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입銀 구조조정 '지지부진'…"지역반발에 막혀 이도저도 못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점·출장소 폐쇄 계획 세웠지만
창원·원주 등서 반발 거세
국회의원까지 나서 철회 '압박'
창원·원주 등서 반발 거세
국회의원까지 나서 철회 '압박'
수출입은행이 비용 절감을 위해 추진하는 조직 슬림화가 지역사회의 반발로 진통을 겪고 있다. 경남 창원지점과 강원 원주출장소 등 상대적으로 수출금융 수요가 적은 지역 사무소를 폐쇄하려는 수은의 조직개편 계획에 해당 지역 경제단체 및 정치권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어서다.
13일 금융계에 따르면 창원상공회의소 등 경남지역 6개 경제단체는 최근 기획재정부 등 정부 부처 및 여야 정치권에 ‘수출입은행 창원지점 폐쇄결정 철회 건의서’를 보냈다. 이들 단체는 건의서에서 “창원을 비롯한 경남은 국내 제조업과 수출의 중심지역”이라며 “지역 수출기업들이 장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시기에 수출입은행의 지점 폐쇄는 ‘비 오는 날 우산 뺏는 격’”이라고 했다.
수은은 지난해 12월 조직개편을 통해 창원지점과 구미·여수·원주출장소 등 4곳의 지역 사무소를 올 상반기 폐쇄하겠다고 발표했다. 출범 이후 사상 처음으로 대규모 적자를 낸 2016년 말 마련한 혁신안의 후속 대책이다. 4곳 지역 중 창원과 원주 지역사회가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는 것이 수은의 설명이다.
강원경제단체연합회와 원주상공회의소 등 강원 지역 경제단체도 원주출장소 존치를 요구하며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 원주시의회는 지난 1월 원주출장소 존치 촉구 건의안을 발의하기도 했다. 이들은 “공적 수출신용기관인 수은이 단순한 경제 논리로 출장소를 폐쇄하는 건 국가 균형발전을 외면하고 지방을 홀대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역 경제단체뿐 아니라 정치권과 지방자치단체도 가세했다. 원주와 창원에 지역구를 둔 국회의원과 지자체장들이 잇달아 은성수 수은 행장을 면담하며 사무소 존치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은은 지역 사무소 폐쇄 방침에 변함이 없다고 밝히지만 내부에서도 고심을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은 행장이 정치인들과의 면담에서 “지역사회 여론을 충분히 수렴하겠다”고 밝히면서 올 상반기로 예정된 사무소 폐쇄 시점이 늦어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수은 관계자는 “수출기업이 불편을 겪지 않도록 직원들이 해당 지역을 1주일에 한 번 방문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13일 금융계에 따르면 창원상공회의소 등 경남지역 6개 경제단체는 최근 기획재정부 등 정부 부처 및 여야 정치권에 ‘수출입은행 창원지점 폐쇄결정 철회 건의서’를 보냈다. 이들 단체는 건의서에서 “창원을 비롯한 경남은 국내 제조업과 수출의 중심지역”이라며 “지역 수출기업들이 장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시기에 수출입은행의 지점 폐쇄는 ‘비 오는 날 우산 뺏는 격’”이라고 했다.
수은은 지난해 12월 조직개편을 통해 창원지점과 구미·여수·원주출장소 등 4곳의 지역 사무소를 올 상반기 폐쇄하겠다고 발표했다. 출범 이후 사상 처음으로 대규모 적자를 낸 2016년 말 마련한 혁신안의 후속 대책이다. 4곳 지역 중 창원과 원주 지역사회가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는 것이 수은의 설명이다.
강원경제단체연합회와 원주상공회의소 등 강원 지역 경제단체도 원주출장소 존치를 요구하며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 원주시의회는 지난 1월 원주출장소 존치 촉구 건의안을 발의하기도 했다. 이들은 “공적 수출신용기관인 수은이 단순한 경제 논리로 출장소를 폐쇄하는 건 국가 균형발전을 외면하고 지방을 홀대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역 경제단체뿐 아니라 정치권과 지방자치단체도 가세했다. 원주와 창원에 지역구를 둔 국회의원과 지자체장들이 잇달아 은성수 수은 행장을 면담하며 사무소 존치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은은 지역 사무소 폐쇄 방침에 변함이 없다고 밝히지만 내부에서도 고심을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은 행장이 정치인들과의 면담에서 “지역사회 여론을 충분히 수렴하겠다”고 밝히면서 올 상반기로 예정된 사무소 폐쇄 시점이 늦어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수은 관계자는 “수출기업이 불편을 겪지 않도록 직원들이 해당 지역을 1주일에 한 번 방문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