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작년 조선·음식숙박업, 영업해도 이자도 못 벌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위기때 '취약'…부동산업 부채비율 높고 中企 채무상환능력 개선 더뎌
2017년 조선업과 음식·숙박업은 영업해도 이자도 벌지 못하는 상태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의 채무 상환능력은 대기업보다 나쁘고 개선 속도도 더뎌 위기가 발생하면 취약해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은행이 28일 발간한 '금융안정 상황'을 보면 2017년 조선업의 이자보상비율은 55%에 불과했다.
이자보상비율은 영업이익으로 이자와 같은 금융비용을 얼마나 감당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다.
이 비율이 100% 미만이면 영업으로도 이자 비용을 벌어들이지 못한다는 의미다.
조선업의 이자보상비율은 2008년 2천128%에 달했으나 업황 부진 때문에 2012년 이후 악화했다.
2017년 음식·숙박업의 이자보상비율도 98%에 그쳤다.
음식·숙박업은 2008년(71%)보다 채무상환능력이 개선했으나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부동산업종의 이자보상비율은 2017년 298%에 달했으나 전체 산업 평균(630%)에 미치지 못했다.
자동차의 경우 경쟁력 약화로 채무 상환능력이 최근 들어 급격히 악화하는 추세다.
2017년 1∼3분기 874%에 달했던 자동차업의 이자보상비율은 2018년 1∼3분기가 되면서 274%로 뚝 떨어졌다.
유동비율(유동자산/유동부채), 부채비율(총부채/자기자본)도 조선, 음식·숙박, 운수 업종은 취약한 상태인 것으로 평가됐다.
부동산업은 유동비율은 양호하나 부채비율은 268%로 주요 업종 중 가장 높았다. 전체 기업부채 증가 속도는 상대적으로 완만하고 재무건전성은 전반적으로 양호하다고 한은은 평가했다.
기업부채는 2008년부터 지난해 3분기까지 연평균 4.6% 증가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은 101.2%로 2008년 대비 1.6%포인트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기업부채 비율 105.9%, 상승 폭 5.6%포인트)을 밑도는 수준이다.
금융기관대출을 보면 2013년 이후 은행보다는 비은행,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 위주로 기업대출이 증가했다.
이 때문에 지난해 3분기 전체 기업대출 가운데 비은행 대출 비중은 20.5%, 중소기업대출 비중은 70.7%까지 치솟았다.
업종별로는 부동산업 대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부동산업 대출은 2013년부터 작년 3분기까지 연평균 9.5조씩 증가해 주요 산업 중 가장 빠른 증가세를 보였다.
기업의 채무 상환능력, 재무구조도 나아지는 모습이라고 한은은 진단했다.
상장기업의 이자보상비율은 2017년 1∼3분기 1천6%에서 지난해 1∼3분기 1천32%로, 유동비율은 2017년 말 129%에서 2018년 3분기 말 137%까지 올랐다.
그러나 중소기업의 이자보상비율은 2017년 292%로 2008년보다 149.2%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쳤다.
같은 기간 대기업은 398.6%포인트 상승한 874%로 이자보상비율 수준, 상승 폭 모두 컸다.
한은은 금리 상승, 영업이익 감소 충격이 발생할 경우 중소기업과 조선, 음식·숙박, 운수, 부동산 등 취약업종 기업의 채무 상환능력은 크게 악화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정도의 충격이 발생해 금리가 150bp(1bp=0.01%포인트) 상승하고 영업이익이 30% 감소하는 상황을 가정하면 이자보상비율이 100% 미만인 기업의 비중(2017년 기준)은 대기업이 7.5%포인트 상승하는 데 반해 중소기업은 두 배에 가까운 14.2%포인트 오르는 것으로 추정됐다. 조선업의 경우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인 기업 비중이 56.8%에서 73.2%, 음식·숙박업은 58.3%에서 75.4%, 운수업은 36.0%에서 51.7%, 부동산업은 45.4%에서 59.8%까지 뛰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 관계자는 "대내외 경영 환경이 악화하는 만큼 취약기업을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할 것"이라며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업 대출이 크게 증가해 향후 부실 우려가 커질 수 있으므로 리스크 관리 노력을 강화하고 중장기적으로는 회생 가능성이 낮은 기업에 대한 구조조정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연합뉴스
중소기업의 채무 상환능력은 대기업보다 나쁘고 개선 속도도 더뎌 위기가 발생하면 취약해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은행이 28일 발간한 '금융안정 상황'을 보면 2017년 조선업의 이자보상비율은 55%에 불과했다.
