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서 잘 나가는 한국 화장품, 거세진 로컬·해외 브랜드 '견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로컬 브랜드 '바이췌링' 기초 화장품 시장 점유율 1위 기록
에스티로더, 시세이도, 럭셔리 화장품 시장서 한국과 정면 대결
한국업체, 오프라인 매장확대·전략상품 추가 개발로 맞대응
에스티로더, 시세이도, 럭셔리 화장품 시장서 한국과 정면 대결
한국업체, 오프라인 매장확대·전략상품 추가 개발로 맞대응
![마리따이쟈 세포라 매대 [사진=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https://img.hankyung.com/photo/201903/01.19259478.1.jpg)
두 사람은 "중국 여성들이 비디비치와 더불어 프랑스 등 해외 고급 브랜드에 대한 관심이 높다"며 "중국 화장품을 잘 이용하지는 않지만 전에 비해 품질이 많이 좋아졌다는 이야기를 들어 관심이 간다"고 말했다.
26일 이베스트투자증권에 따르면 중국에서 기초 화장품 중 단일 브랜드로는 로컬 브랜드 '바이췌링'이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색조 화장품 시장에서도 '카슬란'과 '마리따이쟈' 등이 점유율 10위 안에 새롭게 진입했다. 기존 로컬 브랜드들은 브랜드 리빌딩에 집중했고 신생 브랜드들은 마케팅과 과감한 투자를 통해 시장 점유율 확대를 가속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2003년 설립된 중국 로컬 브랜드 '프로야'의 주가는 상장 이후 3.5배 상승했다. 중저가 7개 브랜드를 바탕으로 성장 중인 프로야는 메인 브랜드들의 시장 점유율이 확대되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 실적이 전년대비 60.2% 증가하는 등 오프라인 판매를 강화하고 온라인 채널을 적극 확장하며 몸집을 키우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해외 브랜드의 견제도 눈여겨봐야 한다는 설명이다. 에스티로더의 지난해 4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전년동기대비 7% 증가한 40억달러, 8.6% 증가한 7억7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카테고리별로 보면 스킨케어 부문 매출액이 16% 성장했고 '라메르(La Mer)'와 같은 초고가 브랜드가 두 자릿수 성장함에 따라 스킨케어 부문 영업이익이 전년동기대비 25% 증가한 5억6500만달러에 달했다.
지역별로는 미국 시장에서의 영업이익이 7% 감소했지만 아시아에서 1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중국에서의 성과가 에스티로더의 호실적을 이끌었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에스티로더는 향후 주력 유통채널로 온라인과 면세점을 꼽으며 내년까지 중국에서만 20개가 넘는 면세점의 출점 계획을 확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신세계인터내셔날의 중국 전략과 일치한다.
이 때문에 한국 대기업들은 중국 럭셔리 시장을 지키기 위해 마케팅을 강화할 방침이다.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올해 럭셔리 브랜드(설화수, 헤라)의 경우 마케팅을 강화하고 오프라인 매장 확대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해나갈 예정"이라며 "이니스프리는 중국 3-4선 도시에 더 적극적으로 매장을 확대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중저가 화장품 시장의 점유율 확대를 위해선 중소업체들의 개발 전략이 동반해야 한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국콜마는 올해 중국 현지에 무석콜마 법인을 본격적으로 가동하면서 중국 사업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베이징 법인은 2014년부터 중국 로컬 Top 10 업체들과 모두 거래를 하고 있으며 최근 중국 브랜드들의 품목 확대도 이어지고 있다. 올해 매출액은 1100억원을 예상했다.
코스맥스는 올해도 상하이와 광저우의 두자릿수 성장을 이어간다는 전략이다. 상하이법인은 기존 파트너사의 새로운 브랜드 론칭, 신규 품목 론칭 등으로 올해 20% 중반 수준의 매출 증가를 예상했다. 또한 SNS를 기반으로 한 모바일 신규 소비자들이 확보되고 있어 포트폴리오 역시 다각화로 진행하고 있다.
![중국 '프로야' 인스바하 제품 [사진=프로야]](https://img.hankyung.com/photo/201903/01.19259479.1.jpg)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