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속도 빠른 가상화폐 시장..."전문투자자 위한 솔루션 없어 직접 만들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9일 암호화폐 자산 통합 관리 서비스 ‘파스텔’ 밋업 개최
투자전문가들 모여 파스텔 활용한 자산 관리 방법 논해
투자전문가들 모여 파스텔 활용한 자산 관리 방법 논해

19일 서울시 강남구 해시드라운지에서 열린 ‘파스텔 밋업’ 행사에 강연자로 나선 이동주 부스트 대표(사진)의 발언이다. 이 대표가 수장으로 있는 개발사 부스트는 암호화폐 자산관리 솔루션 파스텔의 오픈 베타 서비스를 론칭하며 밋업을 개최했다. 파스텔은 바이낸스, 업비트, 후오비 등 전세계 12개 주요 거래소들을 하나로 통합해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플랫폼이다.
'암호화폐 시장에서 기관투자자와 개인투자자를 어떻게 구분하나'라는 질문에 대해 오상록 하이퍼리즘 대표는 “정확한 정의는 없는 것 같다. 1일 기준 최소 50억원 이상의 거래량을 꾸준히 내는 개인분들, 회사들을 기관투자자라고 생각한다”면서 “다만 한국에서는 자본시장법상 암호화폐가 투자자산으로 인정을 받지 못해서 준법투자기구를 만들 수 없다. 때문에 엄밀한 의미에서 국내 기관투자자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그는 “금융이라는 것은 곧 인프라 산업이다. 성장 하려면 플랫폼 비즈니스를 추구하면서 유저 수를 계속해서 늘려가는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답했다.
파스텔을 암호화폐 매매에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질의응답도 있었다. 홍성욱 해시드 이사는 “암호화폐 매매를 해야 할 때 전문투자사들의 경우 금액이 너무 커서 시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매매 하려면 며칠 밤을 새야 한다"면서 "파스텔의 알고리즘 매매 기능을 활용하면 알고리즘이 장기간에 걸쳐 시장에 영향을 주지 않고 여러 거래소에서 매매를 진행해줘 도움이 됐다"고 답했다.
김산하 한경닷컴 기자 sanha@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