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토론회는 행안부와 중기 옴부즈만, 한국규제학회 주최로 열렸으며 17개 시·도 243개 지방자치단체 등이 참석했다. ‘기업과 현장의 눈높이에서 적극 행정으로 이 규제만이라도 풀자’라는 캐치프레이즈로 열렸다. 그동안 지역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어려움을 호소한 신산업, 신기술, 산업단지, 부담금, 외국인력 등 현안 규제를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전국 지자체가 모여 대규모로 개최한 규제 혁신 토론회는 이번이 처음이다.
탁주 산도(酸度) 규제, 기업부설연구소 입지 규제, 외국인력 규제 등 11건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등이 현장의 눈높이에서 관련 규제를 바꾸기로 했다. 예컨대 맥주 와인 등 과실주는 산도 제한이 없지만 탁주 약주 청주는 총 산도를 제한해 신제품 개발을 막는다는 지적이 있었다. 김부겸 장관은 “공무원들이 적극 나서지 않으면 ‘규제 샌드박스’도 무용지물이 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며 “누구나 새로운 기술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만 있으면 도전할 수 있는 새로운 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강조했다.
김정은 기자 likesmi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