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등 감지 'IoT 센서' 서울 전역에 5만개 설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스마트시티에 2022년까지 1조4천억 투입…다산콜 상담도 챗봇으로
다세대 주택 시세 정보 제공…"빅데이터 기반 스마트시티 도약" 2022년까지 서울 전역에 미세먼지, 교통 등 시민 생활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수집하는 사물인터넷(IoT) 센터 5만개가 설치된다.
올해 다산콜센터에는 '챗봇'(chatbot)이 도입되고, 스마트폰으로 공영주차장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공유주차 시스템도 선을 보인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13일 시청에서 열린 '스마트시티 좌담회'에서 이런 내용의 '스마트시티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스마트시티 추진계획은 2022년까지 총 1조4천억원을 투자해 서울을 '빅데이터 수도'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울시는 우선 2022년까지 시 전역에 5만개의 IoT 센서를 설치해 미세먼지, 야간 빛 세기, 유동인구, 차량 이동 등의 데이터를 수집할 계획이다.
수집한 각종 데이터는 연내 구축할 '공공 빅데이터 통합 저장소'를 통해 맞춤형 스마트 행정에 활용한다.
예컨대 조도 센서로 확보한 야간 빛 데이터를 분석해 밤길 안전 대책을 만들 수 있다.
도시계획 수립에는 3D 기반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80억원을 들여 시 전역의 도시 환경을 가상 공간에 3D로 구현해 도시 변화 예측에 활용하는 시스템(Virtual Seoul)을 2021년까지 구축할 계획이다.
120다산콜에는 이달 시범적으로 '챗봇' 문자 상담(카카오톡) 기능을 도입한다.
AI가 질문에 자동으로 답변하는 방식이다.
교통 분야에서는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주차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IoT 공유주차 시스템'을 공영주차장 500면에서 시작해 2022년까지 총 3천면으로 확대한다.
CCTV도 한층 똑똑해진다.
서울시는 싸움, 방화 등을 자동으로 인식해 경찰이나 소방서 등에 실시간으로 알리는 '지능형 CCTV' 총 1만7천820대를 2021년까지 도입한다.
연내에는 자치구별 CCTV 영상 정보를 경찰, 소방 등과 공유하는 '스마트서울 안전센터'를 설치할 예정이다. 이밖에 1인 노인가구의 전력 사용량을 통해 위험 상황을 감지하는 실시간 돌봄 서비스가 올해 1천 가구를 대상으로 운영된다.
시립병원, 보건소, 찾아가는동주민센터가 블록체인(분산원장)으로 당사자 동의를 얻은 의료 기록을 공유하는 시스템 개발도 추진된다.
공공 와이파이는 내년까지 전체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250개 전 노선, 2022년까지 노인·장애인복지관 1천240곳에 설치된다.
지하철 와이파이 속도는 2020년까지 현재(10Mbps)의 120배인 1.2Gbps로 끌어올린다.
'스마트시티 시범단지'로 조성 중인 마곡지구에는 올해 6월까지 공공와이파이존 109곳, CCTV 257개 등이 구축된다.
5월 개원을 앞둔 서울식물원에는 보행자를 감지하는 스마트조명과 실시간 무인계수시스템이 도입된다. 서울시는 민간의 참여를 끌어들이기 위해 2020년까지 '민·관 공동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올해 8개 민간기업과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6월까지 금융기관과 다세대주택 등 '소형 공동주택 매매시세 데이터'를 개발해 매매 정보를 제공하고 내년 상반기에는 전·월세 정보까지 제공할 계획이다.
디지털 시민시장실도 고도화해 교통, 재난, 환경 등 데이터 1천600만건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시각화해 제공한다.
또한 올해 시민 선호도가 높은 소상공인 종합지원, 공연관리 등 170개 시스템의 데이터를 개방한다.
2020년까지 산하기관이 보유한 공공 데이터를 전면 개방한다는 게 서울시의 목표다.
서울시는 아울러 중소기업도 스마트시티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올해 5월 '스마트서울 협치시스템'을 개설하고, 2022년까지 '스마트시티 펀드'를 2천500억원 규모로 늘린다.
시민들이 스마트시티 솔루션을 직접 개발하는 '스마트시티즌랩 프로젝트'도 올해 시작한다.
서울시는 LED 바닥신호등과 스마트 보안등을 '생활현장 스마트시티 특구'인 양천구와 성동구 중심으로 설치할 예정이다.
양천구는 IoT 기술을 장애인 전용 구역 불법 주정차 관리, 성동구는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 원격 관리에 각각 활용할 계획이다.
김수영 양천구청장은 "양천구에는 이미 보안등 7천500개가 있는데 스마트 기술을 이용하면 고장 유무를 미리 파악해 행정력 낭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지금 당장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찾아내는 게 중요하다"며 "현재 우리 구에서는 학부모, 전문가들이 등굣길 위험 지역을 파악해 안전한 통학로 만드는 작업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빅데이터 활용 과정에서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는 피할 수 없는 과제다.
특히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사물이 늘면 해킹 위험도 커질 수밖에 없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백업 센터를 구축했다"며 "개인정보 익명화 등 프라이버시 침해를 최소화하는 기술을 활용하면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낙관했다.
