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성의블로소득] 가상화폐 '거래추적' 하겠다는 검찰, 거래소는 망설이는 까닭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자율규제 솔선했다가 혹만 붙인 경험 있어
GDPR 문제 등 협회 의지 대신 각자도생 분위기
GDPR 문제 등 협회 의지 대신 각자도생 분위기

검찰이 최근 가상화폐(암호화페) 지갑 주소 조회시스템 개발을 주문한 데 대한 업계 반응이다.
암호화폐 지갑 주소 조회시스템 개발 추진에 대해 대검찰청 관계자는 “수사기관이 어떤 통신사의 전화번호인지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특정 지갑 주소가 어느 거래소 소속인지 알아보기 위한 시스템”이라며 “공문을 보내고 영장을 청구해 자료를 제출 받는 번거로운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모든 거래쌍을 실시간 감시한다는 의도는 아니다. 일차적으로 거래소만 파악한 뒤 추가 정보 요청은 기존 절차를 준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일단 업계는 이 조회시스템이 암호화폐 사기 등 범죄 억제에 도움을 줄 것으로 봤다. 블록체인 기반 보안위협 감지 플랫폼 센티넬프로토콜의 구민우 컨트리매니저는 “시스템이 구축되면 결과적으로 수사기관이 참여하는 암호화폐 자금세탁방지(AML) 체계가 가동되는 셈”이라며 “이를 토대로 금융정보분석원(FIU)이 해외 FIU에 협조요청을 할 경우 해외 거래소로 암호화폐를 빼돌려도 계좌동결 등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거래소들은 개인정보에 해당하는 지갑 주소 정보를 수사기관에 임의 제공하는 것도 부담을 느낀다. 거래소 관계자는 “공문이나 영장을 받아 자료를 제출하는 것과 수사기관이 임의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상시 제공하는 것은 차이가 있다. 유럽연합(EU)의 일반개인정보보호법(GDPR) 위반 소지도 있어 법적 검토를 진행 중”이라고 귀띔했다. EU 시민이 이용할 경우 국내 거래소도 EU GDPR 적용 대상이 된다. 위반시 연 매출의 4%까지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업계에 따르면 검찰은 이미 기존 금융권 AML 업체들을 통해 해당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다만 암호화폐 거래소 대상 시스템 개발은 처음이므로 개발 업체들도 암호화폐 지갑 주소 처리와 블랙리스트 관리 등이 쉽지 않다는 후문.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