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전망대] 1년4개월 만에 다시 찾은 IMF, 한국 경제에 또 경고하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조재길 경제부 차장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1일 국제통화기금(IMF) 연례협의 미션단을 만난다. 12일 발표하는 ‘2019년 IMF-한국 연례협의 결과’를 앞두고 마지막 ‘조율’을 하기 위해서다. IMF의 연례협의 결과 발표는 2017년 11월 이후 1년4개월 만이다.
IMF는 한국에선 가장 유명한 국제기구 중 하나다. 국가 부도 위기에 처했던 1997년 12월 3일 IMF로부터 긴급 구제금융을 받은 뒤 약 4년간 ‘관리’를 받으면서다.
2017년 한국을 찾은 IMF는 문재인 정부의 ‘J-노믹스’(경제정책)에 대해 낙관했다. 당시 재정 확장 및 통화 완화 정책을 집중 주문했던 배경이다. 이번엔 이런 태도가 많이 달라졌을 가능성이 높다. IMF는 작년 10월 한국의 2019년 경제성장률을 2.6%로 전망했다. 2017년(3.1%) 대비 0.5%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2.8% 전망보다도 낮게 봤다. 고용·생산·분배 등 경제 지표가 악화하고 있고 미·중 무역분쟁과 같은 대외 악재도 여전하다. 유일한 버팀목으로 꼽히던 수출은 3개월 연속 감소했다. 13일에는 통계청이 ‘2월 고용동향’을 내놓는다. 정부가 가장 자신없어 하는 부분이다. 지난 1월엔 실업자 수가 122만4000명에 달했다. 1월 기준으로 2000년 이후 19년 만의 최대치였다. 실업률은 4.5%로, 2010년 1월 이후 최고점을 찍었다. 공공일자리 확대 등에 세금을 집중 투입하고 있지만 고용부진 흐름이 쉽게 꺾일 것 같지 않다.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건 정부가 아니라 기업”이란 경제 전문가들의 지적을 귀담아 들을 만하다.
14일엔 민간투자 활성화 협의회가 열린다. 현 정부 들어 처음이다. 기재부 차관 주재 회의인데, 중앙부처 및 전국 17개 광역시 간부들이 참석한다. 도로·철도 등 사회간접자본(SOC) 등에 민간투자를 촉진하는 방안을 놓고 협의한다. 한국은행은 15일 ‘2월 수출입물가지수’를 발표한다. 수출물가는 마이너스 가능성이 높다. ‘단일 수출품목 1위’인 반도체 단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해서다. 1월만 해도 D램 수출물가는 전달 대비 14.9% 떨어졌다. 수입물가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품목은 원유다. 지난달 국제 유가는 배럴당 60달러대에서 등락을 거듭했다. 보합세를 보였을 것 같다.
지난 8일 7개 부처 장관을 교체해 ‘2기 내각’을 완성한 문재인 대통령은 10일 브루나이·말레이시아·캄보디아 순방을 떠났다. 6박7일 일정이다. 동남아시아 국가들을 겨냥한 신(新)남방정책을 내실화하겠다는 포석이다. 더구나 브루나이는 북한 수교국이다. 북한이 미사일 발사장을 복구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상황에서, 문 대통령이 어떤 외교적 메시지를 던질지 주목된다.
기업들에도 바쁜 한 주가 될 듯하다. 100곳 넘는 상장업체들이 작년 실적에 대한 주주 평가를 받는다. 15일은 ‘슈퍼 주총데이’다. LG전자, 포스코, 기아자동차, 신세계, 효성 등 주총이 몰려 있다. 상당수 기업은 작년 경기 둔화의 파고를 피하지 못했을 것이란 게 증권업계의 설명이다.
road@hankyung.com
IMF는 한국에선 가장 유명한 국제기구 중 하나다. 국가 부도 위기에 처했던 1997년 12월 3일 IMF로부터 긴급 구제금융을 받은 뒤 약 4년간 ‘관리’를 받으면서다.
2017년 한국을 찾은 IMF는 문재인 정부의 ‘J-노믹스’(경제정책)에 대해 낙관했다. 당시 재정 확장 및 통화 완화 정책을 집중 주문했던 배경이다. 이번엔 이런 태도가 많이 달라졌을 가능성이 높다. IMF는 작년 10월 한국의 2019년 경제성장률을 2.6%로 전망했다. 2017년(3.1%) 대비 0.5%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2.8% 전망보다도 낮게 봤다. 고용·생산·분배 등 경제 지표가 악화하고 있고 미·중 무역분쟁과 같은 대외 악재도 여전하다. 유일한 버팀목으로 꼽히던 수출은 3개월 연속 감소했다. 13일에는 통계청이 ‘2월 고용동향’을 내놓는다. 정부가 가장 자신없어 하는 부분이다. 지난 1월엔 실업자 수가 122만4000명에 달했다. 1월 기준으로 2000년 이후 19년 만의 최대치였다. 실업률은 4.5%로, 2010년 1월 이후 최고점을 찍었다. 공공일자리 확대 등에 세금을 집중 투입하고 있지만 고용부진 흐름이 쉽게 꺾일 것 같지 않다.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건 정부가 아니라 기업”이란 경제 전문가들의 지적을 귀담아 들을 만하다.
14일엔 민간투자 활성화 협의회가 열린다. 현 정부 들어 처음이다. 기재부 차관 주재 회의인데, 중앙부처 및 전국 17개 광역시 간부들이 참석한다. 도로·철도 등 사회간접자본(SOC) 등에 민간투자를 촉진하는 방안을 놓고 협의한다. 한국은행은 15일 ‘2월 수출입물가지수’를 발표한다. 수출물가는 마이너스 가능성이 높다. ‘단일 수출품목 1위’인 반도체 단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해서다. 1월만 해도 D램 수출물가는 전달 대비 14.9% 떨어졌다. 수입물가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품목은 원유다. 지난달 국제 유가는 배럴당 60달러대에서 등락을 거듭했다. 보합세를 보였을 것 같다.
지난 8일 7개 부처 장관을 교체해 ‘2기 내각’을 완성한 문재인 대통령은 10일 브루나이·말레이시아·캄보디아 순방을 떠났다. 6박7일 일정이다. 동남아시아 국가들을 겨냥한 신(新)남방정책을 내실화하겠다는 포석이다. 더구나 브루나이는 북한 수교국이다. 북한이 미사일 발사장을 복구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상황에서, 문 대통령이 어떤 외교적 메시지를 던질지 주목된다.
기업들에도 바쁜 한 주가 될 듯하다. 100곳 넘는 상장업체들이 작년 실적에 대한 주주 평가를 받는다. 15일은 ‘슈퍼 주총데이’다. LG전자, 포스코, 기아자동차, 신세계, 효성 등 주총이 몰려 있다. 상당수 기업은 작년 경기 둔화의 파고를 피하지 못했을 것이란 게 증권업계의 설명이다.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