그는 "AI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하면 시간대별로 비는 도로를 주차장으로 활용할 수 있다"며 "내가 쓴 책, 정책 데이터를 학습한 'AI 박원순'이 나타나는 날도 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 시장은 "행정, 교통, 안전, 환경, 복지, 경제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시티 추진계획'을 통해 세계 전자정부 1위를 넘어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시티로 도약하겠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다세대 주택 시세 정보 제공…"빅데이터 기반 스마트시티 도약" 2022년까지 서울 전역에 미세먼지, 교통 등 시민 생활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수집하는 사물인터넷(IoT) 센터 5만개가 설치된다.
올해 다산콜센터에는 '챗봇'(chatbot)이 도입되고, 스마트폰으로 공영주차장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공유주차 시스템도 선을 보인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13일 시청에서 열린 '스마트시티 좌담회'에서 이런 내용의 '스마트시티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스마트시티 추진계획은 2022년까지 총 1조4천억원을 투자해 서울을 '빅데이터 수도'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울시는 우선 2022년까지 시 전역에 5만개의 IoT 센서를 설치해 미세먼지, 야간 빛 세기, 유동인구, 차량 이동 등의 데이터를 수집할 계획이다.
수집한 각종 데이터는 연내 구축할 '공공 빅데이터 통합 저장소'를 통해 맞춤형 스마트 행정에 활용한다.
예컨대 조도 센서로 확보한 야간 빛 데이터를 분석해 밤길 안전 대책을 만들 수 있다.
도시계획 수립에는 3D 기반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80억원을 들여 시 전역의 도시 환경을 가상 공간에 3D로 구현해 도시 변화 예측에 활용하는 시스템(Virtual Seoul)을 2021년까지 구축할 계획이다.
120다산콜에는 이달 시범적으로 '챗봇' 문자 상담(카카오톡) 기능을 도입한다.
AI가 질문에 자동으로 답변하는 방식이다.
교통 분야에서는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주차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IoT 공유주차 시스템'을 공영주차장 500면에서 시작해 2022년까지 총 3천면으로 확대한다.
CCTV도 한층 똑똑해진다.
서울시는 싸움, 방화 등을 자동으로 인식해 경찰이나 소방서 등에 실시간으로 알리는 '지능형 CCTV' 총 1만7천820대를 2021년까지 도입한다.
연내에는 자치구별 CCTV 영상 정보를 경찰, 소방 등과 공유하는 '스마트서울 안전센터'를 설치할 예정이다. 이밖에 1인 노인가구의 전력 사용량을 통해 위험 상황을 감지하는 실시간 돌봄 서비스가 올해 1천 가구를 대상으로 운영된다.
시립병원, 보건소, 찾아가는동주민센터가 블록체인(분산원장)으로 당사자 동의를 얻은 의료 기록을 공유하는 시스템 개발도 추진된다.
공공 와이파이는 내년까지 전체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250개 전 노선, 2022년까지 노인·장애인복지관 1천240곳에 설치된다.
지하철 와이파이 속도는 2020년까지 현재(10Mbps)의 120배인 1.2Gbps로 끌어올린다.
'스마트시티 시범단지'로 조성 중인 마곡지구에는 올해 6월까지 공공와이파이존 109곳, CCTV 257개 등이 구축된다.
5월 개원을 앞둔 서울식물원에는 보행자를 감지하는 스마트조명과 실시간 무인계수시스템이 도입된다. 서울시는 민간의 참여를 끌어들이기 위해 2020년까지 '민·관 공동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올해 8개 민간기업과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6월까지 금융기관과 다세대주택 등 '소형 공동주택 매매시세 데이터'를 개발해 매매 정보를 제공하고 내년 상반기에는 전·월세 정보까지 제공할 계획이다.
디지털 시민시장실도 고도화해 교통, 재난, 환경 등 데이터 1천600만건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시각화해 제공한다.
또한 올해 시민 선호도가 높은 소상공인 종합지원, 공연관리 등 170개 시스템의 데이터를 개방한다.
2020년까지 산하기관이 보유한 공공 데이터를 전면 개방한다는 게 서울시의 목표다.
서울시는 아울러 중소기업도 스마트시티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올해 5월 '스마트서울 협치시스템'을 개설하고, 2022년까지 '스마트시티 펀드'를 2천500억원 규모로 늘린다.
시민들이 스마트시티 솔루션을 직접 개발하는 '스마트시티즌랩 프로젝트'도 올해 시작한다.
서울시는 LED 바닥신호등과 스마트 보안등을 '생활현장 스마트시티 특구'인 양천구와 성동구 중심으로 설치할 예정이다.
양천구는 IoT 기술을 장애인 전용 구역 불법 주정차 관리, 성동구는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 원격 관리에 각각 활용할 계획이다.
김수영 양천구청장은 "양천구에는 이미 보안등 7천500개가 있는데 스마트 기술을 이용하면 고장 유무를 미리 파악해 행정력 낭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지금 당장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찾아내는 게 중요하다"며 "현재 우리 구에서는 학부모, 전문가들이 등굣길 위험 지역을 파악해 안전한 통학로 만드는 작업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빅데이터 활용 과정에서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는 피할 수 없는 과제다.
특히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사물이 늘면 해킹 위험도 커질 수밖에 없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백업 센터를 구축했다"며 "개인정보 익명화 등 프라이버시 침해를 최소화하는 기술을 활용하면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낙관했다.
그는 "AI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하면 시간대별로 비는 도로를 주차장으로 활용할 수 있다"며 "내가 쓴 책, 정책 데이터를 학습한 'AI 박원순'이 나타나는 날도 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 시장은 "행정, 교통, 안전, 환경, 복지, 경제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시티 추진계획'을 통해 세계 전자정부 1위를 넘어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시티로 도약하겠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