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영 위원장 "소외계층 대표 겁박·회유해 사회적 대화 무산"
민주노총 "심한 왜곡…도를 넘은 행위" 반박
한국노총, '경사노위 파행' 민주노총 작심 비판…"용납 못해"
김주영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위원장이 8일 사회적 대화 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파행과 관련해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을 작심 비판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여의도 한국노총 컨벤션 홀에서 개최한 한국노총 창립 73주년 기념식 연설에서 "어제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본위원회가 파행을 겪었다"며 위기에 놓인 사회적 대화 문제를 거론했다.

이어 "사회적 대화 참여 여부를 스스로 결정하지 못하는 조직이, 총파업으로 노동문제를 해결하겠다고 호언장담한 조직이 청년·여성·비정규직 등 사회 소외계층 대표들을 겁박하고 회유해 사회적 대화를 무산시킨 것은 도저히 용납할 수 없는 행태"라며 "책임 있는 '내셔널 센터'라면 보여서는 안 될 행동"이라고 지적했다.

경사노위는 7일 문재인 대통령 참석하에 본위원회를 열어 탄력근로제 개선 합의를 포함한 안건을 의결할 계획이었으나 청년·여성·비정규직 위원 3명이 막판에 불참 의사를 밝혀 의결 정족수를 못 채웠고 문 대통령의 참석도 취소됐다.

청년·여성·비정규직 위원이 본위원회를 '보이콧'한 데는 경사노위에 불참하고 있는 민주노총의 압박이 작용했다는 관측이 나왔다.

한국노총은 경사노위 본위원회 파행 직후 입장문에서도 "(청년·여성·비정규직 위원을) 겁박한 세력이 있다"며 민주노총을 겨냥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 시간 한국노총은 우리에게 주어진 사회적 책임을 회피하지 않았다"며 "갈등이 생길 때마다 대화를 통해 해결하려 했고 필요하다면 강력한 투쟁을 했으며 다시 대화로써 문제를 마무리 지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결국 사회적 갈등은 사회적 대화를 통해 해결된다"며 한국노총이 주도적으로 참여한 광주형 일자리 협약과 택시·카풀 사회적 대타협을 대표적인 사례로 꼽았다.

김 위원장은 "책임을 외면하면 쉬운 길이 열릴 수도 있다.

그러나 지난 73년 한국노총의 역사는 쉬운 길을 택하지 않았다"며 "우리 사회의 책임 있는 조직으로서 2천만 노동자를 대변하며 노동이 존중받는 사회를 만들어가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민주노총은 이날 논평을 내고 "김주영 위원장의 오늘 연설은 심한 왜곡을 담고 있다"며 "도를 넘은 행위"라고 밝혔다.

민주노총은 "경사노위 계층별 노동위원들에게 가해지는 감당할 수 없는 압박과 소외감을 누구보다 잘 알고 가슴 아파하면서도 그들에게 털끝만큼의 부담이라도 더해질까 두려워 위로나 격려의 인사조차 건네지 못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노동계에서는 사회적 대화에 반대하는 민주노총 관련 조직이 청년·여성·비정규직 위원을 압박했을 개연성은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그러나 이것이 사실이라고 하더라도 민주노총 차원의 개입으로 간주하는 것은 과도하다는 시각도 있다.

민주노총 내부의 이념적 스펙트럼이 다양하기 때문이다.

김명환 위원장도 경사노위에 들어가 사회적 대화를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경사노위 노동시간 제도 개선위원회가 지난달 19일 한국노총 주도하에 탄력근로제 개선 합의를 도출한 것을 계기로 양대 노총의 대립이 심화하는 양상이다.

민주노총이 합의를 '불법 야합'으로 몰아붙이자 한국노총은 민주노총에 대해 '무책임의 극치'라고 비난했다.

한국노총 창립 기념식에는 더불어민주당 홍영표 원내대표, 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 박원순 서울시장, 문성현 경사노위 위원장, 이목희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 임서정 고용노동부 차관, 김용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 상근부회장 등이 참석했다.

민주노총 대표는 참석하지 않았다.

한국노총은 1946년 3월 10일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대한노총) 결성으로 출발했다.

1960년 전국노협과 통합해 한국노총으로 명칭을 바꿨고 1987년 노동자 대투쟁을 계기로 권력과 자본으로부터 독립된 민주노동운동을 시작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