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시 전부터 ‘삐걱’
‘흥행 보증수표’ 효과 놓친 다케무라 사장
29일 한국교통안전공단 리콜(결함 시정) 신고센터에 따르면 신형 ES300h의 결함이 발견됐다는 사례 100여 건이 접수됐다. 이 가운데 대다수는 뒷좌석 시트 가죽이 들떠 불편하다는 내용이다. 뿐만 아니라 비 올 때 선루프에서 물이 새거나 오디오 음량을 높여도 잘 들리지 않는다는 지적이 많다.
특히 선루프 누수가 있는 경우 공식 서비스 센터에서 점검 받아도 해결이 안 되거나 단차, 풍절음(바람 가르는 소리)이 커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소유주가 모인 동호회 등을 중심으로 소비자 원성은 더 높다.
회사 측은 “소비자 불편 요인을 파악하고 있다”며 “요청이 오는 대로 무상 수리 등을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그 규모가 크거나 심각한 수준은 아닌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신형 ES300h는 보험개발원이 발표한 차량 보험 차량모델등급에서 저조한 성적표를 받기도 했다. 이 차는 26개 등급 중 6등급에 그쳤다. 1등급에 가까울수록 보험료와 사고 수리비용이 비싸다. 차량 유지 측면에서 신형 ES300h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얘기다.
산술적으로만 따졌을 때 수입차 평균(8등급)을 밑돈다. 경쟁 차량인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13등급)와 비교하면 한참 못 미쳤다.
ES 시리즈는 원조 ‘강남 쏘나타’로 불린다. 한때 주로 서울 강남에서 많이 보인다고 해서 붙여진 별칭이다. 부드러운 승차감과 함께 내구성, 특유의 높은 연비로 입소문을 타면서 불티나게 팔렸다.
이 가운데 하이브리드카(HEV)인 ES300h는 렉서스 판매 실적을 견인한 일등 공신이다. 지난해 8803대(구형 포함)가 팔렸다. 전체 판매량(1만3340대)의 65.9%에 달한다. 신형 역시 출시 이후 5개월 만에 4058대 팔려 나갔다.
‘흥행 보증수표’로 꼽히는 신형 ES300h를 둘러싼 잡음이 끊이지 않으면서 렉서스로선 반일 감정 못지않게 뼈아플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결함은 내구성이 뛰어나다는 신뢰도에 치명타를 줄 수도 있어서다.
렉서스와 도요타 두 브랜드를 총괄하는 다케무라 노부유키 한국도요타 사장도 취임(2018년 1월) 후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가 부임하고 나서 내놓은 렉서스의 첫 번째 차량이 바로 신형 ES300h다.
이 차는 출시 초기에 최상위 트림(세부 모델)이 인증을 통과하지 못했다. 개정된 국토교통부령 제38조 4항에 따라 LED(발광다이오드) 헤드램프(전조등) 닦기 장착을 빼먹었기 때문이다. 당시 한국 법인은 한 등급 아래인 차량으로 TV 광고와 카탈로그 등을 다시 만드는 등 웃지 못할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었다.
다케무라 사장은 도요타를 총괄 하면서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 부회장을 맡고 있다.
박상재 한경닷컴 기자 sangja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