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정준영 트라우마가 불러온 씁쓸한 호황…몰카 방지 용품 매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SNS, 온라인 커뮤니티에 몰카 방지 용품 인증샷 봇물
용품 구입 소비자, 과거 기업에서 최근 개인으로 변화
용품 구입 소비자, 과거 기업에서 최근 개인으로 변화
최근 여성들이 온라인쇼핑몰을 통해 몰카 방지 용품 구매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준영 사태로 인해 몰카 공포가 커졌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15일 온라인쇼핑몰 G마켓에 따르면 정준영 사태가 터진 이후 카메라탐지기 등 몰카 용품의 판매가 전년대비 333%나 증가했다. 몰카탐지기를 생산하는 업체인 코리아리서치 관계자도 몰카 탐지 용품에 대한 수요가 늘었고 공공장소뿐만 아니라 1인 가구나 일반 가정집의 몰카 탐지 의뢰가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여성들의 몰카 공포는 정준영 사태에 2017년부터 급격히 확산됐다. 경찰청이 최근 5년간 성범죄 유형별 발생건수를 분석한 자료에 의하면 전체 14만880건 중 2만6654건(19%)이 몰카 피해였다. 지난해 상반기 검거된 몰카 피의자 1288명 중 무려 95%인 1231명이 남성으로 나타나 여성들의 몰카 공포는 일부 커뮤니티의 주장처럼 '호들갑'이 아닌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3월 당시 이철성 경찰청장은 전국 지방청에 사이버성폭력수사팀을 신설하며 5월에는 '여성악성범죄 집중단속 100일 계획'을 펼치는 등 여성을 대상으로 한 몰카 범죄 방지를 위해 잇달아 대책을 내놨다. 또한 여성가족부는 지난해 9월 '디지털성범죄 피해방지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대책 마련에 나섰다. 변형 카메라 수입·판매업 등록제 도입, 불법 영상물 신속 삭제·차단·유통 통제, 가해자 수사 및 처벌 강화를 골자로 한 내용이었다.
하지만 이는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지난해 10월 서울경찰청은 전파법 등 인증을 받지 않은 불법 몰카 수입 일당을 검거했다. 이들은 2015년 1월부터 8개월간 몰카 3568점을 수입해 7억9000만원 상당을 불법 유통했다. 초소형 카메라, 벽걸이 시계, 차 열쇠 모양 등 종류도 다양해 몰카를 유통하는 암시장이 존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게다가 정준영 사태를 통해 알 수 있듯 연인이나 지인 등 합의하에 가지는 성관계 중 발생하는 몰카 범죄에 대해서는 어떠한 예방 대책도 없는 상황이다. 결국 불안감을 느낀 여성들이 '몰카 방지 용품'을 마련하고 스스로 지키기 위한 행동이 관련 용품 구매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트위터 등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여성들의 구매 인증 사진이 속속 올라오고 있다. 구매자들은 "몰래 카메라 공포증에 걸린 것 같다"며 "찰칵 소리만 나도 화들짝 놀라고 왜 이런 걸 사서 들고 다녀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분노했다.
화장실의 구멍을 막는 '퍼티'(유리창 틀을 붙이거나 철관을 잇는 데 쓰는 반죽 용품)도 불티나게 팔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관계자는 "여성들이 몰카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송곳과 실리콘, 퍼티 등을 선택하는 이유는 휴대성이 용이하기 때문"이라며 "크기가 작아 가방에 넣고 다닐 수 있어 여성들이 선호한다"고 말했다. 한 몰카 방지용품 판매업체 관계자는 "과거에는 주로 기업들이 기밀유지를 위해 몰카 방지 용품을 찾았지만 최근에는 개인들이 찾고 있다"며 "정준영 사태 이후에는 관련 용품 문의가 3배 정도 늘었다"고 말했다.
김여진 한국사이버성폭력대응센터 피해지원국장은 "연인 간 성관계 중 촬영된 불법 영상물로 상담을 받는 경우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지만 몰카 피해를 인지하지 못했거나, 알고 있어도 신고하지 못하는 경우는 훨씬 많을 것"이라며 "불안피해도 사이버성폭력의 한 유형"이라고 했다.
