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2022년까지 서울 전역에 5만 개의 사물인터넷, IoT 센서를 설치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 모두 1조 4천억 원을 투자해 스마트시티로 도약하겠다는 구상입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오늘(13일) 이런 내용의 `스마트시티 서울 추진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서울 전역에 설치된 5만 개의 `IoT 센서`는 미세먼지와 소음, 바람, 야간 빛 세기 등의 도시 환경 전반에 대한 데이터와 유동인구와 차량 이동 등 시민 생활 관련 데이터 등을 광범위하게 수집합니다.

서울시는 이런 데이터와 기존에 가지고 있는 행정데이터를 분석해 활용한다는 계획입니다.

예를 들어 야간 빛 데이터를 분석해 밤길 안전 확보를 위한 정책을 만들고 지역별 폭염과 한파 데이터를 분석해 그늘막이나 빙판길 열선 설치 위치를 정하는 방식입니다.

이와 함께 서울시는 올해 내로 데이터를 한 곳에서 저장하고 분석할 수 있는 `공공 빅데이터 통합 저장소`도 구축할 예정입니다.

IoT 센서가 주차 차량 유무를 실시간으로 파악해 시민들이 스마트폰 앱으로 주차공간을 확인하고 예약할 수 있는 `공유주차 시스템`도 도입됩니다.

인공지능 AI 기술로 기사와 승객을 연결하는 `AI 택시` 서비스도 올해 새롭게 시작합니다.

AI 기술로 시민 질문에 자동으로 답변하는 `챗봇` 기능도 올해 120다산콜에 시범 적용합니다.

서울시는 올해 자치구별로 관리하고 있는 CCTV 영상정보를 공동으로 활용하는 `스마트서울 안전센터`를 설치할 예정입니다.

이곳에서는 지능형 CCTV 등을 통해 빅데이터와 빅데이터와 AI 기술을 기반으로 영상을 분석해 싸움, 방화 등 특정상황을 자동으로 탐지하고 위험이 감지되면 경찰이나 소방서 등에 실시간으로 알리게 됩니다.

서울시는 앞으로 도시계획을 수립하거나 새로 건물을 지을 때도 기존 도시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3D 기반 버추얼 서울`로 시뮬레이션 하는 등 서울을 `빅데이터 수도`로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
`스마트시티 서울`에 1조4천억 투입…IoT 센서 5만개 설치
이주비기자 lhs718@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