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발전 상생경영…中企에 시설 개방, '테스트베드' 눈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해 산하 6개 발전설비에
200건 이상 실증지원키로
200건 이상 실증지원키로
한국동서발전(사장 박일준·사진)이 중소기업 기술제품 상용화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테스트베드 지원 사업’이 주목받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출신인 박일준 사장은 27일 “전력의 안정적 공급을 해칠 수 있다는 내부 우려도 적지 않지만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공장 내부 시설을 과감히 개방하고 있다”고 말했다.
동서발전은 지난 19일 회전자와의 작용을 통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고정자권선을 국산화한 해강AP에 일산화력발전소의 100㎿ 가스터빈을 실험장비로 개방했다. 김권태 해강AP 대표는 “제품을 개발하고도 실증할 곳을 찾지 못해 판로 개척에 큰 어려움을 겪어왔다”며 “동서발전 덕분에 국제적인 제품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돼 동남아시아 및 중동시장 진출에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이달 초에는 당진화력 터빈건물 옥상에 설치된 1㎿ 태양광 패널을 청소로봇 개발업체 두 곳에 제공해 실증화 실험을 거치도록 했다.
UNIST(울산과학기술원)와는 2016년부터 세계 최초로 바닷물 속에 녹아 있는 나트륨을 활용해 전기에너지를 무제한 저장할 수 있는 해수전지 상용화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바다에 인접한 울산화력발전소를 연구개발 기지로 내놓았다. UNIST는 이곳에서 10㎾h급 해수전지 에너지저장장치(ESS) 설비를 지난해 말 준공한 데 이어 울산화력발전소 건물 내부 조명 등의 에너지로 활용하는 실험도 성공적으로 마쳤다.
동서발전은 올해 산하 6개 발전설비를 대상으로 200여 건의 중소기업 실증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동서발전은 올해 초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주관한 ‘2018년도 공공기관 동반성장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우수’ 등급을 받았다.
울산=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
산업통상자원부 출신인 박일준 사장은 27일 “전력의 안정적 공급을 해칠 수 있다는 내부 우려도 적지 않지만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공장 내부 시설을 과감히 개방하고 있다”고 말했다.
동서발전은 지난 19일 회전자와의 작용을 통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고정자권선을 국산화한 해강AP에 일산화력발전소의 100㎿ 가스터빈을 실험장비로 개방했다. 김권태 해강AP 대표는 “제품을 개발하고도 실증할 곳을 찾지 못해 판로 개척에 큰 어려움을 겪어왔다”며 “동서발전 덕분에 국제적인 제품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돼 동남아시아 및 중동시장 진출에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이달 초에는 당진화력 터빈건물 옥상에 설치된 1㎿ 태양광 패널을 청소로봇 개발업체 두 곳에 제공해 실증화 실험을 거치도록 했다.
UNIST(울산과학기술원)와는 2016년부터 세계 최초로 바닷물 속에 녹아 있는 나트륨을 활용해 전기에너지를 무제한 저장할 수 있는 해수전지 상용화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바다에 인접한 울산화력발전소를 연구개발 기지로 내놓았다. UNIST는 이곳에서 10㎾h급 해수전지 에너지저장장치(ESS) 설비를 지난해 말 준공한 데 이어 울산화력발전소 건물 내부 조명 등의 에너지로 활용하는 실험도 성공적으로 마쳤다.
동서발전은 올해 산하 6개 발전설비를 대상으로 200여 건의 중소기업 실증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동서발전은 올해 초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주관한 ‘2018년도 공공기관 동반성장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우수’ 등급을 받았다.
울산=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