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니모리도 철수…中서 간판떼는 중저가 K뷰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K뷰티 화려한 시절 지나갔나"
더페이스샵·클리오 이어 세 번째
더페이스샵·클리오 이어 세 번째

2년째 영업손실 토니모리

토니모리 점주들이 단체행동에 나선 근본 배경은 실적 악화, 특히 중국 사업의 고전이다. 2016년 2331억원을 찍었던 매출은 2017년 2057억원으로 줄었다. 지난해엔 전년보다 12% 감소한 1809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2016년 176억원이었지만 2017년엔 19억원의 영업손실을 냈고 지난해엔 51억원으로 손실 규모가 커졌다. 위기의 핵심은 중국 상권이다. 토니모리는 2017년 10월 중국 화장품 유통업체 DMX와 5년 동안 총 23억5000만위안(약 4000억원) 규모의 제품 공급 계약을 체결했지만 지난해 8월 이 금액을 871억원으로 축소했다. 예상보다 장사가 안돼서다. 토니모리 관계자는 “우리가 책정한 연간 최소 구매금액(중국 수출액)의 80%에 미달할 경우 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데 지난해엔 목표금액의 43%에 그쳤다”며 “결국 중국 오프라인 매장을 철수하는 것이 낫다고 판단해 지난달 28일 계약 해지를 결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토니모리는 중국에서 당분간 온라인으로만 제품을 판매할 계획이다.
줄줄이 후퇴하는 K뷰티
색조 화장품 전문 중견 브랜드 클리오도 올해 상반기까지 중국 매장을 전부 철수키로 최근 결정했다. 69개였던 단독 매장을 지난해 23개로 줄였고 올 들어 10개를 더 폐점했다. 왓슨스, 세포라 등 헬스앤드뷰티(H&B)스토어에 입점했던 매장에서도 제품을 다 빼기로 했다. 한때 400여 개에 달했던 중국 왓슨스 내 클리오 매장도 지난해 45개로 줄였고 올 상반기까지 모두 철수할 계획이다. 중국 실적이 악화되면서 더이상 버틸 수 없게 된 것이다. 클리오의 지난해 매출은 1873억원으로 전년보다 3% 줄었고 8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전체 매출에서 40%를 차지하는 중국 매출이 급감한 게 주된 원인이다.
화장품업계에서는 “브랜드숍은 수백 개의 제품을 진열해놓고 재고 부담을 안아야 하는 고비용 구조인데도 기업들이 K뷰티 간판만 믿고 경쟁적으로 중국에 진출한 게 실패 원인”이라고 보고 있다.
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