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경제 국제표준에 한국기술 '0건'…3년내 5건 표준화 목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산업부, 수소경제 표준화 전략 로드맵…11년내 15건 확보해 시장 선점
정부가 시장형성 초기인 수소산업에서 우리가 강점을 가진 기술 5건을 3년안에 국제표준으로 만들어 세계시장을 선점하겠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3일 '수소경제 표준화 전략 로드맵'을 발표하면서 "해외 기술을 적용해 제품을 개발할 경우 출시가 지연되거나 후속 기술개발에 불리하기 때문에 우리 기술이 국제표준으로 돼야 시장경쟁력 확보에 유리하다"며 이같이 제시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1월 수소차와 연료전지 등 수소경제를 활성화하겠다는 로드맵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정작 수소승용차, 충전소, 고정형 연료전지 분야는 국제표준이 대부분 완료된 상황이고 이들 분야에서 우리나라가 등록한 국제표준은 하나도 없는 실정이다.
현재 한국은 마이크로연료전지에 관한 국제표준을 1건 제안해놓고 있을 뿐이다.
일본, 미국, 독일 등에 비해 한국의 표준화 역량은 턱없이 부족하지만, 글로벌 수소경제가 아직 초기 발달과정에 있다는 점은 희망적인 대목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가 강점을 가진 건설기계 등 연료전지 활용분야를 중심으로 2022년까지 드론·굴삭기용 연료전지 등 5건을 먼저 국제표준화 할 계획이다.
이어 2030년까지 재생전력 연계 수전해, 차세대연료전지 등 10건 이상을 국제표준으로 추가 제안해 수소분야 전체 국제표준의 약 20%이상을 획득한다는 구상이다.
수소경제 3대 분야별로 ▲ 모빌리티 8건(드론·선박·건설기계 등) ▲ 에너지 4건(트라이젠 연료전지 등) ▲ 수소공급 및 계량분야 3건(재생전력 연계 수전해, 유량계측기) 등 총 15건 이상의 국제 표준화를 목표로 제시했다.
또 수소산업의 건전한 생태계 조성을 위해 국제표준에 부합한 국가표준을 마련하고 핵심부품에 대한 KS인증을 통해 국민이 안심하고 수소경제 관련 제품과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당장 주유소 미터기 역할을 할 수소충전기의 계량기는 고압수소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충전기 계량오차 평가기술을 확보하고 법정계량기로 지정함으로써 수소충전거래에 대한 신뢰성을 제공할 방침이다.
관련 업체의 관심이 많은 KS인증은 충전소부품, 가정·산업용 연료전지 제품 등을 중심으로 시행하되 2022년까지 가정용 연료전지(SOFC) 등 13건, 2030년까지 드론용 연료전지 등 17건을 합쳐 모두 30건을 인증품목으로 지정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현재 45명인 수소경제 표준포럼(위원장 이홍기 우석대 교수)도 기업체 개발자와 연구개발(R&D) 전문가 등을 추가로 영입해 내년까지 100명 이상으로 확대하게 된다.
국표원은 또 오는 6월 수소 국제표준포럼에 이어 내년에 수소기술(ISO) 총회를 개최해 2030년까지 미국, 일본, 독일에 이어 수소기술 국제표준 경쟁력 4위권의 선도국가로 진입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합뉴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3일 '수소경제 표준화 전략 로드맵'을 발표하면서 "해외 기술을 적용해 제품을 개발할 경우 출시가 지연되거나 후속 기술개발에 불리하기 때문에 우리 기술이 국제표준으로 돼야 시장경쟁력 확보에 유리하다"며 이같이 제시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1월 수소차와 연료전지 등 수소경제를 활성화하겠다는 로드맵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정작 수소승용차, 충전소, 고정형 연료전지 분야는 국제표준이 대부분 완료된 상황이고 이들 분야에서 우리나라가 등록한 국제표준은 하나도 없는 실정이다.
현재 한국은 마이크로연료전지에 관한 국제표준을 1건 제안해놓고 있을 뿐이다.
일본, 미국, 독일 등에 비해 한국의 표준화 역량은 턱없이 부족하지만, 글로벌 수소경제가 아직 초기 발달과정에 있다는 점은 희망적인 대목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가 강점을 가진 건설기계 등 연료전지 활용분야를 중심으로 2022년까지 드론·굴삭기용 연료전지 등 5건을 먼저 국제표준화 할 계획이다.
이어 2030년까지 재생전력 연계 수전해, 차세대연료전지 등 10건 이상을 국제표준으로 추가 제안해 수소분야 전체 국제표준의 약 20%이상을 획득한다는 구상이다.
수소경제 3대 분야별로 ▲ 모빌리티 8건(드론·선박·건설기계 등) ▲ 에너지 4건(트라이젠 연료전지 등) ▲ 수소공급 및 계량분야 3건(재생전력 연계 수전해, 유량계측기) 등 총 15건 이상의 국제 표준화를 목표로 제시했다.
또 수소산업의 건전한 생태계 조성을 위해 국제표준에 부합한 국가표준을 마련하고 핵심부품에 대한 KS인증을 통해 국민이 안심하고 수소경제 관련 제품과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당장 주유소 미터기 역할을 할 수소충전기의 계량기는 고압수소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충전기 계량오차 평가기술을 확보하고 법정계량기로 지정함으로써 수소충전거래에 대한 신뢰성을 제공할 방침이다.
관련 업체의 관심이 많은 KS인증은 충전소부품, 가정·산업용 연료전지 제품 등을 중심으로 시행하되 2022년까지 가정용 연료전지(SOFC) 등 13건, 2030년까지 드론용 연료전지 등 17건을 합쳐 모두 30건을 인증품목으로 지정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현재 45명인 수소경제 표준포럼(위원장 이홍기 우석대 교수)도 기업체 개발자와 연구개발(R&D) 전문가 등을 추가로 영입해 내년까지 100명 이상으로 확대하게 된다.
국표원은 또 오는 6월 수소 국제표준포럼에 이어 내년에 수소기술(ISO) 총회를 개최해 2030년까지 미국, 일본, 독일에 이어 수소기술 국제표준 경쟁력 4위권의 선도국가로 진입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합뉴스