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 잔류농약 확인하고, 조리 전 세척해야 본격적인 농사철에 접어드는 가운데 농약(살충제)에 많이 노출되면 치매 전단계인 '인지기능 저하' 위험이 최대 2.8배까지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더욱이 농업인은 물론이고, 일반인들도 평상시 농산물 섭취를 통한 농약 노출에 주의해야 한다는 게 연구팀의 지적이다.
연세대 원주의과대학 고상백 교수팀은 2005년부터 현재까지 14년여에 걸쳐 농업인 코호트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지역사회 주민 3천162명 중 169명을 심층 분석한 결과, 농약 노출과 인지기능 사이에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29일 밝혔다.
이 연구결과가 담긴 논문은 국제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 최근호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전체 코호트 대상자 중 169명(51∼84세)을 무작위로 뽑아 일대일 면담을 거쳐 각종 검진과 함께 인지기능 평가를 시행했다.
이 결과, 직업적으로 농약 노출이 잦은 농업인의 경우 그렇지 않은 일반인에 견줘 인지기능 감소 위험이 2.44배 높았다.
또 농약 노출 강도가 심한 고위험군(상위 50%)은 저위험군(하위 50%)보다 인지기능 감소 위험이 2.78배 높았다.
농약 노출 누적 강도에 살포 기간 등을 합산한 '농약 누적 노출지표'도 고위험군의 인지기능 감소 위험이 저위험군보다 2.43배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농약 노출과 인지기능 저하의 이런 연관성은 그동안 외국에서 발표된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프랑스 연구팀은 614명의 농장 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농약에 심하게 노출된 농부가 그렇지 않은 농부보다 인지기능이 떨어진다는 분석 결과를 2011년 직업환경의학회지(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에 발표했다.
칠레 연구팀도 농민을 농약 노출 정도에 따라 직접 노출(32명), 간접 노출(32명), 비노출(32명) 3개 그룹으로 나눠 인지기능을 비교 평가한 결과, 직접노출-간접노출-비노출 순으로 인지기능이 낮았다는 논문을 국제학술지 '신경독성·기형학'(Neurotoxicology and teratology)에 2017년 게재했다.
연구팀은 급속한 고령화 사회의 사회문제 중 하나로 지목되는 치매 발생에 농약 노출이 치명적일 수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결과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고상백 교수는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유기인계 살충제의 경우 '신경 축색'(nerve axon)에 영향을 미치거나 아세틸콜린 분해효소와 결합해 이 효소를 억제함으로써 주의력과 기억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면서 "다른 농약들도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해 신경세포 내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떨어지는 작용이 반복되면 인지기능 저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직업적으로 농약에 노출되는 농업인의 경우 호흡기나 피부를 통한 흡수를 막기 위해 보호구와 방제복을 꼭 입어야 한다고 고 교수는 권고했다.
또 농사일을 마친 후에는 반드시 몸을 씻어 농약 노출을 최소화하라고 조언했다.
소비자의 경우도 농산물에 남아있는 잔류농약이 음식을 통해 흡수될 수 있는 만큼 친환경 농산물인지를 확인하고, 조리 전 반드시 세척하는 게 좋다고 고 교수는 당부했다.
고 교수는 "만약 살충제에 노출됐다면 작업을 중지하고, 노출 부위 또는 신체를 세척해야 한다"면서 "고농도로 노출돼 두통, 어지러움, 메스꺼움, 심박동수 저하 등의 급성 중독증상이 나타난다면 응급실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