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 국내 매출도 가짜뉴스도 모른다던…구글의 '언행불일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존 리 구글코리아 사장, 6일 행사 참석
시작‧끝맺음에 “한국 경제 성장 기여” 강조
구글세, 가짜뉴스 논란 등
국내 부정적 여론에 대해선 언급 없어
시작‧끝맺음에 “한국 경제 성장 기여” 강조
구글세, 가짜뉴스 논란 등
국내 부정적 여론에 대해선 언급 없어
“구글은 다양한 방식으로 한국의 경제성장에 기여해왔다.”
“한국이 성장하고 발전하도록 실질적인 도움을 주겠다.”
존 리 구글코리아 사장은 6일 오전 10시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AI with Google 2019’ 행사에서 이같이 말했다. 존 리 사장은 행사 시작에 앞서 10여분, 행사 맺음말로 1분여를 할애하며 구글코리아의 한국 내 ‘사회적 책임’을 강조했다.
이날 행사는 구글코리아가 한국에서 연내 1만명, 향후 5년 안에 AI(인공지능) 개발자 5만명을 교육하겠다는 계획을 밝히는 자리였다. 현 정부가 AI 기술력을 강화하기 위해 2022년까지 약 2조20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힌 것과 같은 맥락이다.
하지만 ‘기여’나 ‘책임’은 말만으로 이뤄지지 않는다. 행동으로 보여야 한다는 얘기다. 이러한 차원에서 존 리 사장의 발언들은 행동과 일치하지 않는 것들이었다. 구글세, 가짜뉴스 책임 논란, 국내 기업과의 역차별 논란 등 최근 국내에서 구글코리아가 사회적 책임과는 먼 행보를 보여주고 있어서다.
구글세는 해묵은 논란이지만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구글은 서버가 해외에 있다는 이유로 국내에서 올리는 매출액을 거의 공개하지 않고 있다. 매출이 공개되지 않으니 세금도 걷기 힘들어진 상황이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국내에서 법인세를 내고 있다. 구글세는 대표적으로 꼽히는 국내 IT 기업과의 역차별 사례다. 네이버는 줄곧 구글세와 관련해 해외 기업과의 부당한 역차별에 대해서 지적해왔다.
최근에는 가짜뉴스 논란까지 겹쳤다. 구글의 동영상 플랫폼 유튜브에 가짜뉴스가 넘쳐나지만 아무런 제재도 없이 방치되고 있다는 것이다. 유튜브에서 버젓이 재생되는 문재인 대통령의 치매설이나 5‧18 민주화운동 북한군 침투설 등이 대표적인 가짜뉴스다. 존 리 사장은 지난해 10월 국정감사에서 이같은 문제들에 대해 ‘모르쇠’ 태도로 일관해 뭇매를 맞기도 했다. 법인세의 기준이 되는 구글의 국내 매출 규모나 가짜뉴스 대응에 대해서도 모르겠다고 하거나 원론적인 답변만 오갔다.
노웅래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은 당시 “대답을 하지 않을 거라면 국감에 나올 이유가 없다. 한 지역의 대표가 매출액을 모른다는 답변은 매우 무책임하다”며 “약탈적 기업의 태도이고 책임 경영, 윤리 경영과 거리가 멀다”고 비판했다.
존 리 사장은 행사장에서 “한국은 지금 개발된 나라 중 하나로 부상했지만 미래가 밝지만은 않다”며 “구글이 한국에서 해야 하는 역할이 크다”고 말했다. 구글이 국내에서 역할을 다하려면 제기되는 문제점에 대해서 책임감 있는 행보를 보여야 한다. 사회적 책임을 아무리 강조해도, 실질적인 행동으로 보여주지 않으면 진정성은 퇴색된다.
최수진 한경닷컴 기자 naive@hankyung.com
“한국이 성장하고 발전하도록 실질적인 도움을 주겠다.”
존 리 구글코리아 사장은 6일 오전 10시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AI with Google 2019’ 행사에서 이같이 말했다. 존 리 사장은 행사 시작에 앞서 10여분, 행사 맺음말로 1분여를 할애하며 구글코리아의 한국 내 ‘사회적 책임’을 강조했다.
이날 행사는 구글코리아가 한국에서 연내 1만명, 향후 5년 안에 AI(인공지능) 개발자 5만명을 교육하겠다는 계획을 밝히는 자리였다. 현 정부가 AI 기술력을 강화하기 위해 2022년까지 약 2조20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힌 것과 같은 맥락이다.
하지만 ‘기여’나 ‘책임’은 말만으로 이뤄지지 않는다. 행동으로 보여야 한다는 얘기다. 이러한 차원에서 존 리 사장의 발언들은 행동과 일치하지 않는 것들이었다. 구글세, 가짜뉴스 책임 논란, 국내 기업과의 역차별 논란 등 최근 국내에서 구글코리아가 사회적 책임과는 먼 행보를 보여주고 있어서다.
구글세는 해묵은 논란이지만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구글은 서버가 해외에 있다는 이유로 국내에서 올리는 매출액을 거의 공개하지 않고 있다. 매출이 공개되지 않으니 세금도 걷기 힘들어진 상황이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국내에서 법인세를 내고 있다. 구글세는 대표적으로 꼽히는 국내 IT 기업과의 역차별 사례다. 네이버는 줄곧 구글세와 관련해 해외 기업과의 부당한 역차별에 대해서 지적해왔다.
최근에는 가짜뉴스 논란까지 겹쳤다. 구글의 동영상 플랫폼 유튜브에 가짜뉴스가 넘쳐나지만 아무런 제재도 없이 방치되고 있다는 것이다. 유튜브에서 버젓이 재생되는 문재인 대통령의 치매설이나 5‧18 민주화운동 북한군 침투설 등이 대표적인 가짜뉴스다. 존 리 사장은 지난해 10월 국정감사에서 이같은 문제들에 대해 ‘모르쇠’ 태도로 일관해 뭇매를 맞기도 했다. 법인세의 기준이 되는 구글의 국내 매출 규모나 가짜뉴스 대응에 대해서도 모르겠다고 하거나 원론적인 답변만 오갔다.
노웅래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은 당시 “대답을 하지 않을 거라면 국감에 나올 이유가 없다. 한 지역의 대표가 매출액을 모른다는 답변은 매우 무책임하다”며 “약탈적 기업의 태도이고 책임 경영, 윤리 경영과 거리가 멀다”고 비판했다.
존 리 사장은 행사장에서 “한국은 지금 개발된 나라 중 하나로 부상했지만 미래가 밝지만은 않다”며 “구글이 한국에서 해야 하는 역할이 크다”고 말했다. 구글이 국내에서 역할을 다하려면 제기되는 문제점에 대해서 책임감 있는 행보를 보여야 한다. 사회적 책임을 아무리 강조해도, 실질적인 행동으로 보여주지 않으면 진정성은 퇴색된다.
최수진 한경닷컴 기자 naiv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