이어 "몰카 촬영부터 유통까지 사이버성폭력 과정이 산업화돼 있는 게 가장 큰 문제"라며 "몰카 방지용품 판매율이 늘어난다는 건 이제 여성들이 스스로 자신을 지켜야 한다는 절박감이 수치로 나타난 것이기 때문에 관련 업계의 호황이 씁쓸하기만 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강경주 한경닷컴 기자 qurasoha@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15일 온라인쇼핑몰 G마켓에 따르면 정준영 사태가 터진 이후 카메라탐지기 등 몰카 용품의 판매가 전년대비 333%나 증가했다. 몰카탐지기를 생산하는 업체인 코리아리서치 관계자도 몰카 탐지 용품에 대한 수요가 늘었고 공공장소뿐만 아니라 1인 가구나 일반 가정집의 몰카 탐지 의뢰가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여성들의 몰카 공포는 정준영 사태에 2017년부터 급격히 확산됐다. 경찰청이 최근 5년간 성범죄 유형별 발생건수를 분석한 자료에 의하면 전체 14만880건 중 2만6654건(19%)이 몰카 피해였다. 지난해 상반기 검거된 몰카 피의자 1288명 중 무려 95%인 1231명이 남성으로 나타나 여성들의 몰카 공포는 일부 커뮤니티의 주장처럼 '호들갑'이 아닌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3월 당시 이철성 경찰청장은 전국 지방청에 사이버성폭력수사팀을 신설하며 5월에는 '여성악성범죄 집중단속 100일 계획'을 펼치는 등 여성을 대상으로 한 몰카 범죄 방지를 위해 잇달아 대책을 내놨다. 또한 여성가족부는 지난해 9월 '디지털성범죄 피해방지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대책 마련에 나섰다. 변형 카메라 수입·판매업 등록제 도입, 불법 영상물 신속 삭제·차단·유통 통제, 가해자 수사 및 처벌 강화를 골자로 한 내용이었다.
하지만 이는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지난해 10월 서울경찰청은 전파법 등 인증을 받지 않은 불법 몰카 수입 일당을 검거했다. 이들은 2015년 1월부터 8개월간 몰카 3568점을 수입해 7억9000만원 상당을 불법 유통했다. 초소형 카메라, 벽걸이 시계, 차 열쇠 모양 등 종류도 다양해 몰카를 유통하는 암시장이 존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게다가 정준영 사태를 통해 알 수 있듯 연인이나 지인 등 합의하에 가지는 성관계 중 발생하는 몰카 범죄에 대해서는 어떠한 예방 대책도 없는 상황이다. 결국 불안감을 느낀 여성들이 '몰카 방지 용품'을 마련하고 스스로 지키기 위한 행동이 관련 용품 구매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트위터 등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여성들의 구매 인증 사진이 속속 올라오고 있다. 구매자들은 "몰래 카메라 공포증에 걸린 것 같다"며 "찰칵 소리만 나도 화들짝 놀라고 왜 이런 걸 사서 들고 다녀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분노했다.
화장실의 구멍을 막는 '퍼티'(유리창 틀을 붙이거나 철관을 잇는 데 쓰는 반죽 용품)도 불티나게 팔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관계자는 "여성들이 몰카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송곳과 실리콘, 퍼티 등을 선택하는 이유는 휴대성이 용이하기 때문"이라며 "크기가 작아 가방에 넣고 다닐 수 있어 여성들이 선호한다"고 말했다. 한 몰카 방지용품 판매업체 관계자는 "과거에는 주로 기업들이 기밀유지를 위해 몰카 방지 용품을 찾았지만 최근에는 개인들이 찾고 있다"며 "정준영 사태 이후에는 관련 용품 문의가 3배 정도 늘었다"고 말했다.
김여진 한국사이버성폭력대응센터 피해지원국장은 "연인 간 성관계 중 촬영된 불법 영상물로 상담을 받는 경우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지만 몰카 피해를 인지하지 못했거나, 알고 있어도 신고하지 못하는 경우는 훨씬 많을 것"이라며 "불안피해도 사이버성폭력의 한 유형"이라고 했다.
이어 "몰카 촬영부터 유통까지 사이버성폭력 과정이 산업화돼 있는 게 가장 큰 문제"라며 "몰카 방지용품 판매율이 늘어난다는 건 이제 여성들이 스스로 자신을 지켜야 한다는 절박감이 수치로 나타난 것이기 때문에 관련 업계의 호황이 씁쓸하기만 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강경주 한경닷컴 기자 qurasoha@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