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 안좋다'는 인식 6년만에 배증…82% "미세먼지 불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휴가사용자 68%로↑, 평균 휴가일수는 5.4일로 2년새 0.5일 감소
스마트폰 과의존율 18.6%…청소년 > 20대 > 유·아동 우리 국민들에게서 '공기 좋다'는 인식이 점차 사라져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가를 사용한 사람은 3명 중 2명꼴이었다.
평균 휴가 일수는 5일을 조금 넘겼다.
국민 6명 중 1명은 스마트폰에 과하게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2018 한국의 사회지표'를 보면 지난해 기준 대기환경 체감 수준이 '나쁘다'는 답변이 36.0%를 차지했다.
국민 3명 중 1명 이상이 공기가 나쁘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런 인식은 급속히 늘어나는 추세다.
2012년 16.8%와 비교하면 배 이상 많아졌다.
미세먼지에 대한 불만이 압도적이었다.
'불안'하다는 응답이 82.5%였고 '불안하지 않다'는 응답은 4.5%에 불과했다.
경제 주체들이 환경에 지불하는 지출이 늘어나고 있지만 우리 정부의 환경 분야 예산은 2017년까지 근 10년 동안 전체 예산의 2% 안팎 수준에 머물고 있다. 안전 문제에 대해선 인식이 개선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기준 한국사회가 '안전하다'는 인식이 20.5%로 2016년 대비 7.3%포인트 늘었다.
이는 사고 건수 감소와도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화재 건수는 4만2천건으로 전년 대비 4.3% 감소했다.
2017년 기준 자동차사고 건수는 21만6천335건, 자동차사고 사망자 수는 4천185명으로 모두 전년 대비 소폭 줄었다.
2017년 총 범죄 발생 건수는 182만5천건으로 전년보다 9.1% 감소했다.
강도 범죄가 -16.2%로 가장 높은 감소율을 보였고 살인(-9.5%), 절도(-9.4%)도 큰 폭으로 줄었다.
2018년 중 휴가를 사용한 사람은 68.1%로 2년전보다 3.9%포인트 증가했다.
다만 평균 휴가 일수는 5.4일로 0.5일 줄었다.
휴가를 사용했다는 사람의 비율은 남자가 70.0%, 여자가 66.3%로 상대적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휴가 경험 비율이 높았다.
연령별로는 30대가 81.9%로 가장 비율이 높았고 다음은 40대(80.6%), 20대(74.7%) 순이었다.
인터넷 이용률은 91.5%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기록 중이다.
60대 이상 고령자의 이용률이 증가한 영향이 크다.
지난해 기준으로 60대의 인터넷 이용률이 88.8%, 70대는 38.6%를 기록했다.
한 주간 평균 이용시간은 16.5시간이다.
20대(24.2시간), 30대(21.0시간), 10대와 40대(17.8시간) 순이다.
스마트폰 과의존율은 18.6%를 기록했다.
우리 국민 6명 중 1명 가까이가 스마트폰에 과하게 의존하고 있다는 의미다.
정부는 스마트폰을 과하게 이용하고 이용 조절 능력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는 상황을 스마트폰 과의존으로 보고 있다.
과의존률은 청소년(10~19세)이 30.3%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는 20대 23.6%, 유·아동(3~9세) 19.1% 순이었다.
삶에 대한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6.1점, 행복감은 6.6점을 기록해 1년 전보다 0.1점씩 개선됐다.
삶에 대한 만족도와 행복감은 50대와 60대가 상대적으로 낮았고 걱정(근심)은 40대, 우울감은 50대나 60대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정치에 참여하는 방법은 주변인과 대화하기(72.0%)가 가장 많았고 서명운동 참여(11.2%), 온라인상 의견피력(9.5%), 불매운동 참여(5.9%) 등 순이었다.
/연합뉴스
스마트폰 과의존율 18.6%…청소년 > 20대 > 유·아동 우리 국민들에게서 '공기 좋다'는 인식이 점차 사라져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가를 사용한 사람은 3명 중 2명꼴이었다.
평균 휴가 일수는 5일을 조금 넘겼다.
국민 6명 중 1명은 스마트폰에 과하게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2018 한국의 사회지표'를 보면 지난해 기준 대기환경 체감 수준이 '나쁘다'는 답변이 36.0%를 차지했다.
국민 3명 중 1명 이상이 공기가 나쁘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런 인식은 급속히 늘어나는 추세다.
2012년 16.8%와 비교하면 배 이상 많아졌다.
미세먼지에 대한 불만이 압도적이었다.
'불안'하다는 응답이 82.5%였고 '불안하지 않다'는 응답은 4.5%에 불과했다.
경제 주체들이 환경에 지불하는 지출이 늘어나고 있지만 우리 정부의 환경 분야 예산은 2017년까지 근 10년 동안 전체 예산의 2% 안팎 수준에 머물고 있다. 안전 문제에 대해선 인식이 개선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기준 한국사회가 '안전하다'는 인식이 20.5%로 2016년 대비 7.3%포인트 늘었다.
이는 사고 건수 감소와도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화재 건수는 4만2천건으로 전년 대비 4.3% 감소했다.
2017년 기준 자동차사고 건수는 21만6천335건, 자동차사고 사망자 수는 4천185명으로 모두 전년 대비 소폭 줄었다.
2017년 총 범죄 발생 건수는 182만5천건으로 전년보다 9.1% 감소했다.
강도 범죄가 -16.2%로 가장 높은 감소율을 보였고 살인(-9.5%), 절도(-9.4%)도 큰 폭으로 줄었다.
2018년 중 휴가를 사용한 사람은 68.1%로 2년전보다 3.9%포인트 증가했다.
다만 평균 휴가 일수는 5.4일로 0.5일 줄었다.
휴가를 사용했다는 사람의 비율은 남자가 70.0%, 여자가 66.3%로 상대적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휴가 경험 비율이 높았다.
연령별로는 30대가 81.9%로 가장 비율이 높았고 다음은 40대(80.6%), 20대(74.7%) 순이었다.
인터넷 이용률은 91.5%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기록 중이다.
60대 이상 고령자의 이용률이 증가한 영향이 크다.
지난해 기준으로 60대의 인터넷 이용률이 88.8%, 70대는 38.6%를 기록했다.
한 주간 평균 이용시간은 16.5시간이다.
20대(24.2시간), 30대(21.0시간), 10대와 40대(17.8시간) 순이다.
스마트폰 과의존율은 18.6%를 기록했다.
우리 국민 6명 중 1명 가까이가 스마트폰에 과하게 의존하고 있다는 의미다.
정부는 스마트폰을 과하게 이용하고 이용 조절 능력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는 상황을 스마트폰 과의존으로 보고 있다.
과의존률은 청소년(10~19세)이 30.3%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는 20대 23.6%, 유·아동(3~9세) 19.1% 순이었다.
삶에 대한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6.1점, 행복감은 6.6점을 기록해 1년 전보다 0.1점씩 개선됐다.
삶에 대한 만족도와 행복감은 50대와 60대가 상대적으로 낮았고 걱정(근심)은 40대, 우울감은 50대나 60대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정치에 참여하는 방법은 주변인과 대화하기(72.0%)가 가장 많았고 서명운동 참여(11.2%), 온라인상 의견피력(9.5%), 불매운동 참여(5.9%) 등 순이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