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이슬람 사원·동대문 실크로드…낯선 서울을 마주하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여행의 향기
서울관광재단과 함께 하는 숨겨진 서울이야기 (10)·끝
도심 속 이국적인 거리
서울관광재단과 함께 하는 숨겨진 서울이야기 (10)·끝
도심 속 이국적인 거리
![이태원 우사단길 언덕에 우뚝 솟아 이국적인 풍경을 자아내는 이슬람 서울중앙성원.](https://img.hankyung.com/photo/201903/AA.19156337.1.jpg)
무슬림의 정취 이슬람 서울중앙성원
![이슬람 식당이 많은 이태원 우사단길.](https://img.hankyung.com/photo/201903/AA.19149619.1.jpg)
사원 입구에 들어서니 ‘예배를 드리는 경건한 장소이므로 짧은 치마와 바지, 민소매 셔츠, 비치는 옷을 금지한다’는 한글 안내판이 세워져 있다. 이슬람 문화가 사원에서의 옷차림을 중시하는 만큼 방문할 때 주의해야 한다.
사원 곳곳에선 낯선 아랍어가 들려온다. ‘지금 서 있는 이곳이 서울 한가운데인가’ 하고 의심이 들 정도다. 예배당 앞 계단에 서면 오래된 주택과 높은 빌딩이 공존하는 서울 시내가 한눈에 내려다보인다.
서울에서 만나는 베트남 퀴논길 테마거리
퀴논은 베트남 동부해안의 아름다운 휴양도시다. 용산구는 베트남 퀴논시와 자매 결연 20주년을 기념해 2016년 10월, 이태원에 퀴논시 골목을 옮겨놓은 듯한 ‘베트남 퀴논길 테마거리’를 조성했다. 이태원에 베트남 퀴논거리가 들어선 이유는 베트남 전쟁 당시 퀴논에 우리나라 맹호부대가 주둔했기 때문이다. 맹호부대가 용산구에 본부를 뒀던 것에 착안해 1996년부터 용산구와 퀴논시가 교류를 시작했다. 베트남 전쟁 당시 최대 격전지였던 퀴논과 용산구는 전쟁의 아픔을 치유하고자 화해의 의미를 담아 이태원에는 퀴논거리, 퀴논에는 용산거리를 만들었다.
![베트남 퀴논의 풍경이 담긴 이태원 퀴논길 테마거리.](https://img.hankyung.com/photo/201903/AA.19149586.1.jpg)
![광희동 중앙아시아 거리 음식점의 화덕에 구운 빵.](https://img.hankyung.com/photo/201903/AA.19156492.1.jpg)
거리에는 뜻을 알 수 없는 키릴 문자가 적힌 낯선 간판이 줄지어 있다. 그래서 골목은 더 이국적인 냄새가 난다. ‘사마리칸트’(사마르칸트)라는 간판의 우즈베키스탄 음식점이 많은데, 사마르칸트는 우즈베키스탄 중동부에 있는 교역과 학문의 중심도시였다. 음식점 앞에서는 우즈베키스탄에서 온 현지인이 진흙으로 만든 화덕에서 우즈베키스탄 전통빵을 직접 굽고 있다. 화덕에서 구워지는 빵을 신기한 듯 바라보니 마치 우리가 이방인인 듯 한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주인이 친절하게 맞이한다.
키릴 문자가 함께 쓰인 한식당도 많이 있지만 이 거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재미는 우즈베키스탄 양고기 꼬치와 바비큐, 중앙아시아의 국수, 몽골식 양고기 요리인 호르호그 같은 다양한 음식을 맛보는 것이다. 골목의 오래된 한옥과 고향에 대한 향수가 모락모락 피어나는 화덕이 어우러진 풍경이 이색적이다.
히말라야의 신비 네팔 음식 거리
![동대문 네팔 음식거리 잡화점.](https://img.hankyung.com/photo/201903/AA.19149589.1.jpg)
서울 한복판 오래된 골목에 세계의 지붕, 네팔의 히말라야 산맥이 펼쳐진다. 좁은 골목에 ‘히말라야’ ‘에베레스트’ 같은 장대한 산맥의 이름이 걸려 있다. 에베레스트는 우리나라 네팔 음식점의 원조다. 인도 커리의 원조인 네팔식 커리가 맛있다. 탄두리 치킨과 네팔 전통음식을 파는 이곳은 동대문 맛집으로도 유명하다.
일이 없는 주말이면 네팔인들이 동대문 네팔 음식 거리로 삼삼오오 모여든다. 거리는 열심히 일한 네팔인들이 여가를 즐기며 이야기를 풀어내는 쉼터 같은 곳이다. 네팔 음식점에서는 네팔인들의 결혼식이 열리기도 한다. 좁은 골목에는 식료품이나 과자, 향신료 같은 소박한 네팔 물건을 판매하는 잡화점도 있다. 골목 담장에는 이주노동자를 위한 네팔 연예인 공연 포스터도 붙어 있다. 네팔 음식 거리의 작은 음식점마다 네팔음악이 흘러나오고, 네팔 민속 공예품들이 장식돼 있다. 그들이 믿는 힌두교의 여러 신도 모셔 놓았다. 작은 공간에서 네팔의 풍경이 그대로 전해진다. 네팔 음식거리를 빠져나오면 서민들의 소박한 삶이 담긴 창신시장과 이어진다.
글·사진=이솔 여행작가 leesoltour@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