 풍력에 집중하고, 폐기물, 태양열·지열 등에 대한 R&D 투자는 점차 줄이거나 중단해 나갈 예정이다.
산업부는 이번 산업기술 R&D 투자전략을 통해 25대 핵심분야에 대한 R&D 투자를 현재 70% 수준에서 95% 수준(2022년)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 가운데 차세대 반도체, 수소에너지 등 5개 분야는 현재 생산규모는 작지만 앞으로 그 규모가 커질 것으로 보고 R&D 투자도 비례해 늘리게 된다.
전략산업 육성과 우수 R&D 기업의 사업화 촉진을 위해 올해 450억원의 정부 출자금을 바탕으로 3개의 신규 펀드도 조성된다.
차세대 이차전지 산업 육성을 위해 배터리 소재·장비·셀 제조업체 등을 대상으로 하는 500억원 규모의 '차세대 이차전지펀드'가 그중 하나다. 300억원 규모의 '혁신성장 전략투자펀드'는 수소경제, 로봇, 빅데이터 등 혁신성장을 견인하는 주요 전략분야 육성을 목적으로 하고, 1천억원 규모의 '바이(Buy) R&D 펀드'는 4차 산업혁명 속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외부기술 도입을 주목적 투자대상으로 한다.
산업부는 지난해 조성한 신산업 외국인투자유치촉진펀드(500억원)와 산업기술금융 종합지원상품(GIFTs) 펀드(1천억원)의 투자도 본격적으로 개시한다고 밝혔다.
이날 협의회를 공동 주재한 정승일 차관은 "향후 5년간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으로 대변되는 4차 산업혁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이에 따라 주요 국가별 산업경쟁력도 크게 재편되는 시기"라며 "이런 중대한 전환기에 우리 산업 경쟁력의 핵심이 되는 기술 경쟁력을 어떻게 확보해 나갈지가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내년과 내후년 투자가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현재 계획대로라면 3년간 10조원에 육박하는 자금이 투입되는 것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7일 서울 생산성본부에서 제1차 전략기획투자협의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산업기술 R&D 투자전략'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LG화학, 현대자동차 등 기업과 학계, 전문가 등 민간위원 11명도 함께 했다.
산업부는 향후 R&D 집중 투자가 필요한 5대 영역, 25대 핵심 분야로 나눠 분야별로 구체적인 투자 방향을 제시했다.
5대 영역은 ▲ 미래수송 ▲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 편리한 생활 ▲ 에너지·환경 ▲ 스마트제조로 나뉜다.
미래 수송 분야의 자동차 영역에서는 전기·수소차와 자율주행차에 R&D 역량을 집중하면서 철도·내연기관 등에 대한 투자는 점진적으로 축소·중단하게 된다.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는 태양광과 풍력에 집중하고, 폐기물, 태양열·지열 등에 대한 R&D 투자는 점차 줄이거나 중단해 나갈 예정이다.
산업부는 이번 산업기술 R&D 투자전략을 통해 25대 핵심분야에 대한 R&D 투자를 현재 70% 수준에서 95% 수준(2022년)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 가운데 차세대 반도체, 수소에너지 등 5개 분야는 현재 생산규모는 작지만 앞으로 그 규모가 커질 것으로 보고 R&D 투자도 비례해 늘리게 된다.
전략산업 육성과 우수 R&D 기업의 사업화 촉진을 위해 올해 450억원의 정부 출자금을 바탕으로 3개의 신규 펀드도 조성된다.
차세대 이차전지 산업 육성을 위해 배터리 소재·장비·셀 제조업체 등을 대상으로 하는 500억원 규모의 '차세대 이차전지펀드'가 그중 하나다. 300억원 규모의 '혁신성장 전략투자펀드'는 수소경제, 로봇, 빅데이터 등 혁신성장을 견인하는 주요 전략분야 육성을 목적으로 하고, 1천억원 규모의 '바이(Buy) R&D 펀드'는 4차 산업혁명 속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외부기술 도입을 주목적 투자대상으로 한다.
산업부는 지난해 조성한 신산업 외국인투자유치촉진펀드(500억원)와 산업기술금융 종합지원상품(GIFTs) 펀드(1천억원)의 투자도 본격적으로 개시한다고 밝혔다.
이날 협의회를 공동 주재한 정승일 차관은 "향후 5년간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으로 대변되는 4차 산업혁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이에 따라 주요 국가별 산업경쟁력도 크게 재편되는 시기"라며 "이런 중대한 전환기에 우리 산업 경쟁력의 핵심이 되는 기술 경쟁력을 어떻게 확보해 나갈지가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