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 누출·미소지진 등 원인 파악 아쉬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포항지진 근접기록 지진계 설치' 김광희 부산대 교수 지적
"지진 원인, 계속 연구하고 논의돼야"
지난 20일 정부 조사연구단은 2017년 11월 발생한 규모 5.4의 포항지진이 인근 지열발전소의 영향으로 인해 촉발된 '인재(人災)'라는 결론을 내렸다.
발전소의 시추와 물 주입이 미소지진을 일으키고 이 영향으로 강진이 발생했다는 것이다.
이날 연구단이 밝힌 미소지진과 본진(本震)은 진원 인근에 설치된 연구용 지진계 8대에 고스란히 담겼다.
지진계는 본진이 일어나기 불과 5일 전인 2017년 11월 10일 설치된 것이다.
이 지진계를 설치한 김광희 부산대 교수는 23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지진을 막을 기회가 여러 번 있었는데 놓쳤다.
이수(진흙 등이 포함된 물) 누출이나 미소지진 발생 등 문제가 생기면 원인을 면밀히 파악하는 과정이 있는데, 그게 미흡했던 게 아닌가 싶다"며 안타까워했다.
그는 "2016년 경주지진이 있었고, 이 지진의 여진을 분석하던 중 당시 관측망 북쪽에서 규모가 작은 지진들이 발생했음을 감지했다.
점점 횟수가 늘고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해 2017년 11월 경주지역 여진 관측망의 일부를 포항 흥해읍으로 옮겼다"고 지진계를 설치한 배경을 설명했다. 김 교수가 놓은 지진계는 포항지진 진앙에서 반경 1∼2㎞에 있다.
이에 규모가 작은 지진의 기록까지 고스란히 남았다.
다만 본진의 경우 연구용 지진계의 측정치를 벗어나 P파와 S파 중 S파의 기록은 없다.
기록을 바탕으로 김 교수는 이진한 고려대 교수와 함께 포항지진이 인근 지열발전소와 관련됐다는 내용의 논문을 작년 4월 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에 발표했다. 20일 정부연구단의 조사 결과가 나오며 논문의 내용은 더 보강됐다.
논문에서 김 교수팀은 물 주입 이전에 있었던 미소지진의 원인을 설명하지 못했는데, 정부조사단에서 시추공 이수 누출의 영향으로 이런 지진이 발생했다고 발표한 것이다.
단층에 대한 증거도 조사단에서 재확인됐다.
2017년 10∼11월 지열발전소에서 지하로 주입한 물을 회수하지 못했는데, 이는 이곳에 물이 빠져나갈 만한 단층이 있음을 시사한다.
또 시추공(PX1, PX2)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카메라를 넣었는데, PX2의 경우 지하 3천980m 정도에서 카메라가 더 들어가지 않았다.
김 교수는 "이는 PX2가 절단됐다는 의미"라며 "철로 된 파이프가 그냥 절단됐을 리가 있겠나.
이곳이 포항지진 때 파손됐고, 단층일 가능성이 크다는 증거"라고 설명했다.
학계에서는 정부조사단 결과에 대한 반론이 여전히 제기된다.
규모 5.4의 지진을 촉발하기에는 주입한 물의 양이 적다는 것이다.
지열발전소에서는 2016∼2017년 다섯 차례에 걸쳐 1만2천800t의 물을 땅속에 주입했다.
김 교수는 이에 대해 "물이 시추공을 통해 단층에 바로 주입되지 않는다는 가정 아래, 주입한 물의 양이 늘어나면 지진 규모가 커진다는 관계식이 있다.
그런데 물이 단층면에 바로 주입된다면 적은 양으로도 충분히 자극이 갈 수 있다"라며 "원인에 대해서는 앞으로도 계속 연구하고, 논의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지진 원인, 계속 연구하고 논의돼야"
지난 20일 정부 조사연구단은 2017년 11월 발생한 규모 5.4의 포항지진이 인근 지열발전소의 영향으로 인해 촉발된 '인재(人災)'라는 결론을 내렸다.
발전소의 시추와 물 주입이 미소지진을 일으키고 이 영향으로 강진이 발생했다는 것이다.
이날 연구단이 밝힌 미소지진과 본진(本震)은 진원 인근에 설치된 연구용 지진계 8대에 고스란히 담겼다.
지진계는 본진이 일어나기 불과 5일 전인 2017년 11월 10일 설치된 것이다.
이 지진계를 설치한 김광희 부산대 교수는 23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지진을 막을 기회가 여러 번 있었는데 놓쳤다.
이수(진흙 등이 포함된 물) 누출이나 미소지진 발생 등 문제가 생기면 원인을 면밀히 파악하는 과정이 있는데, 그게 미흡했던 게 아닌가 싶다"며 안타까워했다.
그는 "2016년 경주지진이 있었고, 이 지진의 여진을 분석하던 중 당시 관측망 북쪽에서 규모가 작은 지진들이 발생했음을 감지했다.
점점 횟수가 늘고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해 2017년 11월 경주지역 여진 관측망의 일부를 포항 흥해읍으로 옮겼다"고 지진계를 설치한 배경을 설명했다. 김 교수가 놓은 지진계는 포항지진 진앙에서 반경 1∼2㎞에 있다.
이에 규모가 작은 지진의 기록까지 고스란히 남았다.
다만 본진의 경우 연구용 지진계의 측정치를 벗어나 P파와 S파 중 S파의 기록은 없다.
기록을 바탕으로 김 교수는 이진한 고려대 교수와 함께 포항지진이 인근 지열발전소와 관련됐다는 내용의 논문을 작년 4월 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에 발표했다. 20일 정부연구단의 조사 결과가 나오며 논문의 내용은 더 보강됐다.
논문에서 김 교수팀은 물 주입 이전에 있었던 미소지진의 원인을 설명하지 못했는데, 정부조사단에서 시추공 이수 누출의 영향으로 이런 지진이 발생했다고 발표한 것이다.
단층에 대한 증거도 조사단에서 재확인됐다.
2017년 10∼11월 지열발전소에서 지하로 주입한 물을 회수하지 못했는데, 이는 이곳에 물이 빠져나갈 만한 단층이 있음을 시사한다.
또 시추공(PX1, PX2)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카메라를 넣었는데, PX2의 경우 지하 3천980m 정도에서 카메라가 더 들어가지 않았다.
김 교수는 "이는 PX2가 절단됐다는 의미"라며 "철로 된 파이프가 그냥 절단됐을 리가 있겠나.
이곳이 포항지진 때 파손됐고, 단층일 가능성이 크다는 증거"라고 설명했다.
학계에서는 정부조사단 결과에 대한 반론이 여전히 제기된다.
규모 5.4의 지진을 촉발하기에는 주입한 물의 양이 적다는 것이다.
지열발전소에서는 2016∼2017년 다섯 차례에 걸쳐 1만2천800t의 물을 땅속에 주입했다.
김 교수는 이에 대해 "물이 시추공을 통해 단층에 바로 주입되지 않는다는 가정 아래, 주입한 물의 양이 늘어나면 지진 규모가 커진다는 관계식이 있다.
그런데 물이 단층면에 바로 주입된다면 적은 양으로도 충분히 자극이 갈 수 있다"라며 "원인에 대해서는 앞으로도 계속 연구하고, 논의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