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1903/PYH2019032803560001300_P2.jpg)
서울시 보라매병원 피부과 조소연 교수팀은 미세먼지가 장벽이 손상된 피부를 통해 진피층 안으로 침투해 염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연구팀은 서울 시내에서 입자 크기 10㎛ 이하의 미세먼지를 모아 인체 표피의 각질형성세포에 노출했다.
그 결과 미세먼지 용량에 비례해 피부염증 발생이 증가하고 세포를 손상하는 활성산소종이 발생했다.
또 인체 각질형성세포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세포 내 먼지 입자가 발견됐다.
이는 미세먼지가 피부에 직접 침투했다는 것을 뜻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체모를 제거한 실험용 쥐를 피부 장벽이 정상인 그룹과 손상된 그룹으로 나눠 미세먼지에 노출하는 실험도 진행했다.
그 결과 두 그룹 모두 미세먼지 노출 후 피부 모낭 안에서 미세먼지가 확인됐다.
특히 피부 장벽이 손상된 경우에는 미세먼지가 각질형성세포를 통과해 표피 안으로 들어가는 모습이 관찰됐다.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미세먼지 입자가 피부 속으로 침투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또 미세먼지 반복 노출에 따른 피부 상태를 살피기 위해 실험용 쥐 피부에 미세먼지를 10회 바르고 조직을 관찰했다.
그 결과 표피가 두꺼워지고 진피 깊은 곳까지 염증세포 침윤이 확인됐다.
반면 항산화제를 피부에 도포했을 때는 염증이 완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조 교수는 "이번 연구로 피부 안으로 미세먼지가 직접 유입되고 그에 따라 어떤 반응이 나타나는지 최초로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미세먼지가 심할 때는 매일 샤워를 해 깨끗이 씻어내야 한다"며 "특히 피부 장벽이 약해진 아토피피부염 환자나 당뇨 환자, 노인 등은 미세먼지 노출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피부과학저널'('Journal of Dermatological Science) 게재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