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교육 인력으로 단기간 채용
수업 멘토링·보충 세미나 등 담당
2일 서울대 로스쿨은 지난해 10월 공고를 내고 면접을 진행한 끝에 4명의 30대 법조인을 펠로로 선발했다고 밝혔다. 선발된 펠로들은 올 2월부터 1년간 업무를 담당한다. 개별 펠로의 연구 계획 등에 따라 계약 기간은 연장이 가능하다. 국내 로스쿨 중 젊은 법조인을 강사가 아니라 연구·교육 인력으로 채용하는 펠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건 서울대가 처음이다.
선발된 펠로들은 광장, 바른 등 대형 로펌 출신 30대 변호사들로 구성됐다. 로스쿨과 사법고시 출신이 모두 포함됐다. 자산운용 전문 변호사, 대기업 사내 변호사, 공인회계사 자격증 보유자 등 다양한 경험을 가진 신진 변호사들이 치열한 경쟁을 통해 선발됐다. 모집 과정에서 30여 명에 달하는 지원자가 몰렸을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다는 후문이다.
이들은 올해 1학기 형법, 민법 등 신입생 전공 필수 과목에서 멘토 역할을 담당한다. 전공 수업에 어려움을 겪는 신입생에게 보충 세미나를 제공하고 개별 상담을 한다. 관심 분야를 연구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한다. 급여와 연구 공간 제공, 논문 게재 및 석·박사 과정 등록 시 등록금 면제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서울대 로스쿨이 전격적으로 펠로 프로그램을 도입한 건 법학 연구를 수행하는 ‘학문 후속세대’ 양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임용 서울대 로스쿨 학생부원장은 “로스쿨 체제가 출범하면서 학문 후속세대 단절에 직면했다”고 했다. 2018년 치러진 제7회 변호사시험 응시자 대비 합격률이 49.35%를 기록하는 등 매년 합격률이 떨어져 학생들이 변호사시험 준비에 ‘올인’하고 있다는 얘기다.
법학에 학문적 관심이 있더라도 3년간 로스쿨에서 공부한 뒤 실무 분야로 진출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여기에 실무 능력을 갖춘 젊은 교육자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커졌다. 임 부원장은 “하버드나 예일 등 해외 유명 로스쿨에서는 이미 비슷한 펠로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며 “연구 분야 펠로 선발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했다.
장현주 기자 blackse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