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남북연락사무소 北인력 복귀에 군사합의 이행 '기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군사회담·4월 DMZ 공동유해발굴 등 北측 답신 기다려
군 당국은 25일 남북연락사무소의 북측 인력 일부가 복귀하고 사무소 기능이 정상화됨에 따라 북측의 군사합의 이행에 기대감을 나타내고 있다.
군의 한 관계자는 "남북연락사무소에서 철수했던 북측 인력들이 복귀하고 있어 군사합의 이행도 정상적으로 진행되길 희망한다"면서 "북측에 제의해 놓은 군사회담과 4월 1일부터 시작하기로 합의한 비무장지대(DMZ) 공동유해발굴 문제 등에 대한 북측의 답신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22일 북측 연락사무소 인력 전원은 '상부의 지시'라며 간단한 서류 정도만 챙기고 장비 등은 그대로 둔 채 연락사무소에서 전격 철수했지만, 사흘 만인 이날 연락대표를 포함해 4∼5명 정도의 실무직원이 복귀했다.
군 당국은 남북간 협의 창구로서의 연락사무소의 기능이 사흘 만에 정상화되자 군사합의 실질적 이행 문제 협의를 북측에 재차 촉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상 운영 중인 군 통신선을 통해 북측에 이미 제의해 놓은 군사회담 등에 응할 것을 재차 촉구하겠다는 것이다.
당장 내달 1일부터 착수하기로 합의한 DMZ 공동유해발굴 문제부터 타진할 계획이다.
국방부는 9·19 군사합의에 따라 다음 달부터 DMZ 공동유해발굴에 착수하기 위해 지난 6일 남측 유해발굴단 구성을 완료했다고 북측에 통보했으나, 북측은 이에 대해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고 있다.
내달 1일부터 양측 인력이 DMZ내에 진입하려면 최소 이번 주에는 실무적 절차를 거쳐야 한다.
북측의 답변이 없다고 해서 무턱대고 우리 측 단독으로 DMZ로 진입해 작업할 수 없는 노릇이다.
DMZ내로 남북 인력이 진입하려면 유엔사 승인 뿐 아니라 남북이 관련 절차와 신변안전 보장 등의 사전 조치를 해야 하기 때문이다.
노재천 국방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DMZ 공동유해발굴에 대해 "계획대로 추진될 수 있도록 세부 시행방안을 마련해 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우리측 공동유해발굴단장과 100명 내외의 유해발굴 인원에 대한 명단 통보 등을 준비하고 있고, 북측의 응답이 있으면 곧바로 이를 북측에 통보하겠다는 것이다.
우리측이 북측에 명단을 보내면 북측도 자신들의 명단을 보내올 것으로 기대된다.
노 부대변인은 최근 제의한 군사회담과 관련해서도 "우리 국방부에선 북측과 군사회담 개최 관련 논의를 진행 중"이라며 "현재는 북측의 답신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남북은 작년 9월 19일 군사합의서를 체결한 이후 작년 말까지 GP(DMZ내 감시초소) 시범철수와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비무장화, 한강하구 공동수로조사 등의 군사합의 사항을 충실히 이행했다.
그러나 올해 들어 남북대화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던 북측이 지난달 말 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에는 더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올해 남북 군사당국 간 대면 접촉은 지난 1월 30일 판문점에서 남북 공동수로조사 결과를 토대로 남측이 제작한 한강하구 해도를 북측에 전달한 것이 유일하다.
이에 따라 DMZ 내 모든 GP 철수와 서해 평화수역 조성 등을 논의할 남북군사공동위원회 구성과 JSA 자유왕래 등의 주요 군사합의 사항 논의가 답보 상태에 있다.
다만, 작년 11월 1일부터 군사합의에 따라 시행 중인 '지상·공중·해상 적대행위 중지'는 정상적으로 준수되고 있다.
/연합뉴스
군의 한 관계자는 "남북연락사무소에서 철수했던 북측 인력들이 복귀하고 있어 군사합의 이행도 정상적으로 진행되길 희망한다"면서 "북측에 제의해 놓은 군사회담과 4월 1일부터 시작하기로 합의한 비무장지대(DMZ) 공동유해발굴 문제 등에 대한 북측의 답신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22일 북측 연락사무소 인력 전원은 '상부의 지시'라며 간단한 서류 정도만 챙기고 장비 등은 그대로 둔 채 연락사무소에서 전격 철수했지만, 사흘 만인 이날 연락대표를 포함해 4∼5명 정도의 실무직원이 복귀했다.
군 당국은 남북간 협의 창구로서의 연락사무소의 기능이 사흘 만에 정상화되자 군사합의 실질적 이행 문제 협의를 북측에 재차 촉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상 운영 중인 군 통신선을 통해 북측에 이미 제의해 놓은 군사회담 등에 응할 것을 재차 촉구하겠다는 것이다.
당장 내달 1일부터 착수하기로 합의한 DMZ 공동유해발굴 문제부터 타진할 계획이다.
국방부는 9·19 군사합의에 따라 다음 달부터 DMZ 공동유해발굴에 착수하기 위해 지난 6일 남측 유해발굴단 구성을 완료했다고 북측에 통보했으나, 북측은 이에 대해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고 있다.
내달 1일부터 양측 인력이 DMZ내에 진입하려면 최소 이번 주에는 실무적 절차를 거쳐야 한다.
북측의 답변이 없다고 해서 무턱대고 우리 측 단독으로 DMZ로 진입해 작업할 수 없는 노릇이다.
DMZ내로 남북 인력이 진입하려면 유엔사 승인 뿐 아니라 남북이 관련 절차와 신변안전 보장 등의 사전 조치를 해야 하기 때문이다.
노재천 국방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DMZ 공동유해발굴에 대해 "계획대로 추진될 수 있도록 세부 시행방안을 마련해 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우리측 공동유해발굴단장과 100명 내외의 유해발굴 인원에 대한 명단 통보 등을 준비하고 있고, 북측의 응답이 있으면 곧바로 이를 북측에 통보하겠다는 것이다.
우리측이 북측에 명단을 보내면 북측도 자신들의 명단을 보내올 것으로 기대된다.
노 부대변인은 최근 제의한 군사회담과 관련해서도 "우리 국방부에선 북측과 군사회담 개최 관련 논의를 진행 중"이라며 "현재는 북측의 답신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남북은 작년 9월 19일 군사합의서를 체결한 이후 작년 말까지 GP(DMZ내 감시초소) 시범철수와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비무장화, 한강하구 공동수로조사 등의 군사합의 사항을 충실히 이행했다.
그러나 올해 들어 남북대화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던 북측이 지난달 말 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에는 더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올해 남북 군사당국 간 대면 접촉은 지난 1월 30일 판문점에서 남북 공동수로조사 결과를 토대로 남측이 제작한 한강하구 해도를 북측에 전달한 것이 유일하다.
이에 따라 DMZ 내 모든 GP 철수와 서해 평화수역 조성 등을 논의할 남북군사공동위원회 구성과 JSA 자유왕래 등의 주요 군사합의 사항 논의가 답보 상태에 있다.
다만, 작년 11월 1일부터 군사합의에 따라 시행 중인 '지상·공중·해상 적대행위 중지'는 정상적으로 준수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