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과의 동침'…다임러와 BMW 전기차에서 또 손잡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기차 전용 플랫폼 공동 개발說
생존 위해 머리 맞대
최소 70억유로 비용 절감
생존 위해 머리 맞대
최소 70억유로 비용 절감

20일 독일 일간지 쥐트도이체차이퉁 등에 따르면 두 회사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 공동 개발을 적극 검토 중이다. 이 같은 결정엔 급성장하는 전기차 시장을 반드시 잡아야 한다는 인식이 깔려 있다.
반면 전기차 시장은 전망이 ‘장밋빛’ 일색이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전기차 시장은 올해 610만 대에서 2025년 2200만 대, 2030년 3600만 대로 증가할 전망이다. 전기차가 기업이 생존하기 위한 필수의 선택이 됐다.
업계는 다임러, BMW가 손잡으면 각종 비용 뿐 아니라 판매 가격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 경우 막대한 개발, 생산 비용을 줄이고 규모의 경제 실현 가능성이 높아진다.
여기에 전기차에 집중하고 있는 폭스바겐을 견제하는 효과도 있다. 폭스바겐은 10년 안에 신규 전기차 70종을 선보이고 2200만 대를 생산 하겠다고 선언했다. 헤르베르트 디이스 폭스바겐그룹 회장은 “전동화(전기 구동력 활용) 투자를 위해 모든 부문에서 효율성을 개선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변해야 산다’는 위기의식이 커지는 가운데 다임러, BMW는 공동의 적 앞에서 힘을 합치는 데 마다하지 않고 있다.
이 밖에 자율주행차 개발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 역시 맺은 상황이다. 다임러, BMW는 ‘레벨 4(고도화된 자율주행)’에 해당하는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등을 우선 개발하고 5년 내 신기술을 확장한다는 구체적 목표를 내놨다.
한 완성차 업체 관계자는 “IT 기업과 전기차 등장으로 진입 장벽이 빠르게 무너지고 있다”면서 “몸집을 줄이기 위한 상호 협력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고 말했다.
박상재 한경닷컴 기자 sangja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