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가장 중요한 건 북·미협상 재개"…폼페이오 "비핵화 위한 외교노력 지속"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미 정상회담 의제 조율
남북경협 재개는 거론 안한 듯
정상회담서 논의는 배제 못해
남북경협 재개는 거론 안한 듯
정상회담서 논의는 배제 못해
4·11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양국 외교안보 라인 간 만남이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다. 미·북 비핵화 협상 재개의 동력을 살려내고 한·미 정상회담 의제를 조율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지난 29일 워싱턴DC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과의 회담에서 하노이 미·북 2차 정상회담 결렬 이후 첫 회담을 열었다. 양측은 한·미 간 대북 정책 관련 입장을 점검하고, 한·미 정상회담 의제를 논의했다.
강 장관은 회담 후 워싱턴 특파원과의 간담회에서 “오늘 협의를 통해 한·미 간 대북 정책과 관련해 지향점이 완전히 일치한다는 점을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어 “일각에서 한·미 간 공조에 대한 우려의 표명이 있다”며 “한·미 간에는 북핵과 관련한 모든 현안에 대해 깊이 있게 의견 교환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강 장관은 이어 “현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북·미 협상을 재개하는 것”이라며 “폼페이오 장관도 앞으로 비핵화와 관련해 구체적 성과가 달성될 수 있도록 외교적 노력을 지속적으로 경주하겠다고 강조했다”고 전했다.
두 장관은 한·미 양국이 북한 핵문제 해결을 위해 포괄적인 접근을 한다는 데 일단 공감하면서 향후 대응전략을 조율해 나가기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개성공단, 금강산 관광 등 남북한 경협 문제는 구체적으로 논의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우리 정부의 남북 경협 재개 의지는 여전하기 때문에 내달 정상회담에서 정상 간 직접 논의가 이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현종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도 지난 30일 워싱턴DC를 방문했다. 김 차장은 카운터파트인 찰스 쿠퍼만 국가안보회의(NSC) 부보좌관을 비롯해 백악관 인사들을 만나 한·미 정상회담 의제를 조율할 예정이다. 정경두 국방부 장관도 1일 워싱턴DC에서 패트릭 섀너핸 국방장관 대행과 첫 회담을 연다.
한·미 외교안보 라인의 연쇄 접촉은 대북 정책을 둘러싼 한·미 간 불협화음 우려를 불식시키고 한·미 정상회담을 준비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또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미·북 비핵화 협상의 ‘촉진자’ 역할을 하려는 우리 정부의 적극적 의지를 보여주는 행보로 해석된다.
김채연 기자 why29@hankyung.com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지난 29일 워싱턴DC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과의 회담에서 하노이 미·북 2차 정상회담 결렬 이후 첫 회담을 열었다. 양측은 한·미 간 대북 정책 관련 입장을 점검하고, 한·미 정상회담 의제를 논의했다.
강 장관은 회담 후 워싱턴 특파원과의 간담회에서 “오늘 협의를 통해 한·미 간 대북 정책과 관련해 지향점이 완전히 일치한다는 점을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어 “일각에서 한·미 간 공조에 대한 우려의 표명이 있다”며 “한·미 간에는 북핵과 관련한 모든 현안에 대해 깊이 있게 의견 교환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강 장관은 이어 “현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북·미 협상을 재개하는 것”이라며 “폼페이오 장관도 앞으로 비핵화와 관련해 구체적 성과가 달성될 수 있도록 외교적 노력을 지속적으로 경주하겠다고 강조했다”고 전했다.
두 장관은 한·미 양국이 북한 핵문제 해결을 위해 포괄적인 접근을 한다는 데 일단 공감하면서 향후 대응전략을 조율해 나가기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개성공단, 금강산 관광 등 남북한 경협 문제는 구체적으로 논의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우리 정부의 남북 경협 재개 의지는 여전하기 때문에 내달 정상회담에서 정상 간 직접 논의가 이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현종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도 지난 30일 워싱턴DC를 방문했다. 김 차장은 카운터파트인 찰스 쿠퍼만 국가안보회의(NSC) 부보좌관을 비롯해 백악관 인사들을 만나 한·미 정상회담 의제를 조율할 예정이다. 정경두 국방부 장관도 1일 워싱턴DC에서 패트릭 섀너핸 국방장관 대행과 첫 회담을 연다.
한·미 외교안보 라인의 연쇄 접촉은 대북 정책을 둘러싼 한·미 간 불협화음 우려를 불식시키고 한·미 정상회담을 준비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또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미·북 비핵화 협상의 ‘촉진자’ 역할을 하려는 우리 정부의 적극적 의지를 보여주는 행보로 해석된다.
김채연 기자 why2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