이자보상비율은 영업이익으로 이자와 같은 금융비용을 얼마나 감당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지표다.
이 비율이 100% 미만이면 영업으로도 이자 비용을 벌어들이지 못한다는 의미다.
조선업의 이자보상비율은 2008년 2천128%에 달했으나 업황 부진 때문에 2012년 이후 악화했다.
2017년 음식·숙박업의 이자보상비율도 98%에 그쳤다.
음식·숙박업은 2008년(71%)보다 채무상환능력이 개선했으나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부동산업종의 이자보상비율은 2017년 298%에 달했으나 전체 산업 평균(630%)에 미치지 못했다.
자동차의 경우 경쟁력 약화로 채무 상환능력이 최근 들어 급격히 악화하는 추세다.
2017년 1∼3분기 874%에 달했던 자동차업의 이자보상비율은 2018년 1∼3분기가 되면서 274%로 뚝 떨어졌다.
유동비율(유동자산/유동부채), 부채비율(총부채/자기자본)도 조선, 음식·숙박, 운수 업종은 취약한 상태인 것으로 평가됐다.
부동산업은 유동비율은 양호하나 부채비율은 268%로 주요 업종 중 가장 높았다. 전체 기업부채 증가 속도는 상대적으로 완만하고 재무건전성은 전반적으로 양호하다고 한은은 평가했다.
기업부채는 2008년부터 지난해 3분기까지 연평균 4.6% 증가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은 101.2%로 2008년 대비 1.6%포인트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기업부채 비율 105.9%, 상승 폭 5.6%포인트)을 밑도는 수준이다.
금융기관대출을 보면 2013년 이후 은행보다는 비은행,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 위주로 기업대출이 증가했다.
이 때문에 지난해 3분기 전체 기업대출 가운데 비은행 대출 비중은 20.5%, 중소기업대출 비중은 70.7%까지 치솟았다.
업종별로는 부동산업 대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부동산업 대출은 2013년부터 작년 3분기까지 연평균 9.5조씩 증가해 주요 산업 중 가장 빠른 증가세를 보였다.
기업의 채무 상환능력, 재무구조도 나아지는 모습이라고 한은은 진단했다.
상장기업의 이자보상비율은 2017년 1∼3분기 1천6%에서 지난해 1∼3분기 1천32%로, 유동비율은 2017년 말 129%에서 2018년 3분기 말 137%까지 올랐다.
그러나 중소기업의 이자보상비율은 2017년 292%로 2008년보다 149.2%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쳤다.
같은 기간 대기업은 398.6%포인트 상승한 874%로 이자보상비율 수준, 상승 폭 모두 컸다.
한은은 금리 상승, 영업이익 감소 충격이 발생할 경우 중소기업과 조선, 음식·숙박, 운수, 부동산 등 취약업종 기업의 채무 상환능력은 크게 악화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정도의 충격이 발생해 금리가 150bp(1bp=0.01%포인트) 상승하고 영업이익이 30% 감소하는 상황을 가정하면 이자보상비율이 100% 미만인 기업의 비중(2017년 기준)은 대기업이 7.5%포인트 상승하는 데 반해 중소기업은 두 배에 가까운 14.2%포인트 오르는 것으로 추정됐다. 조선업의 경우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인 기업 비중이 56.8%에서 73.2%, 음식·숙박업은 58.3%에서 75.4%, 운수업은 36.0%에서 51.7%, 부동산업은 45.4%에서 59.8%까지 뛰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 관계자는 "대내외 경영 환경이 악화하는 만큼 취약기업을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할 것"이라며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업 대출이 크게 증가해 향후 부실 우려가 커질 수 있으므로 리스크 관리 노력을 강화하고 중장기적으로는 회생 가능성이 낮은 기업에 대한 구조조정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