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 최고인민회의 1차 회의…대미메시지 발표·헌법개정 가능성
김정은 방러도 임박한 듯…판문점 선언 1주년 계기 '대화 물꼬'도 주목
'포스트 하노이' 전략을 고심하며 한 달간 숨 고르기를 한 북한이 4월 빡빡한 정치·외교 일정을 소화하며 향후 노선을 드러낼 전망이다.

특히 오는 4월 27일이면 남북정상회담의 첫 결실인 판문점 선언 채택 1주년인 만큼 '일시 한파'에 직면한 남북관계에도 다시 숨통이 트일지 주목된다.

현재 북한이 앞둔 가장 큰 내부 정치행사는 내달 11일로 예정된 최고인민회의 제14기 대의원들의 1차 회의다.

지난 10일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를 통해 새롭게 꾸려진 '김정은 2기'의 출범을 공식 선언하는 자리인 데다 북미 간 협상이 교착에 빠진 상황이어서 북한이 내놓을 결단에 관심이 쏠릴 수밖에 없다.

당 중심 국가인 북한에서 중요한 결정은 노동당 회의를 통해 이뤄지지만, 중요한 정책 방향이 최고인민회의 정기회의를 통해 공개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실제로 북한은 앞서 2013년 4월 최고인민회의 제12기 7차 회의를 통해 핵 보유 의지를 분명히 했고, 2017년 4월 열린 제13기 5차 회의에서는 최고인민회의 산하에 '외교위원회'를 부활해 대외관계 개선 의지도 드러낸 바 있다.

다만 최고인민회의에서는 내부 경제정책 관련 법안이나 결정 등 다른 중대한 정책 결정도 이뤄지는 만큼, 이 회의에 앞서 먼저 노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 등을 개최해 대미 메시지를 발표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또 최고인민회의 1차 회의를 통해 드러날 북한의 권력구조 변화에도 관심이 쏠린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북한 최고지도자로는 처음으로 14기 대의원 선거 명단에 이름을 올리지 않은 만큼, 헌법 개정을 통해 김 위원장을 '국가수반'으로 일원화할 가능성 등이 거론된다.

현재 북한의 일인자는 김 위원장이지만, 헌법상으로는 국가수반이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으로 돼 있기 때문이다.

국정원도 29일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김정은 위원장이 지난 10일 최고인민회의 대의원대회에서 대의원을 수임하지 않은 것으로 본다"며 "14기 최고인민회의 1차 회의에서 헌법 개정 등 여러 상황을 염두에 두고 관련 동향을 주시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김 위원장의 첫 러시아 방문도 내달 중에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최근 김 위원장의 의전을 총괄하는 김창선 국무위원회 부장이 러시아 방문을 마친 만큼 내달 초에 방러할 가능성도 배제하긴 어렵지만, 김일성 주석의 생일인 태양절(4월 15일) 이후일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문재인 대통령이 4월 10∼11일 미국을 방문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김 위원장이 한미정상회담 결과를 주시한 뒤 외교행보에 본격적으로 나서지 않겠냐는 분석이다.

김 위원장의 첫 방러는 대미 압박은 물론, 또 다른 우방이면서 러시아와 '미묘한 관계'에 있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의도가 있다고 정보당국은 판단하고 있다.
4월은 북미대화 교착 여파로 먹구름이 드리운 남북관계에도 중대 기로가 될 전망이다.

남북고위급회담은 철도·도로 연결과 현대화를 위한 착공식 시기 등에 합의한 지난해 10월 15일 회담 이후 5개월 넘도록 단 한 차례도 열리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연말까지만 해도 김 위원장이 문 대통령에게 친서를 보내는 등 남북관계가 빠르게 진전되는 듯했지만, 하노이 회담 결렬 이후인 이달 22일 북측이 남북공동연락사무소에서 갑작스레 철수했다가 일부만 복귀하는 등 '롤러코스터 행보'를 보이고 있다.

정부로선 비핵화 협상 재개를 촉진하기 위해서라도 내달 27일 판문점 선언 채택 1주년 계기 기념행사를 열거나 고위급회담 채널 복원 등을 적극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북한이 '새로운 길'을 공언하며 미국과 남측에 대한 공세를 이어가고 있긴 하지만, 대내외에 공표한 경제발전 성과를 내야 하는 김 위원장의 '절박한' 입장을 고려하면 북측도 남측의 역할에 기대를 걸 수밖에 없다는 해석이 나온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