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점 커지는 '조국 책임론'…장관 후보자 부실검증에 '버닝썬' 윤 총경 사태 겹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요즘 청와대에선…
윤 총경 피의자로 전환
野 '조국 사퇴' 총공세 펼 듯
윤 총경 피의자로 전환
野 '조국 사퇴' 총공세 펼 듯
청와대 민정수석실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 정부 출범 후 ‘인사 참사’의 진원지로 야권의 공격을 받아온 민정수석실이 ‘2기 내각’을 채울 장관 후보자 7명의 크고 작은 의혹이 불거지면서 초긴장 모드에 들어갔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문재인 대통령이 최근 “검경 조직의 명운을 걸라”며 철저한 수사를 지시한 ‘버닝썬’ 사건에 민정수석실에서 1년여간 재직한 윤모 총경이 연루된 의혹까지 터져 나왔다.
민정수석실은 다음주 국회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장관 후보자 7명의 다주택 보유, 논문 표절, 증여세 탈루, 위장전입 의혹 등이 전방위로 터져 나오면서 부실 검증 책임론에 휩싸였다. 청와대는 “사전에 알고 있었다”고 방어막을 쳤지만 내부적으로는 곤혹스러워하는 표정이 역력하다. 청와대는 지명 초기 검증 통과를 자신했지만 지금은 “청문회를 지켜보자”며 한발 물러섰다.
문 대통령의 특명으로 경찰이 전방위 수사에 착수한 버닝썬 사건은 김태우 전 특감반원의 ‘환경부 블랙리스트’ 폭로에 이어 민정수석실의 또 다른 뇌관이 될 가능성이 커졌다. 버닝썬 사건 관련 연예인과의 유착 의혹을 받는 윤 총경은 민정수석실에서 2017년 7월부터 약 1년간 근무했다. 더구나 윤 총경이 피의자 신분으로 전환되면서 민정수석실뿐만 아니라 문재인 정부의 도덕성에도 치명타가 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청와대 관계자는 “아직 섣불리 예단할 수는 없다”면서도 “윤 총경을 발탁한 인사 책임자에게도 불똥이 튀지 않겠느냐”고 했다.
윤 총경의 청와대 파견과 특진 복귀 등을 놓고도 뒷말이 나온다. 한 경찰 관계자는 “총경을 달자마자 청와대에 파견된 것도 이례적이지만 지방청을 거치지 않고 경찰청 최고 요직인 인사담당관으로 곧바로 복귀한 것을 놓고도 말들이 많았다”고 전했다.
조국 민정수석(사진)을 ‘눈엣가시’처럼 여기는 야권의 사퇴 공세는 이를 계기로 더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국회 인사청문회와 윤 총경 수사 결과를 지켜봐야겠지만 문 대통령의 절대 신임을 받고 있는 조 수석이 물러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게 청와대 분위기다.
조 수석도 최근 인사권자의 의중을 전제로 달기는 했지만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설치 등 검찰 개혁이 마무리되는 시점을 임기로 못박았다.
손성태 기자 mrhand@hankyung.com
민정수석실은 다음주 국회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장관 후보자 7명의 다주택 보유, 논문 표절, 증여세 탈루, 위장전입 의혹 등이 전방위로 터져 나오면서 부실 검증 책임론에 휩싸였다. 청와대는 “사전에 알고 있었다”고 방어막을 쳤지만 내부적으로는 곤혹스러워하는 표정이 역력하다. 청와대는 지명 초기 검증 통과를 자신했지만 지금은 “청문회를 지켜보자”며 한발 물러섰다.
문 대통령의 특명으로 경찰이 전방위 수사에 착수한 버닝썬 사건은 김태우 전 특감반원의 ‘환경부 블랙리스트’ 폭로에 이어 민정수석실의 또 다른 뇌관이 될 가능성이 커졌다. 버닝썬 사건 관련 연예인과의 유착 의혹을 받는 윤 총경은 민정수석실에서 2017년 7월부터 약 1년간 근무했다. 더구나 윤 총경이 피의자 신분으로 전환되면서 민정수석실뿐만 아니라 문재인 정부의 도덕성에도 치명타가 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청와대 관계자는 “아직 섣불리 예단할 수는 없다”면서도 “윤 총경을 발탁한 인사 책임자에게도 불똥이 튀지 않겠느냐”고 했다.
윤 총경의 청와대 파견과 특진 복귀 등을 놓고도 뒷말이 나온다. 한 경찰 관계자는 “총경을 달자마자 청와대에 파견된 것도 이례적이지만 지방청을 거치지 않고 경찰청 최고 요직인 인사담당관으로 곧바로 복귀한 것을 놓고도 말들이 많았다”고 전했다.
조국 민정수석(사진)을 ‘눈엣가시’처럼 여기는 야권의 사퇴 공세는 이를 계기로 더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국회 인사청문회와 윤 총경 수사 결과를 지켜봐야겠지만 문 대통령의 절대 신임을 받고 있는 조 수석이 물러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게 청와대 분위기다.
조 수석도 최근 인사권자의 의중을 전제로 달기는 했지만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설치 등 검찰 개혁이 마무리되는 시점을 임기로 못박았다.
손성태 기자 mrhan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