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석달째 0%대…1분기 상승률 1965년 이래 최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년대비 석유·채소가격 하락에 3월 물가 0.4%↑, 32개월만에 가장 낮아
서비스물가 1.1%↑…5년 1개월 만에 최저 상승률 석유·채소 가격 하락과 서비스요금 상승률 둔화 등 영향으로 1년 전과 비교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석 달 연속 0%대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2일 공개한 '2019년 3월 소비자물가동향' 자료를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4.49(2015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0.4% 상승했다.
이는 2016년 7월(0.4%) 이후 2년 8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상승률이 이보다 더 낮았던 때는 1999년 7월(0.3%)이다.
전년 동월과 비교한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작년 12월에는 1.3%였는데 올해 1월 0.8%, 2월 0.5%에 이어 3개월 연속 1% 미만에 머물렀다.
올해 1분기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0.5%로 분기별 통계가 제공되는 1965년 이후 가장 낮았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을 품목 성질별로 보면 석유류가 지난해 3월보다 9.6% 하락하면서 전체 소비자물가를 0.43%포인트 낮췄다.
채소류 물가는 12.9% 하락해 전체 물가를 0.21%포인트 끌어내리는 효과를 냈다.
농·축·수산물은 0.3% 하락하며 전체 물가를 0.02%포인트 낮췄다.
서비스물가는 1.1% 상승해 전체 물가를 0.58% 포인트 끌어올렸다.
2014년 2월(1.1%) 이후 5년 1개월 사이에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지난달 공공서비스는 0.3% 하락했으나 개인 서비스는 2.0% 상승했다. 개별 품목을 보면 무(-51.1%), 딸기(-16.1%), 양파(-30.3%), 파(-30.6%), 호박(-30.0%) 등의 가격 하락이 두드러졌다.
석유 제품 가격은 큰 폭으로 내렸다.
작년 같은 달 대비 낙폭을 보면 휘발유 12.6%, 경유 7.0%, 자동차용 액화석유가스(LPG) 6.9% 등이다.
다만 전월 대비로 보면 국제유가 상승 흐름을 타고 휘발유와 경유 가격이 각각 1.4%, 1.6% 상승했다.
가격수준으로 봐도 두바이유 가격은 2월 배럴당 64.6달러에서 3월 66.9달러로, 휘발유는 ℓ당 1천344원에서 1천369원으로 올랐다.
비교 시점에 따라 소비자가 체감하는 물가 추이가 달라지는 셈이다.
서비스물가 중에서는 학교 급식비가 41.3% 떨어져 1995년 1월 관련 통계를 작성한 후 가장 큰 폭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이는 일부 지역에서 무상급식을 시작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김윤성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작년 11월부터 2월까지 국제유가 하락과 유류세 인하 영향으로 석유류가 (물가 안정에) 가장 기여했다"며 "기상 여건이 좋아서 채소류 출하량도 증가했다.
서비스요금 상승세도 둔화했다"고 설명했다.
체감물가를 보여주기 위해 자주 구입하고 지출 비중이 큰 141개 품목을 토대로 작성한 '생활물가지수'는 작년 3월과 같은 수준이었다.
어류·조개·채소·과실 등 기상 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0개 품목을 기준으로 한 '신선식품지수'는 3.0% 하락했다.
물가상승률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으로 볼 수 있는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0.8% 올랐다.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 증가 폭은 2000년 2월(0.8%) 이래 19년 1개월 만에 가장 작았다.
계절 요인이나 일시적인 충격에 따른 물가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한 물가상승률인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근원물가) 상승률은 0.9%였다.
통계청은 4월까지 소비자물가지수 상승 폭이 0%대에 머물다가 하반기에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 과장은 "5월에 유류세 인하 효과가 소멸하고 국제유가도 계속 오르고 있는 것이 상승 요인"이라며 "다만 다른 지자체에서도 급식비가 무상화되는 것이 하락 요인으로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물가가 석 달 연속 1% 미만의 안정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가격 변동이 큰 품목을 중심으로 물가 불안요인에 대한 모니터링을 계속하면서 물가관계차관회의 등을 통해 물가 안정 기조 정착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서비스물가 1.1%↑…5년 1개월 만에 최저 상승률 석유·채소 가격 하락과 서비스요금 상승률 둔화 등 영향으로 1년 전과 비교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석 달 연속 0%대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2일 공개한 '2019년 3월 소비자물가동향' 자료를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4.49(2015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0.4% 상승했다.
