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음성인식 기술 담았다
메르세데스벤츠는 2018년 초 세계 최대 전자쇼 ‘CES 2018’에서 새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차량 내 정보나 오락거리를 제공하는 장비) MBUX를 공개했다. MBUX는 ‘Mercedes-Benz User Experience’의 앞글자를 따 만든 단어다. 사용자 경험을 가장 우선으로 고려해 개발한 시스템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벤츠는 올해 초 CES 2019에서는 보다 향상된 MBUX를 발표했다.

MBUX의 특징은 학습 능력이 있는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사용자별 맞춤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차량과 운전자, 탑승객 간 정서적 연결을 형성한다는 점도 눈에 띈다. 운전자는 차량 내 비서 같은 MBUX를 통해 각종 편의 장비를 조작할 수 있다. 새로운 콘텐츠도 별도의 선 연결 없이 온라인을 통해 업데이트할 수 있다.

MBUX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학습역량을 갖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행동을 미리 예측할 수 있다. 매주 화요일 퇴근길에 어머니에게 전화를 자주 거는 사용자에게는 해당 시간대에 어머니 전화번호를 화면에 표시하는 방식이다. 매일 특정 시간에 뉴스를 듣는 사용자를 위해 라디오 음악채널에서 뉴스채널로 전환 여부를 묻기도 한다.

터치로 조작할 수 있는 고화질 와이드 스크린 콕핏(계기판)도 MBUX의 강점 중 하나다. 지능형 음성 인식 컨트롤 시스템도 있다. 이 시스템은 “헤이 메르세데스” 또는 “안녕 벤츠”라고 부르면 활성화된다. 벤츠코리아는 자연스러운 한국어 소통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하고 있다. “안녕 벤츠, 내일 부산에서 샌들을 신어도 될까?”라고 물으면 내일 부산지역 날씨를 알려주는 방식이다.

이 시스템은 음성이 들리면 배경 소음을 제거하고 이를 압축해 차량 및 서버에 전송한다. 그러면 차량과 서버의 컴퓨터가 데이터를 평가해 답변을 보낸다.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답변을 받을 수 있다.

통합 터치 컨트롤 시스템도 MBUX의 특징이다. 터치스크린과 운전대의 터치 컨트롤버튼 등으로 구성된 이 시스템은 운전을 방해하는 요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구성됐다.

도병욱 기자 dod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