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놓는 집주인, 소득 41%는 빚 갚는 데 쓴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사진=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1903/ZA.19182901.1.jpg)
한국은행은 28일 발간한 금융안정상황 자료에서 작년 기준 임대가구를 328만가구로 추산했다. 이들 임대가구의 금융부채는 372조4000억원으로, 금융부채가 있는 가구당 평균 1억9000만원이다. 이는 비임대가구(7000만원)의 3배 수준이다.
임대가구 가운데 금융부채 보유가구 비중은 59.5%(195만1000가구)로 비임대가구(57.1%) 보다 높다. 부동산 임대 자영업자의 개인사업자 대출까지 포함한 것이다.
임대가구는 지난 수년간 크게 늘어났다. 2014년 대출규제 완화 후 대출을 토대로 적극적으로 부동산 투자에 나선 경우가 많은 것이란 분석이다. 다주택자와 임대사업자를 보면 2013년 169만3000명과 8만명에서 2017년 211만9000명과 24만9000명으로 증가했다.
임대가구 비중은 전체 가구의 16.7%다. 이 가운데 주택이 8.1%, 상가 등 비주택이 5.2%, 동시임대는 3.4%다. 주택에서는 1주택이 3.4%, 다주택은 4.7%다. 임대가구는 고소득계층과 60세 이상 고령층 비중이 높은 편이다. 임대가구 중 소득 4∼5분위 가구가 59.5%, 60세 이상이 41.8%를 차지한다.
임대부동산 유형별로 금융부채가 있는 임대가구당 평균 부채는 동시임대(2억5000만원), 비주택(2억4000만원) 가구에서 큰 편으로 나타났다. 1주택은 1억6000만원, 다주택은 1억3000만원이다.
임대가구는 만기 1년 이내 단기(26.9%)와 일시상환방식(35.3%) 대출 비중이 높아 부채구조가 취약한 편으로 나타났다. 비주택 임대가구(단기 36.1%, 일시상환방식 40.6%)에 개인사업자대출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비임대가구는 단기 20.6%, 일시상환방식 26.7%였다. 임대가구 대출 종류는 담보대출이 84.7%(비주택은 89.3%)에 달했다.
재무건전성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DSR(소득대비 원리금상환액 비율)은 40.8%다. 연 소득의 40% 이상을 부채 원금과 이자를 갚는데 쓴 것이다. 금융자산보다 부채가 많아서 금융부채/금융자산 비율은 106.0%였다. 비임대가구는 DSR 28.4%, 금융부채/금융자산 비율 80.9%다. 실물자산을 포함한 총부채/총자산비율은 30.1%로 내려가지만 역시 비임대가구(23.1%)보단 높았다.
금융부채를 보유한 임대가구의 6.8%(약 13만2천가구)는 유동성 측면에서 취약했다. 이들은 DSR과 금융부채/금융자산비율이 모두 100%가 넘었다. 원리금 상환액이 연간 처분가능소득보다 많고 금융부채가 금융자산보다 많은 경우다. 다만 실물자산까지 포함한 총부채/총자산 비율이 100%를 넘는 가구는 1.0%에 그쳤다.
한은은 "최근 부동산 시장이 위축되는 움직임을 보임에 따라 주택과 상가 등 임대부동산을 보유한 가구의 재무건전성과 대응능력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한은은 "앞으로 부동산 시장과 임대가구 재무상황 변화 등을 면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며 "금융기관은 대출을 취급할 때 차주의 부채상환능력과 담보가치 평가를 엄격히 하는 등 리스크관리 강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