이는 2016년 7월(0.4%) 이후 2년 8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상승률이 이보다 더 낮았던 때는 1999년 7월(0.3%)이다.
전년 동월과 비교한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작년 12월에는 1.3%였는데 올해 1월 0.8%, 2월 0.5%에 이어 3개월 연속 1% 미만에 머물렀다.
올해 1분기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0.5%로 분기별 통계가 제공되는 1965년 이후 가장 낮았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을 품목 성질별로 보면 석유류가 지난해 3월보다 9.6% 하락하면서 전체 소비자물가를 0.43%포인트 낮췄다.
채소류 물가는 12.9% 하락해 전체 물가를 0.21%포인트 끌어내리는 효과를 냈다.
농·축·수산물은 0.3% 하락하며 전체 물가를 0.02%포인트 낮췄다.
서비스물가는 1.1% 상승해 전체 물가를 0.58% 포인트 끌어올렸다.
2014년 2월(1.1%) 이후 5년 1개월 사이에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지난달 공공서비스는 0.3% 하락했으나 개인 서비스는 2.0% 상승했다. 개별 품목을 보면 무(-51.1%), 딸기(-16.1%), 양파(-30.3%), 파(-30.6%), 호박(-30.0%) 등의 가격 하락이 두드러졌다.
석유 제품 가격은 큰 폭으로 내렸다.
작년 같은 달 대비 낙폭을 보면 휘발유 12.6%, 경유 7.0%, 자동차용 액화석유가스(LPG) 6.9% 등이다.
다만 전월 대비로 보면 국제유가 상승 흐름을 타고 휘발유와 경유 가격이 각각 1.4%, 1.6% 상승했다.
가격수준으로 봐도 두바이유 가격은 2월 배럴당 64.6달러에서 3월 66.9달러로, 휘발유는 ℓ당 1천344원에서 1천369원으로 올랐다.
비교 시점에 따라 소비자가 체감하는 물가 추이가 달라지는 셈이다.
서비스물가 중에서는 학교 급식비가 41.3% 떨어져 1995년 1월 관련 통계를 작성한 후 가장 큰 폭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이는 일부 지역에서 무상급식을 시작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김윤성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작년 11월부터 2월까지 국제유가 하락과 유류세 인하 영향으로 석유류가 (물가 안정에) 가장 기여했다"며 "기상 여건이 좋아서 채소류 출하량도 증가했다.
서비스요금 상승세도 둔화했다"고 설명했다.
체감물가를 보여주기 위해 자주 구입하고 지출 비중이 큰 141개 품목을 토대로 작성한 '생활물가지수'는 작년 3월과 같은 수준이었다.
어류·조개·채소·과실 등 기상 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0개 품목을 기준으로 한 '신선식품지수'는 3.0% 하락했다.
물가상승률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으로 볼 수 있는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0.8% 올랐다.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 증가 폭은 2000년 2월(0.8%) 이래 19년 1개월 만에 가장 작았다.
계절 요인이나 일시적인 충격에 따른 물가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한 물가상승률인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근원물가) 상승률은 0.9%였다.
통계청은 4월까지 소비자물가지수 상승 폭이 0%대에 머물다가 하반기에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 과장은 "5월에 유류세 인하 효과가 소멸하고 국제유가도 계속 오르고 있는 것이 상승 요인"이라며 "다만 다른 지자체에서도 급식비가 무상화되는 것이 하락 요인으로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물가가 석 달 연속 1% 미만의 안정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가격 변동이 큰 품목을 중심으로 물가 불안요인에 대한 모니터링을 계속하면서 물가관계차관회의 등을 통해 물가 안정 기조 정착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