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월만에 보직 바뀌고 외근형사가 지원부서 발령…일선 쫓겨나기도
'김학의 수사' 경찰관들 석연찮은 인사…'좌천성' 의심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 성접대 의혹 수사에 참여했던 일부 경찰관들은 사건 수사를 전후해 이례적인 인사발령을 받았다.

어떤 기준으로 봐도 좌천성이 뚜렷한 발령이어서 수사에 관여한 것이 불이익으로 작용했다는 해석이 많다.

2013년 3월 초 경찰은 김 전 차관 관련 첩보를 확인한 데 이어 같은 달 중순께 특별수사팀을 꾸려 내사에 착수했다.

그러는 동안 김기용 당시 경찰청장이 사의를 표명했고, 이어 이성한 청장이 취임한 이후 4월 단행된 첫 인사에서 수사 지휘라인이 모두 물갈이됐다.

본청 최고 수사책임자인 수사국장(치안감)부터 2인자인 수사기획관(경무관), 수사 실무부서장이던 범죄정보과장과 특수수사과장(총경)이 당시 인사에서 모두 바뀌었다.

이 시기는 매년 11∼12월께 경찰 정기 인사시즌도 아니었다.

신임 청장이 취임하면 조직 쇄신 차원에서 지휘부 일부를 교체하기도 해 전혀 이례적이라 할 수는 없지만, 중요 사건 수사가 이뤄지는 가운데 단행된 인사치고는 폭이 너무 컸다는 게 중론이었다.

특히 당시 수사기획관이었던 이세민 경무관은 보직발령된 지 불과 4개월여 만에 경찰청 부속기관으로 전보됐다.

경무관 승진 이후 본청에서만 2번째 보직이었지만, 이후 그는 본청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부속기관 등을 전전하다 결국 승진하지 못한 채 옷을 벗었다.

수사팀장으로 실무를 총괄했던 당시 경찰청 수사국 소속 A경정도 수사가 끝난 이후 인사 불이익을 당했다.

외근형사 경력이 대부분이었던 그는 본청 범죄정보과에서 범죄첩보 수집 업무를 담당했지만, 이듬해 초 인사에서 수사 지원부서로 발령돼 3년여간 근무했다.

경찰청 계장급에 해당하는 경정들은 통상 한 보직에서 여러 해 근무하며 승진을 노리는 경우가 많고, 보직이 사라지지 않는 한 과(課)를 옮기는 일도 흔하지 않다.

A경정은 본인이 수사 외근부서에 계속 남기를 원했음에도 지원부서로 자리를 옮겨야 했다.

범죄정보과 출신 한 경찰관은 26일 "수사외근들은 통상 계속 외근부서에서 일하다 승진하기를 원하기 때문에 범죄정보과에서 자리를 옮긴다면 성격이 비슷한 특수수사과나 지능범죄수사대 정도일 것"이라며 "지원부서 이동은 일반적인 경우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A경정과 함께 당시 수사팀에서 주요 업무를 담당했던 B경감도 사건이 끝난 후 일선 경찰서로 전보돼 아직 승진하지 못한 상태다.

그를 아는 한 경찰관은 "그 사건이 아니었다면 본청에 남아 곧 승진했을 가능성이 큰 인물"이라고 말했다.

수사 초기 청와대에서 경찰에 외압을 가했다는 의혹이 날로 구체화한 가운데 검찰 과거사위원회는 전날 곽상도 민정수석 등의 직권남용 혐의를 수사하라고 검찰에 권고했다.

당시 일부 경찰관들의 인사 불이익에 청와대가 관여했는지도 수사 대상에 오를지 주목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